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MW 리콜 차량 부품 교체도 미흡…징벌적 손해배상 추진

입력 2018.08.08 (12:21) 수정 2018.08.08 (12:5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국내 BMW 차량 화재 사고 여파로 BMW 본사가 유럽에서도 리콜을 하기로 결정됐습니다.

BMW 리콜을 계기로 소비자 민원이 줄을 잇는 외제차 수리 문제도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습니다.

보도에 김학재 기자입니다.

[기자]

국내에서 운행중인 BMW 520 d차량에서 하루가 멀다하고 화재 사고가 잇따르고 있는데요.

최근 8개월동안 27대에서 불이 났습니다.

상황이 심각하자 BMW 본사가 유럽에서 운행중인 차량도 리콜을 결정했는데요.

디젤차 32만 4천 대에 대해 리콜을 실시할 계획이라고 현지 언론은 전하고 있는데요.

국내에서도 BMW 리콜 대상 차량에 대해 긴급 안전점검이 진행되고는 있지만 소비자들은 마음을 놓을수 없는 상황입니다.

이번에 국내에서 리콜 대상이 된 BMW 차량은 모두 10만 6천 대인데요.

이 가운데 지금까지 BMW 서비스센터에서 안전진단을 마친 차량은 4만 대입니다.

4만 대중에 8.5%에 해당하는 3,400대가 냉각수 유출 가능성 등 화재 위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가 됐는데요.

이 비율대로라면 전체 리콜 대상 차량 중에 모두 9천 대가 화재 위험에 노출돼 있다는 걸 의미합니다.

그런데 더 큰 심각한 건요, 위험하다는 판정을 받아도 부품을 바로 교체할수 없다는 겁니다.

"화재가 날 수 있다" 이렇게 판단이 된 BMW 차량 3,400 대 중에 부품을 새로 바꾼 건 1,200여 대에 그쳤는데요.

3대중에 한 대만 문제의 부품을 갈았다는 거죠.

"부품이 없으니 일단 렌트카를 이용해라", 이게 BMW 한국지사의 권고사항인데요.

소비자들 화가 머리끝까지 날수 밖에 없겠죠.

마음에 안 드는건 운행을 자제하라는 말이나 하는 국토부도 마찬가지인데요.

급기야 국무총리까지 나서서 국토부에 적극적인 대처를 주문했습니다.

외국처럼 고의적으로 소비자 피해를 가중시킬 경우 엄청난 벌금을 부과하는 징벌적 손해배상도 정부가 추진하기로 했는데요.

차량의 결함을 숨기거나 축소하는 경우에는 매출액 1%의 과징금 부과하는 방안을 검토중입니다.

이번 BMW 리콜사태를 계기로 외제차의 고질적인 문제, 바로 AS 에 대한 불만도 쏟아져 나오고 있는데요.

어디 한군데 고장나서 고치려고 차를 맡기면 2,3개월은 보통이구요.

6개월을 기다려야 하는 경우도 다반사입니다.

수리비도 너무 터무니없이 비싸서요.

외제차 평균 사고 수리비는 국산의 3배에 달하는데요.

이게 구조적 문제가 있습니다.

국산차는 자동차 생산업체가 AS까지 함께 맡고 있는데요.

외제차는 본사 측이 품질 관리를 담당하구요.

딜러사가 AS를 맡다 보니, 정작 소비자 민원이 제기됐을때 서로 책임을 떠넘기고 있기때문입니다.

등록된 외제차는 올해 200만 대를 넘어섰구요, 운전자 10명중 1명은 외제차를 몰고 있는 실정이지만 외제차 직영 서비스센터는 전국적으로 540여 곳에 불과합니다.

그러니까 서비스 센터 한 곳이 대략 3,600대 차량을 소화해야 하는 상황이다 보니 AS가 수개월씩 걸리는게 당연하겠죠.

부품도 자기네 회사 부품만 쓰도록 해서요, "부품 조달이 안돼 많이 늦어집니다." AS센터에서 이런 얘기 들으신 분들 많으실 겁니다.

그래서 1급 정비공장을 협력업체로 지정해서라도 수리 기간을 줄이고요.

부품도 소비자가 선택할수 있게 해서 수리비 단가도 낮추고 보험료 올라가는 것도 막아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학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BMW 리콜 차량 부품 교체도 미흡…징벌적 손해배상 추진
    • 입력 2018-08-08 12:26:05
    • 수정2018-08-08 12:59:36
    뉴스 12
[앵커]

국내 BMW 차량 화재 사고 여파로 BMW 본사가 유럽에서도 리콜을 하기로 결정됐습니다.

BMW 리콜을 계기로 소비자 민원이 줄을 잇는 외제차 수리 문제도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습니다.

보도에 김학재 기자입니다.

[기자]

국내에서 운행중인 BMW 520 d차량에서 하루가 멀다하고 화재 사고가 잇따르고 있는데요.

최근 8개월동안 27대에서 불이 났습니다.

상황이 심각하자 BMW 본사가 유럽에서 운행중인 차량도 리콜을 결정했는데요.

디젤차 32만 4천 대에 대해 리콜을 실시할 계획이라고 현지 언론은 전하고 있는데요.

국내에서도 BMW 리콜 대상 차량에 대해 긴급 안전점검이 진행되고는 있지만 소비자들은 마음을 놓을수 없는 상황입니다.

이번에 국내에서 리콜 대상이 된 BMW 차량은 모두 10만 6천 대인데요.

이 가운데 지금까지 BMW 서비스센터에서 안전진단을 마친 차량은 4만 대입니다.

4만 대중에 8.5%에 해당하는 3,400대가 냉각수 유출 가능성 등 화재 위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가 됐는데요.

이 비율대로라면 전체 리콜 대상 차량 중에 모두 9천 대가 화재 위험에 노출돼 있다는 걸 의미합니다.

그런데 더 큰 심각한 건요, 위험하다는 판정을 받아도 부품을 바로 교체할수 없다는 겁니다.

"화재가 날 수 있다" 이렇게 판단이 된 BMW 차량 3,400 대 중에 부품을 새로 바꾼 건 1,200여 대에 그쳤는데요.

3대중에 한 대만 문제의 부품을 갈았다는 거죠.

"부품이 없으니 일단 렌트카를 이용해라", 이게 BMW 한국지사의 권고사항인데요.

소비자들 화가 머리끝까지 날수 밖에 없겠죠.

마음에 안 드는건 운행을 자제하라는 말이나 하는 국토부도 마찬가지인데요.

급기야 국무총리까지 나서서 국토부에 적극적인 대처를 주문했습니다.

외국처럼 고의적으로 소비자 피해를 가중시킬 경우 엄청난 벌금을 부과하는 징벌적 손해배상도 정부가 추진하기로 했는데요.

차량의 결함을 숨기거나 축소하는 경우에는 매출액 1%의 과징금 부과하는 방안을 검토중입니다.

이번 BMW 리콜사태를 계기로 외제차의 고질적인 문제, 바로 AS 에 대한 불만도 쏟아져 나오고 있는데요.

어디 한군데 고장나서 고치려고 차를 맡기면 2,3개월은 보통이구요.

6개월을 기다려야 하는 경우도 다반사입니다.

수리비도 너무 터무니없이 비싸서요.

외제차 평균 사고 수리비는 국산의 3배에 달하는데요.

이게 구조적 문제가 있습니다.

국산차는 자동차 생산업체가 AS까지 함께 맡고 있는데요.

외제차는 본사 측이 품질 관리를 담당하구요.

딜러사가 AS를 맡다 보니, 정작 소비자 민원이 제기됐을때 서로 책임을 떠넘기고 있기때문입니다.

등록된 외제차는 올해 200만 대를 넘어섰구요, 운전자 10명중 1명은 외제차를 몰고 있는 실정이지만 외제차 직영 서비스센터는 전국적으로 540여 곳에 불과합니다.

그러니까 서비스 센터 한 곳이 대략 3,600대 차량을 소화해야 하는 상황이다 보니 AS가 수개월씩 걸리는게 당연하겠죠.

부품도 자기네 회사 부품만 쓰도록 해서요, "부품 조달이 안돼 많이 늦어집니다." AS센터에서 이런 얘기 들으신 분들 많으실 겁니다.

그래서 1급 정비공장을 협력업체로 지정해서라도 수리 기간을 줄이고요.

부품도 소비자가 선택할수 있게 해서 수리비 단가도 낮추고 보험료 올라가는 것도 막아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학재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