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비주류, 사실상 9일 탄핵 표결 참여 결정

입력 2016.12.04 (21:01) 수정 2016.12.04 (22:0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새누리당 비주류 의원들이, 박근혜 대통령이 조기 퇴진 일정을 밝히는 것과 관계 없이, 여야 합의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탄핵 표결에 참여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캐스팅 보트를 쥔 비주류가, 사실상 탄핵에 동참하기로 하면서, 탄핵안 가결 가능성이 한층 높아졌다는 전망이 나옵니다.

박민철 기자입니다.

<리포트>

새누리당 비주류 모임인 비상시국회의가 여야 협상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오는 9일 탄핵 표결에 조건 없이 참여하기로 결정했습니다.

국민 분노가 청와대를 넘어 국회를 향하고 있다며 '박 대통령은 즉시 퇴임하라'는 국민의 뜻을 확인했다는 겁니다.

<녹취> 황영철(새누리당 의원) : "주권자인 국민의 명령을 받들고 국민들께서 조속히 일상에 복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시급하다는 (결론에 이르렀습니다)"

대통령과의 면담 요청이 들어와도 거부하겠다며, 대통령이 자진 퇴진 시점을 밝히는 것과 관계 없이 탄핵 표결에 참여할 것임을 분명히 했습니다.

비상시국회의는 참석자들의 탄핵 찬성 뜻을 모았다고 밝혔지만, 전원 찬성이란 표현엔 신중을 기했습니다.

<녹취> 황영철(새누리당 의원) : "우리가 단정적으로 얘기하기는 어렵다는 겁니다. 다만 비상시국회의는 이 탄핵안이 가결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만은 분명히 말씀드립니다."

친박 지도부는 당혹감 속에 침묵을 지켰습니다.

새누리당은 촛불 민심 앞에 백번이라도 거듭 반성한다며 여야간 협상을 촉구했습니다.

<녹취> 염동열(새누리당 수석대변인) : "여야가 마주 앉아 국정 안정과 난국 타개의 해법이 나와주길 기대합니다."

여당 비주류의 탄핵 표결 동참 결정으로 탄핵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대통령 자진 사퇴론을 내세우던 지도부의 고심이 한층 깊어졌습니다.

KBS 뉴스 박민철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與 비주류, 사실상 9일 탄핵 표결 참여 결정
    • 입력 2016-12-04 21:02:31
    • 수정2016-12-04 22:05:10
    뉴스 9
<앵커 멘트>

새누리당 비주류 의원들이, 박근혜 대통령이 조기 퇴진 일정을 밝히는 것과 관계 없이, 여야 합의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탄핵 표결에 참여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캐스팅 보트를 쥔 비주류가, 사실상 탄핵에 동참하기로 하면서, 탄핵안 가결 가능성이 한층 높아졌다는 전망이 나옵니다.

박민철 기자입니다.

<리포트>

새누리당 비주류 모임인 비상시국회의가 여야 협상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오는 9일 탄핵 표결에 조건 없이 참여하기로 결정했습니다.

국민 분노가 청와대를 넘어 국회를 향하고 있다며 '박 대통령은 즉시 퇴임하라'는 국민의 뜻을 확인했다는 겁니다.

<녹취> 황영철(새누리당 의원) : "주권자인 국민의 명령을 받들고 국민들께서 조속히 일상에 복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시급하다는 (결론에 이르렀습니다)"

대통령과의 면담 요청이 들어와도 거부하겠다며, 대통령이 자진 퇴진 시점을 밝히는 것과 관계 없이 탄핵 표결에 참여할 것임을 분명히 했습니다.

비상시국회의는 참석자들의 탄핵 찬성 뜻을 모았다고 밝혔지만, 전원 찬성이란 표현엔 신중을 기했습니다.

<녹취> 황영철(새누리당 의원) : "우리가 단정적으로 얘기하기는 어렵다는 겁니다. 다만 비상시국회의는 이 탄핵안이 가결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만은 분명히 말씀드립니다."

친박 지도부는 당혹감 속에 침묵을 지켰습니다.

새누리당은 촛불 민심 앞에 백번이라도 거듭 반성한다며 여야간 협상을 촉구했습니다.

<녹취> 염동열(새누리당 수석대변인) : "여야가 마주 앉아 국정 안정과 난국 타개의 해법이 나와주길 기대합니다."

여당 비주류의 탄핵 표결 동참 결정으로 탄핵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대통령 자진 사퇴론을 내세우던 지도부의 고심이 한층 깊어졌습니다.

KBS 뉴스 박민철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