제주형 뉴딜정책 진단…‘제주안심코드’ 방역 체계 구축

입력 2020.10.19 (19:10) 수정 2020.10.19 (20:0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코로나19 시대 도민의 삶에 영향을 줄 제주형 뉴딜 계획의 과제를 짚어 보는 순서입니다.

오늘은 안전망 강화분야로 제주안심코드를 개발해 제주형 관광방역 체계를 만들겠다는 계획인데, 도민들의 참여가 관건입니다.

강인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어디를 방문하든 열을 재고 연락처를 남깁니다.

시민들은 필요성에 공감은 하지만 여전히 번거롭고 걱정도 듭니다.

[주 희/제주시 오라동 : "앞에 썼던 사람의 볼펜을 써야 해 찝찝한 것도 있고요. 저의 개인 정보가 노출되지 않을까 하는 걱정도 사실 있습니다."]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역학조사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질병관리청이 관리하던 도민 방문 이력을 제주도가 암호화해 관리해 하는 '제주안심코드'가 운영됩니다.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하면 질병관리청으로부터 확진자의 동선을 받기까지 걸린 시간은 하루.

제주안심코드를 이용하면 제주도 서버에서 10분 안에 확진자 동선과 접촉자 연락처까지 확보할 수 있다는 겁니다.

여기에 도민들이 고위험시설 등을 방문할 때마다 자신의 휴대전화로 QR 코드를 확인했지만, 이제는 시설에 설치된 QR코드를 휴대전화로 찍는 방식으로 간소화됩니다.

제주도는 공공기관 등 50곳에서 시범운영을 마치고 다음 달부터 카페와 식당, 사우나 등 5천 곳에 제주안심코드 앱을 설치하도록 해 본격 운영할 계획입니다.

[윤상현/제주도 방역정책기획단 팀장 : "나중에는 추가 기능이나 부가 기능을 넣음으로써 앱이 단순히 인증뿐 아니라 역학 조사뿐 아니라 자신의 이동기록을 확인하는 시스템으로 앱의 사용기능을 유도할 계획입니다."]

하지만 제주안심코드 앱 설치가 의무는 아니어서 도민들 참여가 저조하면, 역학조사 등 기대효과는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정보 관리 권한을 정부로부터 제주도가 가져오는 만큼 개인정보 보호방안과 휴대전화가 없는 도민이나 노인층에 대한 관리 방안 마련도 필수입니다.

제주안심코드가 관광객들을 대상으로도 확대 운영될 계획인 만큼, 관광객에게도 신뢰 얻는 똑똑한 방역체계가 코로나19로 침체한 제주 경제 활성화로도 이어질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강인희입니다.

촬영기자:조세준/그래픽:김민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제주형 뉴딜정책 진단…‘제주안심코드’ 방역 체계 구축
    • 입력 2020-10-19 19:10:35
    • 수정2020-10-19 20:08:09
    뉴스7(제주)
[앵커]

코로나19 시대 도민의 삶에 영향을 줄 제주형 뉴딜 계획의 과제를 짚어 보는 순서입니다.

오늘은 안전망 강화분야로 제주안심코드를 개발해 제주형 관광방역 체계를 만들겠다는 계획인데, 도민들의 참여가 관건입니다.

강인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어디를 방문하든 열을 재고 연락처를 남깁니다.

시민들은 필요성에 공감은 하지만 여전히 번거롭고 걱정도 듭니다.

[주 희/제주시 오라동 : "앞에 썼던 사람의 볼펜을 써야 해 찝찝한 것도 있고요. 저의 개인 정보가 노출되지 않을까 하는 걱정도 사실 있습니다."]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역학조사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질병관리청이 관리하던 도민 방문 이력을 제주도가 암호화해 관리해 하는 '제주안심코드'가 운영됩니다.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하면 질병관리청으로부터 확진자의 동선을 받기까지 걸린 시간은 하루.

제주안심코드를 이용하면 제주도 서버에서 10분 안에 확진자 동선과 접촉자 연락처까지 확보할 수 있다는 겁니다.

여기에 도민들이 고위험시설 등을 방문할 때마다 자신의 휴대전화로 QR 코드를 확인했지만, 이제는 시설에 설치된 QR코드를 휴대전화로 찍는 방식으로 간소화됩니다.

제주도는 공공기관 등 50곳에서 시범운영을 마치고 다음 달부터 카페와 식당, 사우나 등 5천 곳에 제주안심코드 앱을 설치하도록 해 본격 운영할 계획입니다.

[윤상현/제주도 방역정책기획단 팀장 : "나중에는 추가 기능이나 부가 기능을 넣음으로써 앱이 단순히 인증뿐 아니라 역학 조사뿐 아니라 자신의 이동기록을 확인하는 시스템으로 앱의 사용기능을 유도할 계획입니다."]

하지만 제주안심코드 앱 설치가 의무는 아니어서 도민들 참여가 저조하면, 역학조사 등 기대효과는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정보 관리 권한을 정부로부터 제주도가 가져오는 만큼 개인정보 보호방안과 휴대전화가 없는 도민이나 노인층에 대한 관리 방안 마련도 필수입니다.

제주안심코드가 관광객들을 대상으로도 확대 운영될 계획인 만큼, 관광객에게도 신뢰 얻는 똑똑한 방역체계가 코로나19로 침체한 제주 경제 활성화로도 이어질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강인희입니다.

촬영기자:조세준/그래픽:김민수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제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