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확대경] 장애인 고용 저조 기업 명단 공개

입력 2013.11.07 (21:21) 수정 2013.11.07 (22:0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상대적으로 취업이 어려운 장애인들을 배려하는 차원에서 정부는 지난 1991년부터 장애인 의무고용제도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 기업은 물론이고, 국회 같은 국가 기관들에서도 장애인 고용이 여전히 저조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고용노동부가 그 명단을 공개했습니다.

하송연 기자가 전합니다.

<리포트>

장애인 의무 고용 비율은 공공기관과 민간기업이 조금 다릅니다.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경우엔 공무원의 3% 이상을, 기업은 2.5% 이상 장애인을 고용해야합니다.

제도 시행 이후 장애인 고용 비율은 늘고 있지만 의무고용 기준엔 못미칩니다.

고용노동부가 오늘 의무치의 절반가량을 못채운 기관과 기업 명단을 발표했는데, 무려 천 7백 여섯 곳에 이릅니다.

특히 30대 그룹의 경우 현대차와 LG, SK, 롯데 등 25개 그룹의 백여 개 계열사가 장애인 고용 의무를 소홀히 하고 있었습니다.

공공부문도 예외가 아닌데요.

헌법기관인 국회와 11개의 교육청 등 23곳이 포함됐습니다.

장애인을 전혀 고용하지 않는 기업도 지난해 말 기준으로 7백 곳이 넘었는데, 동광주택 GS글로벌 등이 포함됐습니다.

그렇다면 왜 아직도 이렇게 많은 기관과 기업이 장애인을 고용하지 않으려 하는걸까요?

이동환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대통령 직속 원자력 안전 위원회에는 현재 장애인 1명이 근무하고 있습니다.

의무적으로 장애인 3명을 고용해야 하지만 기준에 미치지 못한 겁니다.

<인터뷰> 심은정(홍보팀장) : "타부처에서 직원들이 전입해 와서 근무하다 보니 장애인 직원이 없었어요."

국책연구기관인 기초과학연구원에도 장애인 의무고용 인원이 5명이지만 2명만 근무하고 있습니다.

KBS가 장애인 고용공단과 함께 국내외 장애인 기능경기대회 입상자 27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자 210명 가운데 60%인 125명이 '장애인들에 대한 능력 개발' '사회적 인식 개선' 등을 취업을 위한 해결과제로 꼽았습니다.

장애인 고용률이 낮은 또 다른 이유는 처벌이 가볍기 때문...

고용률이 기준에 못 미치는 회사나 기관의 사업주는 장애인 1인당 월 62만원 정도의 부담금만 내면 그만입니다.

그나마 상시 근로자 100인 미만의 기업은 부담금 부과 대상에서도 빠져 있습니다.

<인터뷰> 장애인 공단 실장 : "예산이 부족하고 부정적 인식이 있어 이들의 직업 능력 향상 시킬수 있는 시스템 마련이 필요"

장애인들의 능력 개발과 고용 유인을 위한 사회적 장치 마련이 문제해결의 첫 걸음입니다.

KBS 뉴스 이동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9확대경] 장애인 고용 저조 기업 명단 공개
    • 입력 2013-11-07 21:20:07
    • 수정2013-11-07 22:01:51
    뉴스 9
<앵커 멘트>

상대적으로 취업이 어려운 장애인들을 배려하는 차원에서 정부는 지난 1991년부터 장애인 의무고용제도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 기업은 물론이고, 국회 같은 국가 기관들에서도 장애인 고용이 여전히 저조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고용노동부가 그 명단을 공개했습니다.

하송연 기자가 전합니다.

<리포트>

장애인 의무 고용 비율은 공공기관과 민간기업이 조금 다릅니다.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경우엔 공무원의 3% 이상을, 기업은 2.5% 이상 장애인을 고용해야합니다.

제도 시행 이후 장애인 고용 비율은 늘고 있지만 의무고용 기준엔 못미칩니다.

고용노동부가 오늘 의무치의 절반가량을 못채운 기관과 기업 명단을 발표했는데, 무려 천 7백 여섯 곳에 이릅니다.

특히 30대 그룹의 경우 현대차와 LG, SK, 롯데 등 25개 그룹의 백여 개 계열사가 장애인 고용 의무를 소홀히 하고 있었습니다.

공공부문도 예외가 아닌데요.

헌법기관인 국회와 11개의 교육청 등 23곳이 포함됐습니다.

장애인을 전혀 고용하지 않는 기업도 지난해 말 기준으로 7백 곳이 넘었는데, 동광주택 GS글로벌 등이 포함됐습니다.

그렇다면 왜 아직도 이렇게 많은 기관과 기업이 장애인을 고용하지 않으려 하는걸까요?

이동환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대통령 직속 원자력 안전 위원회에는 현재 장애인 1명이 근무하고 있습니다.

의무적으로 장애인 3명을 고용해야 하지만 기준에 미치지 못한 겁니다.

<인터뷰> 심은정(홍보팀장) : "타부처에서 직원들이 전입해 와서 근무하다 보니 장애인 직원이 없었어요."

국책연구기관인 기초과학연구원에도 장애인 의무고용 인원이 5명이지만 2명만 근무하고 있습니다.

KBS가 장애인 고용공단과 함께 국내외 장애인 기능경기대회 입상자 27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자 210명 가운데 60%인 125명이 '장애인들에 대한 능력 개발' '사회적 인식 개선' 등을 취업을 위한 해결과제로 꼽았습니다.

장애인 고용률이 낮은 또 다른 이유는 처벌이 가볍기 때문...

고용률이 기준에 못 미치는 회사나 기관의 사업주는 장애인 1인당 월 62만원 정도의 부담금만 내면 그만입니다.

그나마 상시 근로자 100인 미만의 기업은 부담금 부과 대상에서도 빠져 있습니다.

<인터뷰> 장애인 공단 실장 : "예산이 부족하고 부정적 인식이 있어 이들의 직업 능력 향상 시킬수 있는 시스템 마련이 필요"

장애인들의 능력 개발과 고용 유인을 위한 사회적 장치 마련이 문제해결의 첫 걸음입니다.

KBS 뉴스 이동환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