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차 회담 날짜 못 정한 이유는?…“북미 대화 진전 가능성”

입력 2018.08.14 (23:08) 수정 2018.08.14 (23:1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남북이 3차 남북정상회담을 다음달에 하기로 했지만, 날짜는 확정하지 못한 것에 대해 여러 해석이 나오고 있는데요.

조만간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이 방북할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북미 대화 결과를 지켜본 뒤에 남북정상이 만날 날짜를 확정할 것이란 관측이 나옵니다.

비핵화와 관련한 한반도 정세가 또 한번 급물살을 탈 걸로 보입니다.

김지선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4.27 판문점 선언에 명시한 대로 3차 정상회담은 다음달, 평양에서 하기로 했지만, 애초 기대와 달리 정확한 회담 날짜는 확정되지 않았습니다.

이를 두고 다음달 9일 북한 정권수립 기념일 때문이라는 관측이 나왔지만, 청와대는 이를 공식 부인했습니다.

북한이 우리 정부에 정권수립 기념일에 참석해달라는 요청을 한 적이 없다는 겁니다.

북한이 평양 정상회담을 남북 경협의 지렛대로 활용할 것이란 우려섞인 전망도 있었지만, 청와대 안팎에선 오히려 북한과 미국의 대화에 청신호가 켜졌기 때문이란 관측이 유력하게 거론됩니다.

조만간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의 방북 가능성이 제기되는 상황에서 남북 정상이 먼저 만나기 보다, 북미 간 비핵화 협상 결과를 지켜본 뒤 평양 정상회담을 하는게 더 많은 성과를 낼 수 있다는 판단을 했다는 겁니다.

북미 비핵화 협상은 교착 상태지만, 미국은 북한과 수시로 대화를 하고 있다며 물밑 접촉을 시사한 바 있고, 우리 정부도 공식, 비공식 라인으로 북미와 의견을 조율 중입니다.

이와 관련해 문정인 대통령 통일외교안보특보는 이르면 다음주 중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이 북한을 방문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종전선언과 핵 리스트 제출 등 북미 양측이 첨예하게 맞섰던 쟁점에서도 어느 정도 대화가 진전된 것 아니냐는 관측도 제기됩니다.

앞서 청와대는 북한은 비핵화 조치를 이행하고, 미국은 이에 상응하는 조치를 해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가 서로 선순환을 이룰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게 정부 입장이라고 설명한 바 있습니다.

KBS 뉴스 김지선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3차 회담 날짜 못 정한 이유는?…“북미 대화 진전 가능성”
    • 입력 2018-08-14 23:09:54
    • 수정2018-08-14 23:15:19
    뉴스라인 W
[앵커]

남북이 3차 남북정상회담을 다음달에 하기로 했지만, 날짜는 확정하지 못한 것에 대해 여러 해석이 나오고 있는데요.

조만간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이 방북할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북미 대화 결과를 지켜본 뒤에 남북정상이 만날 날짜를 확정할 것이란 관측이 나옵니다.

비핵화와 관련한 한반도 정세가 또 한번 급물살을 탈 걸로 보입니다.

김지선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4.27 판문점 선언에 명시한 대로 3차 정상회담은 다음달, 평양에서 하기로 했지만, 애초 기대와 달리 정확한 회담 날짜는 확정되지 않았습니다.

이를 두고 다음달 9일 북한 정권수립 기념일 때문이라는 관측이 나왔지만, 청와대는 이를 공식 부인했습니다.

북한이 우리 정부에 정권수립 기념일에 참석해달라는 요청을 한 적이 없다는 겁니다.

북한이 평양 정상회담을 남북 경협의 지렛대로 활용할 것이란 우려섞인 전망도 있었지만, 청와대 안팎에선 오히려 북한과 미국의 대화에 청신호가 켜졌기 때문이란 관측이 유력하게 거론됩니다.

조만간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의 방북 가능성이 제기되는 상황에서 남북 정상이 먼저 만나기 보다, 북미 간 비핵화 협상 결과를 지켜본 뒤 평양 정상회담을 하는게 더 많은 성과를 낼 수 있다는 판단을 했다는 겁니다.

북미 비핵화 협상은 교착 상태지만, 미국은 북한과 수시로 대화를 하고 있다며 물밑 접촉을 시사한 바 있고, 우리 정부도 공식, 비공식 라인으로 북미와 의견을 조율 중입니다.

이와 관련해 문정인 대통령 통일외교안보특보는 이르면 다음주 중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이 북한을 방문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종전선언과 핵 리스트 제출 등 북미 양측이 첨예하게 맞섰던 쟁점에서도 어느 정도 대화가 진전된 것 아니냐는 관측도 제기됩니다.

앞서 청와대는 북한은 비핵화 조치를 이행하고, 미국은 이에 상응하는 조치를 해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가 서로 선순환을 이룰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게 정부 입장이라고 설명한 바 있습니다.

KBS 뉴스 김지선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