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물인터넷이 화재 감지부터 신고까지

입력 2015.12.29 (07:43) 수정 2015.12.29 (08:1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사람이 없을 때 불이 나면 신고 시간이 늦어져 더 큰 피해로 이어지는데요,

실내 온도 변화를 감지해 불이 나면 119에 자동으로 신고하는 시스템이 처음으로 도입됐습니다.

홍성희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시뻘건 불길이 창문을 뚫고 나옵니다.

음식점 주인이 가스레인지 위에 음식물을 올려놓고 자리를 비운 사이 불이 난 겁니다.

앞으론 사람이 없을 때 불이 나도 실시간 신고가 가능합니다.

서울의 한 게스트 하우스, 실내 벽면에 감지기가 부착돼 있습니다.

반경 30미터의 안의 온도와 습도, 먼지 등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겁니다.

특히 온도가 70도 이상 오르면 불이 난 것으로 판단해 집 주인과 119 상황실에 긴급 문자를 보냅니다.

문자에는 건물 주소와 연락처, 실내 온도 등의 정보가 포함돼 신속한 출동이 가능합니다.

<인터뷰> 김시영(게스트하우스 주인) : "저녁 때 잠자다가도 알람 서비스가 오고 문자 서비스가 오니까 손님들이 혹시 모를 불안감을 해소하고."

사물 인터넷을 활용한 119 신고 서비스는 앞으로 더 확대될 것으로 보입니다.

<인터뷰> 정재후(서울소방본부 전산기획팀장) : "2017년 이후에 가전제품에 사물 인터넷이 설치된다면 가전제품에서도 119 신고 서비스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서울소방본부는 앞으로 온도뿐 아니라, 연기와 가스도 감지해 119에 신고하는 시스템을 개발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홍성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사물인터넷이 화재 감지부터 신고까지
    • 입력 2015-12-29 07:46:12
    • 수정2015-12-29 08:10:52
    뉴스광장
<앵커 멘트>

사람이 없을 때 불이 나면 신고 시간이 늦어져 더 큰 피해로 이어지는데요,

실내 온도 변화를 감지해 불이 나면 119에 자동으로 신고하는 시스템이 처음으로 도입됐습니다.

홍성희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시뻘건 불길이 창문을 뚫고 나옵니다.

음식점 주인이 가스레인지 위에 음식물을 올려놓고 자리를 비운 사이 불이 난 겁니다.

앞으론 사람이 없을 때 불이 나도 실시간 신고가 가능합니다.

서울의 한 게스트 하우스, 실내 벽면에 감지기가 부착돼 있습니다.

반경 30미터의 안의 온도와 습도, 먼지 등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겁니다.

특히 온도가 70도 이상 오르면 불이 난 것으로 판단해 집 주인과 119 상황실에 긴급 문자를 보냅니다.

문자에는 건물 주소와 연락처, 실내 온도 등의 정보가 포함돼 신속한 출동이 가능합니다.

<인터뷰> 김시영(게스트하우스 주인) : "저녁 때 잠자다가도 알람 서비스가 오고 문자 서비스가 오니까 손님들이 혹시 모를 불안감을 해소하고."

사물 인터넷을 활용한 119 신고 서비스는 앞으로 더 확대될 것으로 보입니다.

<인터뷰> 정재후(서울소방본부 전산기획팀장) : "2017년 이후에 가전제품에 사물 인터넷이 설치된다면 가전제품에서도 119 신고 서비스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서울소방본부는 앞으로 온도뿐 아니라, 연기와 가스도 감지해 119에 신고하는 시스템을 개발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홍성희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