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리포트] 北 미사일 감시망 구축…軍 “영토 낙하시 요격”

입력 2016.02.04 (21:13) 수정 2016.02.04 (21:2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발사가 초읽기에 들어가면서 우리 군도 미사일 추적을 위한 총력 감시 태세에 돌입했습니다.

먼저 지상에선 탐지거리 500km의 그린파인 레이더가, 그리고 공중에선 하늘 위의 통제소로 불리는 피스아이가 북한의 미사일 발사를 감시하고 있습니다.

서해와 남해에는 이지스 구축함 2척이 스파이 레이더를 동원해 낙하하는 추진체를 추적합니다.

미국 또한 조기경보위성과 적외선탐지위성, 그리고 첩보위성들이 우주에서 발사 움직임을 속속들이 들여다보고 있고, 동해상에 이지스함을 전개해놓고 있습니다.

지상과 해상, 공중에 입체적인 감시망을 구축한 군은 우리 영토로 미사일이나 잔해가 떨어질 경우 요격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호을 기자의 보도입니다.

[연관 기사]
☞ 미사일 발사 앞두고 “절대복종” 강조…대규모 숙청도?
☞ 北 발사체, 2012년 은하3호와 차이는?


<리포트>

북한이 밝힌 대로라면 1단 로켓은 군산 앞바다, 페어링은 제주 서쪽 해상에 떨어집니다.

문제는 로켓이 북한의 의도대로 비행하지 않고 우리 영토에 추락할 경웁니다.

로켓 추진체가 인구 밀집 지역에 떨어지면, 막대한 인명과 재산 피해가 우려됩니다.

우리 군은 로켓 본체나 잔해가 우리 영토와 영해에 낙하할 경우 즉각 요격에 나설 방침입니다.

<녹취> 문상균(국방부 대변인) : "우리 영토 내 낙탄 지역과 피해 정도에 따라서 자위권 차원의 응당한 조치를 취할 것입니다."

우리 군의 요격 수단은 패트리엇 미사일입니다.

요격 가능 고도가 15km로 제한적이지만 종말 단계의 비행체 격추는 가능하다고 군 당국은 설명합니다.

주한 미군이 보유한 신형 패트리엇 미사일은 최고 고도 40km로 요격 능력에선 앞섭니다.

하지만 패트리엇 미사일의 요격 성공률이 높지 않아 완벽한 방어망 구축은 어렵습니다.

이지스함에 탑재된 SM-2 함대공 미사일도 요격 고도가 24km에 그쳐 고고도로 비행하는 탄도미사일 요격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KBS 뉴스 이호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앵커&리포트] 北 미사일 감시망 구축…軍 “영토 낙하시 요격”
    • 입력 2016-02-04 21:14:43
    • 수정2016-02-04 21:29:00
    뉴스 9
<앵커 멘트>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발사가 초읽기에 들어가면서 우리 군도 미사일 추적을 위한 총력 감시 태세에 돌입했습니다.

먼저 지상에선 탐지거리 500km의 그린파인 레이더가, 그리고 공중에선 하늘 위의 통제소로 불리는 피스아이가 북한의 미사일 발사를 감시하고 있습니다.

서해와 남해에는 이지스 구축함 2척이 스파이 레이더를 동원해 낙하하는 추진체를 추적합니다.

미국 또한 조기경보위성과 적외선탐지위성, 그리고 첩보위성들이 우주에서 발사 움직임을 속속들이 들여다보고 있고, 동해상에 이지스함을 전개해놓고 있습니다.

지상과 해상, 공중에 입체적인 감시망을 구축한 군은 우리 영토로 미사일이나 잔해가 떨어질 경우 요격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호을 기자의 보도입니다.

[연관 기사]
☞ 미사일 발사 앞두고 “절대복종” 강조…대규모 숙청도?
☞ 北 발사체, 2012년 은하3호와 차이는?


<리포트>

북한이 밝힌 대로라면 1단 로켓은 군산 앞바다, 페어링은 제주 서쪽 해상에 떨어집니다.

문제는 로켓이 북한의 의도대로 비행하지 않고 우리 영토에 추락할 경웁니다.

로켓 추진체가 인구 밀집 지역에 떨어지면, 막대한 인명과 재산 피해가 우려됩니다.

우리 군은 로켓 본체나 잔해가 우리 영토와 영해에 낙하할 경우 즉각 요격에 나설 방침입니다.

<녹취> 문상균(국방부 대변인) : "우리 영토 내 낙탄 지역과 피해 정도에 따라서 자위권 차원의 응당한 조치를 취할 것입니다."

우리 군의 요격 수단은 패트리엇 미사일입니다.

요격 가능 고도가 15km로 제한적이지만 종말 단계의 비행체 격추는 가능하다고 군 당국은 설명합니다.

주한 미군이 보유한 신형 패트리엇 미사일은 최고 고도 40km로 요격 능력에선 앞섭니다.

하지만 패트리엇 미사일의 요격 성공률이 높지 않아 완벽한 방어망 구축은 어렵습니다.

이지스함에 탑재된 SM-2 함대공 미사일도 요격 고도가 24km에 그쳐 고고도로 비행하는 탄도미사일 요격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KBS 뉴스 이호을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