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취 대학생 사고 잇따라…음주 문화 바뀌어야!

입력 2015.09.15 (21:39) 수정 2015.09.15 (21:5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최근 만취한 대학생이 흉기를 휘둘러 이웃 주민을 살해한 사건이 잇따라 일어났습니다.

대학가에서 과도한 음주로 인한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어서 대책 마련이 시급합니다.

박민철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거리 곳곳에서 술에 취한 젊은 남녀가 비틀거립니다.

몸을 가누지 못해 주저 앉는가 하면, 술을 이기지 못해 아예 길거리에 쓰러져 잠들기도 합니다.

인근 경찰 지구대는 밤만 되면 반복적으로 일어나는 음주 관련 사건사고 때문에 골머리를 앓고 있습니다.

<녹취> 경찰 관계자(음성변조) : "대학생들도 많고, 유독 젊은 층이 많긴 많죠. 술 먹고 문제되는 경우가 많죠. 통제가 안 되는 사람도 있고.."

지난달에만 만취한 대학생이 이웃 주민을 살해하는 사건이 두 차례나 일어났고, 대학생들이 술자리에서 숨지는 사고도 해마다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대학생들의 무절제한 음주 문화가 끔찍한 범죄와 안타까운 희생으로 이어지고 있는 겁니다.

대학생 10명 가운데 3명 이상이 음주 후 기억이 나지 않는 이른바 '블랙아웃 현상'을 경험했고, 14%는 폭력을 휘둘렀던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인터뷰> 최철우(대학생) : "1학년 때는 아무래도 조금 마실 수밖에 없는 상황이 많긴 했죠. 특히 대면식이나 선배들하고 같이 술자리 있을 경우에는.."

절제하고 예의를 지키는 건전한 음주 문화를 대학가에 정착시키기 위한 노력이 시급합니다.

<인터뷰> 방형애(대한보건협회 기획실장) : "과음하지 않도록... 다섯 잔 이상은 무조건 '폭음' 입니다. 상대방의 주량을 넘어서는 수준에 대해서는 '권주'하지 않아야 합니다."

신입생들이 건전한 음주와 사교 문화를 익힐 수 있도록 대학이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는 견해도 나옵니다.

KBS 뉴스 박민철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만취 대학생 사고 잇따라…음주 문화 바뀌어야!
    • 입력 2015-09-15 21:46:50
    • 수정2015-09-15 21:55:04
    뉴스9(경인)
<앵커 멘트>

최근 만취한 대학생이 흉기를 휘둘러 이웃 주민을 살해한 사건이 잇따라 일어났습니다.

대학가에서 과도한 음주로 인한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어서 대책 마련이 시급합니다.

박민철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거리 곳곳에서 술에 취한 젊은 남녀가 비틀거립니다.

몸을 가누지 못해 주저 앉는가 하면, 술을 이기지 못해 아예 길거리에 쓰러져 잠들기도 합니다.

인근 경찰 지구대는 밤만 되면 반복적으로 일어나는 음주 관련 사건사고 때문에 골머리를 앓고 있습니다.

<녹취> 경찰 관계자(음성변조) : "대학생들도 많고, 유독 젊은 층이 많긴 많죠. 술 먹고 문제되는 경우가 많죠. 통제가 안 되는 사람도 있고.."

지난달에만 만취한 대학생이 이웃 주민을 살해하는 사건이 두 차례나 일어났고, 대학생들이 술자리에서 숨지는 사고도 해마다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대학생들의 무절제한 음주 문화가 끔찍한 범죄와 안타까운 희생으로 이어지고 있는 겁니다.

대학생 10명 가운데 3명 이상이 음주 후 기억이 나지 않는 이른바 '블랙아웃 현상'을 경험했고, 14%는 폭력을 휘둘렀던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인터뷰> 최철우(대학생) : "1학년 때는 아무래도 조금 마실 수밖에 없는 상황이 많긴 했죠. 특히 대면식이나 선배들하고 같이 술자리 있을 경우에는.."

절제하고 예의를 지키는 건전한 음주 문화를 대학가에 정착시키기 위한 노력이 시급합니다.

<인터뷰> 방형애(대한보건협회 기획실장) : "과음하지 않도록... 다섯 잔 이상은 무조건 '폭음' 입니다. 상대방의 주량을 넘어서는 수준에 대해서는 '권주'하지 않아야 합니다."

신입생들이 건전한 음주와 사교 문화를 익힐 수 있도록 대학이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는 견해도 나옵니다.

KBS 뉴스 박민철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