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공조” 北 “자주적 해결”…남북미 엇갈린 셈법은?

입력 2018.08.16 (21:14) 수정 2018.08.16 (21:5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같은 우리정부 구상에 대해 북한과 미국은 어떤 입장일까요 ? 비핵화와 체제 보장을 놓고 줄다리기를 하고 있는 북한과 미국은 각각 자신들이 유리한 방향으로 우리 정부를 압박하고 있습니다.

남북 경협도 추진하면서 대북 제재 조치에 공조를 해야 하는 우리 정부도 고민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남북미 각각의 셈법을 김경진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한국과 미국은 북한에 대해 '통일된 대응'을 하기 위해 긴밀히 공조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의 경축사에 대한 미국 국무부의 논평입니다.

미국이 대북 제재를 통해 비핵화를 강하게 압박하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이 남북 경협 쪽으로 기울어 제재 전선에서 이탈하는 것을 막겠다는 뜻으로 풀이됩니다.

뉴욕타임스 등도 문 대통령의 과감한 제안은 동맹인 미국의 구상을 넘어설 위험성이 있다는 말로 미국의 우려를 전했습니다.

북한 역시 우리 정부의 구상을 자신들에게 유리한 쪽으로 이끌기 위해 압박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북한 조선중앙TV : "우리 민족끼리 공조하는 민족 자주의 입장이야말로 판문점선언 이행을 위한 근본 입장이며 진정한 북남 관계 개선의 입장이라는 데 대해서..."]

노동신문은 "제재 압박과 관계 개선은 양립될 수 없다"면서 남북 관계 개선은 그 누구의 승인을 받아 해결할 문제가 아니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처럼 북한과 미국은 우리 정부를 가운데 놓고 줄다리기를 벌이면서도 북미 간 접촉도 계속하고 있습니다.

미군 유해 송환 과정에서 친서 외교를 재현한 데 이어,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의 네 번째 방북도 임박한 상황입니다.

남북과 한미, 북미가 비핵화와 종전선언의 해법을 놓고 고차 방정식을 풀고 있는 셈입니다.

[이관세/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장 : "상호 연계돼 있는 실타래를 풀어갈 수 있도록 계기를 마련하는 것이 바로 우리의 역할이라고 생각합니다."]

비핵화가 진전돼야만 남북관계도 탄력을 받을 수밖에 없는 상황.

그러나 마냥 기다릴 수만은 없다는 절박한 인식이 정부 내에서 확산되는 형국입니다.

KBS 뉴스 김경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美 “공조” 北 “자주적 해결”…남북미 엇갈린 셈법은?
    • 입력 2018-08-16 21:17:08
    • 수정2018-08-16 21:55:50
    뉴스 9
[앵커]

이같은 우리정부 구상에 대해 북한과 미국은 어떤 입장일까요 ? 비핵화와 체제 보장을 놓고 줄다리기를 하고 있는 북한과 미국은 각각 자신들이 유리한 방향으로 우리 정부를 압박하고 있습니다.

남북 경협도 추진하면서 대북 제재 조치에 공조를 해야 하는 우리 정부도 고민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남북미 각각의 셈법을 김경진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한국과 미국은 북한에 대해 '통일된 대응'을 하기 위해 긴밀히 공조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의 경축사에 대한 미국 국무부의 논평입니다.

미국이 대북 제재를 통해 비핵화를 강하게 압박하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이 남북 경협 쪽으로 기울어 제재 전선에서 이탈하는 것을 막겠다는 뜻으로 풀이됩니다.

뉴욕타임스 등도 문 대통령의 과감한 제안은 동맹인 미국의 구상을 넘어설 위험성이 있다는 말로 미국의 우려를 전했습니다.

북한 역시 우리 정부의 구상을 자신들에게 유리한 쪽으로 이끌기 위해 압박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북한 조선중앙TV : "우리 민족끼리 공조하는 민족 자주의 입장이야말로 판문점선언 이행을 위한 근본 입장이며 진정한 북남 관계 개선의 입장이라는 데 대해서..."]

노동신문은 "제재 압박과 관계 개선은 양립될 수 없다"면서 남북 관계 개선은 그 누구의 승인을 받아 해결할 문제가 아니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처럼 북한과 미국은 우리 정부를 가운데 놓고 줄다리기를 벌이면서도 북미 간 접촉도 계속하고 있습니다.

미군 유해 송환 과정에서 친서 외교를 재현한 데 이어,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의 네 번째 방북도 임박한 상황입니다.

남북과 한미, 북미가 비핵화와 종전선언의 해법을 놓고 고차 방정식을 풀고 있는 셈입니다.

[이관세/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장 : "상호 연계돼 있는 실타래를 풀어갈 수 있도록 계기를 마련하는 것이 바로 우리의 역할이라고 생각합니다."]

비핵화가 진전돼야만 남북관계도 탄력을 받을 수밖에 없는 상황.

그러나 마냥 기다릴 수만은 없다는 절박한 인식이 정부 내에서 확산되는 형국입니다.

KBS 뉴스 김경진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