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바지 이른 ‘탄핵 정국’…변수는?

입력 2016.12.08 (08:07) 수정 2016.12.08 (09:1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헌정 사상 두 번째 대통령 탄핵소추안 표결이 이제 하루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탄핵안 추진 관련 상황 송영석 기자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질문>
송 기자! 안녕하세요.

새누리당 비박계의 결단으로 탄핵안 통과 가능성 한층 높아진 상황에서, 이제 탄핵 열차에 여당 의원들이 얼마나 더 올라탈지만 남은 상황으로 봐야겠죠?

<답변>
네, 탄핵 소추안 표결 하루 앞두고 있는데, 여야 각 진영 막판까지 표 계산에 분주한 모습입니다.

새누리당에서 최소 28표가 나와야 탄핵안 통과가 가능한상황인데, 비박계는 현재까지 파악한 여당 내 찬성 의원 35명이 확보가 됐고, 중도에 이탈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장담하고 있고요,

여기에 중립 성향과 친박계 중 이른바 '샤이 탄핵파'도 꽤 있다고 보고 조심스럽게 낙관론을 펴고 있습니다.

<질문>
어제 저녁, 새누리당 이정현 대표가 긴급 기자회견을 자청했어요, 어떤 얘기가 나왔나요?

<답변>
네, 이 대표는 탄핵안이 부결이 되든 가결이 되든 대통령이 퇴진 입장을 밝혔던 시점이죠,

내년 4월에 무조건 사퇴해야 한다는 주장을 폈습니다.

사견임을 전제로 한 말인데, 이 대표 평소 성향으로 볼적에 청와대와 교감 하에 나왔을 가능성이 커보이고요,

탄핵이 안되도 중도 퇴진을 한다는 뜻으로 읽혀지기 때문에 탄핵 찬성 입장이라고 해도 굳이 탄핵까지 할 필요 있나 하는 생각을 조금이라도 갖는 의원이 있다면 충분히 고려해볼 수 있는 대목이죠,

그런 측면에서 끝까지 고민 중인 의원들에 대한 회유책이다 란 분석이 나옵니다.

<질문>
탄핵 표결을 앞두고 그만큼 다급해진 게 아니냐는 분석도 나오는 거 같아요?

<답변>
탄핵안 처리 관련해서 여러 시나리오들이 나오고 있지만, 어쨋든 현재까지는 가결 가능성에 더 무게가 실리고 있는데요,

탄핵보다는 조기 퇴진을 원한다고 대통령이 직접 밝힌 상황에서 청와대는 이제 국회 상황을 지켜보는 것 밖에 할 수 있는 게 없지 않냐는 입장이긴 합니다만 본회의 일정이 다가오면서 탄핵이 현실화될 수 있다는 위기감 당연히 커질 수 밖에 없을 거고요,

이런 상황에서 박 대통령이 오늘 쯤 의원들에게 일일이 전화를 걸어서 직접 호소에 나설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는데 그럴 경우 이 영향력도 무시할 수 없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질문>
친박 위주인 여당 지도부도 다급한 건 마찬가지 아니겠습니까?

<답변>
친박계 의원들 중에서도 찬성표를 던질 의원들이 최대 10명 안팎은 된다는 말이 비박계 쪽에서 흘러나오고 있습니다.

물론 끝까지 상황을 봐야겠지만요,

만약 찬성표가 220표 정도, 그 이상 나와서 의결정족수 2백표를 훌쩍 넘어 압도적으로 가결이 된다면 당내 주도권이 완전히 비주류 쪽으로 쏠리면서 친박계는 사실상 폐족이 될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입니다.

그런만큼 친박계로서는 최대한 이탈표를 막으려 할 수 밖에 없는 것이고요,

가결 시 다른 경우의 수인데, 만약 2백 표 초반대로 가결이 됐다, 친박계 내부 이탈이 거의 없는 걸로 결론이 난다면 친박계가 당내 주도권을 일정 수준 확인한 것이 되기 때문에 당내 계파 노선 갈등이 더 치열할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질문>
박 대통령의 전화 호소 가능성과 함께, 비박계가 탄핵 사유에서 세월호 7시간 관련 대목을 제외시켜달라고 야당에 요청한 것이 막판 변수가 되고 있는 거 같아요?

<답변>
네, 비박계 모임 간사인 황영철 의원이 이런 얘길 했습니다.

지금 당내에서는 세월호 안이 포함되느냐 안되느냐에 따라서 찬반이 갈리는 의원들이 확인되고 있다는 건데요,

그 간 야권에서 진상규명을 요구해온 세월호 7시간 대목이 포함되면 탄핵 표결에 동참해도 그저 야권에 끌려간다는 인상만 심어 줄 수 있다는 우려가 작용한 것으로 보이고요,

그러면서 아직 사실 관계도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헌재의 심사 기간만 길어질 수 있다는 논리를 펴고 있습니다.

<질문>
세월호 부분을 빼달라는 비박계 요구에 대한 야당 반응은 어떻습니까?

<답변>
네, 요구가 나오자마자 야권은 한 목소리로 일축했는데요,

민주당은 대변인 논평을 통해 세월호 7시간을 빼자는 주장은 일고의 가치도 없다, 악마와 거래할 생각이 없다고 했고요,

국민의당도 대변인이 나서서 세월호 7시간은 양해는 물론 양해 논의의 대상도 아니라고 선을 그었습니다.

<질문>
그러나 탄핵안의 열쇠를 쥔 여당 비주류의 요구를 일방적으로 무시할 수도 없는 노릇일텐데요?

<답변>
네, 민주당 우상호 원내대표 어제 오후 기자간담회에서 세월호 7시간 포함 여부와 관련해 복잡한 속내를 드러냈습니다.

여당 비주류 모임에서 이걸 빼지 않으면 탄핵안에 찬성할 수 없다는 의원들의 숫자가 적지 않다고 해서 고민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이 문제가 탄핵안을 부결시킬 정도의 사안인지, 가결을 위해 각론으로 빼야하는 지 숙고하고 있다며 양보할 가능성을 열어뒀습니다.

하지만 국민의당이 세월호 7시간 삭제 문제 역시 야 3당이 합의해야 한다면서 원안을 고수한다는 입장이라 협의가 전제돼야 할 것 같고요,

특히나 세월호 참사 당일 비상 상황에서 대통령이 머리를 만지는데 시간을 썼다는 보도가 나온 이후 여론이 악화되고 있는 점 또한 야당으로서는 크게 신경이 쓰일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세월호 7시간 문제는 내일 탄핵안을 본회의에 넘겨 표결하기 전까지 최대 변수 중 하나가 될 전망입니다.

<질문>
네, 마지막으로 탄핵소추안 표결이 임박하고 있는 상황에서 여야 정치권 움직임 어떻게 전개될지 궁금한데요?

<답변>
네, 일단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가결이든 부결이든 어떤 결과가 나오든 향후 정국은 혼돈에 빠질 수 밖에 없습니다.

먼저 야당 입장에선 압도적 숫자든 아니든 가결이 되면 국민의 뜻에 따라 탄핵 정국을 이끌었다는 논리로, 대통령 즉각 퇴진을 계속 요구해 나가면서 대선에서의 유리한 국면을 만들어 나가기 위한 전략을 펴 나갈 가능성이 높아 보이고요,

반대로 부결이 되더라도 가장 큰 책임은 여당에 있다고 대여 공세를 펼 수 있기 때문에 결코 불리하지 않다는 기류도 읽힙니다.

다만, 부결시 야당 역시 비판적 여론에 직면할 수 밖에 없고, 의원직 총사퇴나 국회해산 같은 말을 공언해왔기 때문에, 야당에게도 역시 부담으로 작용하는 측면도 있습니다.

때문에 표결 직전까지는 탄핵 가결을 위한 야권 공조 그리고 대여 압박을 높여가는 전략을 구사할 것으로 보입니다.

여당은 야당과는 좀 다르게 당장의 당내 역학구도, 그러니까 표결 이후의 향후 계파간 주도권 확보를 위한 수싸움에 몰두할 수 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친박 지도부는 주도권을 놓치지 않기 위해 최대한 친박계의 이탈을 방지하려고 안간힘을 쓸 것으로 보이고요,

비박계는 가결을 성사시키되 최대한 찬성표가 나와야 주류가 될 수 있고 그래야만 새로운 보수정당으로 탈바꿈 시켜 대선을 위해 전열을 가다듬는 것이 가능하다고 보고 있기 때문에 비박계 내부 단속과 함께 친박의 이탈을 최대한 이끌어내기 위한 노력, 앞서 얘기 나눴던 탄핵안에서 세월호 7시간 부분을 삭제해달라는 요청에도 이탈표를 늘리기 위한 의도가 깔려 있는 것이거든요,

내일 표결 직 전까지 이런 비박계와 친박계 간의 사활을 건 대결이 이어질 걸로 보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막바지 이른 ‘탄핵 정국’…변수는?
    • 입력 2016-12-08 08:11:06
    • 수정2016-12-08 09:10:55
    아침뉴스타임
<앵커 멘트>

헌정 사상 두 번째 대통령 탄핵소추안 표결이 이제 하루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탄핵안 추진 관련 상황 송영석 기자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질문>
송 기자! 안녕하세요.

새누리당 비박계의 결단으로 탄핵안 통과 가능성 한층 높아진 상황에서, 이제 탄핵 열차에 여당 의원들이 얼마나 더 올라탈지만 남은 상황으로 봐야겠죠?

<답변>
네, 탄핵 소추안 표결 하루 앞두고 있는데, 여야 각 진영 막판까지 표 계산에 분주한 모습입니다.

새누리당에서 최소 28표가 나와야 탄핵안 통과가 가능한상황인데, 비박계는 현재까지 파악한 여당 내 찬성 의원 35명이 확보가 됐고, 중도에 이탈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장담하고 있고요,

여기에 중립 성향과 친박계 중 이른바 '샤이 탄핵파'도 꽤 있다고 보고 조심스럽게 낙관론을 펴고 있습니다.

<질문>
어제 저녁, 새누리당 이정현 대표가 긴급 기자회견을 자청했어요, 어떤 얘기가 나왔나요?

<답변>
네, 이 대표는 탄핵안이 부결이 되든 가결이 되든 대통령이 퇴진 입장을 밝혔던 시점이죠,

내년 4월에 무조건 사퇴해야 한다는 주장을 폈습니다.

사견임을 전제로 한 말인데, 이 대표 평소 성향으로 볼적에 청와대와 교감 하에 나왔을 가능성이 커보이고요,

탄핵이 안되도 중도 퇴진을 한다는 뜻으로 읽혀지기 때문에 탄핵 찬성 입장이라고 해도 굳이 탄핵까지 할 필요 있나 하는 생각을 조금이라도 갖는 의원이 있다면 충분히 고려해볼 수 있는 대목이죠,

그런 측면에서 끝까지 고민 중인 의원들에 대한 회유책이다 란 분석이 나옵니다.

<질문>
탄핵 표결을 앞두고 그만큼 다급해진 게 아니냐는 분석도 나오는 거 같아요?

<답변>
탄핵안 처리 관련해서 여러 시나리오들이 나오고 있지만, 어쨋든 현재까지는 가결 가능성에 더 무게가 실리고 있는데요,

탄핵보다는 조기 퇴진을 원한다고 대통령이 직접 밝힌 상황에서 청와대는 이제 국회 상황을 지켜보는 것 밖에 할 수 있는 게 없지 않냐는 입장이긴 합니다만 본회의 일정이 다가오면서 탄핵이 현실화될 수 있다는 위기감 당연히 커질 수 밖에 없을 거고요,

이런 상황에서 박 대통령이 오늘 쯤 의원들에게 일일이 전화를 걸어서 직접 호소에 나설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는데 그럴 경우 이 영향력도 무시할 수 없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질문>
친박 위주인 여당 지도부도 다급한 건 마찬가지 아니겠습니까?

<답변>
친박계 의원들 중에서도 찬성표를 던질 의원들이 최대 10명 안팎은 된다는 말이 비박계 쪽에서 흘러나오고 있습니다.

물론 끝까지 상황을 봐야겠지만요,

만약 찬성표가 220표 정도, 그 이상 나와서 의결정족수 2백표를 훌쩍 넘어 압도적으로 가결이 된다면 당내 주도권이 완전히 비주류 쪽으로 쏠리면서 친박계는 사실상 폐족이 될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입니다.

그런만큼 친박계로서는 최대한 이탈표를 막으려 할 수 밖에 없는 것이고요,

가결 시 다른 경우의 수인데, 만약 2백 표 초반대로 가결이 됐다, 친박계 내부 이탈이 거의 없는 걸로 결론이 난다면 친박계가 당내 주도권을 일정 수준 확인한 것이 되기 때문에 당내 계파 노선 갈등이 더 치열할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질문>
박 대통령의 전화 호소 가능성과 함께, 비박계가 탄핵 사유에서 세월호 7시간 관련 대목을 제외시켜달라고 야당에 요청한 것이 막판 변수가 되고 있는 거 같아요?

<답변>
네, 비박계 모임 간사인 황영철 의원이 이런 얘길 했습니다.

지금 당내에서는 세월호 안이 포함되느냐 안되느냐에 따라서 찬반이 갈리는 의원들이 확인되고 있다는 건데요,

그 간 야권에서 진상규명을 요구해온 세월호 7시간 대목이 포함되면 탄핵 표결에 동참해도 그저 야권에 끌려간다는 인상만 심어 줄 수 있다는 우려가 작용한 것으로 보이고요,

그러면서 아직 사실 관계도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헌재의 심사 기간만 길어질 수 있다는 논리를 펴고 있습니다.

<질문>
세월호 부분을 빼달라는 비박계 요구에 대한 야당 반응은 어떻습니까?

<답변>
네, 요구가 나오자마자 야권은 한 목소리로 일축했는데요,

민주당은 대변인 논평을 통해 세월호 7시간을 빼자는 주장은 일고의 가치도 없다, 악마와 거래할 생각이 없다고 했고요,

국민의당도 대변인이 나서서 세월호 7시간은 양해는 물론 양해 논의의 대상도 아니라고 선을 그었습니다.

<질문>
그러나 탄핵안의 열쇠를 쥔 여당 비주류의 요구를 일방적으로 무시할 수도 없는 노릇일텐데요?

<답변>
네, 민주당 우상호 원내대표 어제 오후 기자간담회에서 세월호 7시간 포함 여부와 관련해 복잡한 속내를 드러냈습니다.

여당 비주류 모임에서 이걸 빼지 않으면 탄핵안에 찬성할 수 없다는 의원들의 숫자가 적지 않다고 해서 고민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이 문제가 탄핵안을 부결시킬 정도의 사안인지, 가결을 위해 각론으로 빼야하는 지 숙고하고 있다며 양보할 가능성을 열어뒀습니다.

하지만 국민의당이 세월호 7시간 삭제 문제 역시 야 3당이 합의해야 한다면서 원안을 고수한다는 입장이라 협의가 전제돼야 할 것 같고요,

특히나 세월호 참사 당일 비상 상황에서 대통령이 머리를 만지는데 시간을 썼다는 보도가 나온 이후 여론이 악화되고 있는 점 또한 야당으로서는 크게 신경이 쓰일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세월호 7시간 문제는 내일 탄핵안을 본회의에 넘겨 표결하기 전까지 최대 변수 중 하나가 될 전망입니다.

<질문>
네, 마지막으로 탄핵소추안 표결이 임박하고 있는 상황에서 여야 정치권 움직임 어떻게 전개될지 궁금한데요?

<답변>
네, 일단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가결이든 부결이든 어떤 결과가 나오든 향후 정국은 혼돈에 빠질 수 밖에 없습니다.

먼저 야당 입장에선 압도적 숫자든 아니든 가결이 되면 국민의 뜻에 따라 탄핵 정국을 이끌었다는 논리로, 대통령 즉각 퇴진을 계속 요구해 나가면서 대선에서의 유리한 국면을 만들어 나가기 위한 전략을 펴 나갈 가능성이 높아 보이고요,

반대로 부결이 되더라도 가장 큰 책임은 여당에 있다고 대여 공세를 펼 수 있기 때문에 결코 불리하지 않다는 기류도 읽힙니다.

다만, 부결시 야당 역시 비판적 여론에 직면할 수 밖에 없고, 의원직 총사퇴나 국회해산 같은 말을 공언해왔기 때문에, 야당에게도 역시 부담으로 작용하는 측면도 있습니다.

때문에 표결 직전까지는 탄핵 가결을 위한 야권 공조 그리고 대여 압박을 높여가는 전략을 구사할 것으로 보입니다.

여당은 야당과는 좀 다르게 당장의 당내 역학구도, 그러니까 표결 이후의 향후 계파간 주도권 확보를 위한 수싸움에 몰두할 수 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친박 지도부는 주도권을 놓치지 않기 위해 최대한 친박계의 이탈을 방지하려고 안간힘을 쓸 것으로 보이고요,

비박계는 가결을 성사시키되 최대한 찬성표가 나와야 주류가 될 수 있고 그래야만 새로운 보수정당으로 탈바꿈 시켜 대선을 위해 전열을 가다듬는 것이 가능하다고 보고 있기 때문에 비박계 내부 단속과 함께 친박의 이탈을 최대한 이끌어내기 위한 노력, 앞서 얘기 나눴던 탄핵안에서 세월호 7시간 부분을 삭제해달라는 요청에도 이탈표를 늘리기 위한 의도가 깔려 있는 것이거든요,

내일 표결 직 전까지 이런 비박계와 친박계 간의 사활을 건 대결이 이어질 걸로 보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