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의 눈] 기준금리 0.25%p 인상…“가계빚·부동산 쏠림 완화”

입력 2018.11.30 (21:26) 수정 2018.11.30 (22:0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오늘(30일) 열린 올해 마지막 금융통화위원회에서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연 1.5%에서 1.75%로, 0.25% 포인트 인상했습니다.

지난해 11월 이후 1년 만입니다.

미국이 금리를 세번 올리는 동안 한은은 금리를 계속 동결해왔는데요.

이번 인상으로 미국과의 금리차는 0.75%포인트에서 0.5%포인트로 줄었습니다.

정부가 금리 인상 필요성을 언급해온데다, 이주열 한은 총재도 계속 인상 가능성을 시사해 왔기 때문에 어느 정도 예상은 됐었죠.

하지만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어, 금리 인상이 우리 경제에 어떤 효과를 낼 수 있을지 딱 집어 말하기는 어려운 상황입니다.

한은이 이런 우려 속에서도 금리 인상을 결정한 배경을 먼저 짚어보죠.

옥유정 기자입니다.

[리포트]

경기 우려 속에서도 한은이 금리를 올린 건 무엇보다 '금융안정'에 통화 정책의 무게를 뒀기 때문입니다.

저금리가 장기간 이어지면서 생긴 부작용을 해소하겠다는 건데, 한은은 소득보다 더 빠르게 늘고 있는 가계 빚과 부동산 시장의 쏠림 문제 해결이 시급하다고 봤습니다.

또 미국이 다음 달에 기준금리를 또 올리면 1% 포인트까지 벌어질 금리 차도 부담으로 작용했습니다.

대내외적인 경제 여건도 그렇게 나쁘지 않은 걸로 평가했습니다.

세계 경제 성장세가 대체로 괜찮고, 국내 역시 소비와 수출이 좋아 잠재성장률 수준은 유지할 거란 판단입니다.

[이주열/한국은행 총재 : "정부에서 적극적으로 재정정책을 통해서 경기의 활성화를 도모하고 있는 점, 이런 것들을 감안해 보면 2% 중후반대 성장세는 지속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낙관적으로만 보기엔 불안 요인들은 남아 있습니다.

지난달 국내 산업 지표들이 나아졌다고는 하지만, 추세로 보기는 아직 어렵습니다.

한은은 이미 올해와 내년 경제성장률을 모두 2.7%로 하향 조정했기 때문입니다.

밖으로는 미·중 무역 분쟁과 신흥국 금융 불안 가능성도 여전합니다.

중앙은행이 보통 금리를 올리는 건 과열된 경기를 진정시킬 필요가 있을 때라, 정부가 재정까지 총동원해 경기 부양에 나선 상황에서 금리를 올린 게 적절한지에 대해선 의견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금통위원 2명은 오늘 인상 반대 의견을 냈고, 이에 대해 이주열 총재는 경제 상황에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기 때문이라고 했습니다.

KBS 뉴스 옥유정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앵커의 눈] 기준금리 0.25%p 인상…“가계빚·부동산 쏠림 완화”
    • 입력 2018-11-30 21:29:41
    • 수정2018-11-30 22:05:24
    뉴스 9
[앵커]

오늘(30일) 열린 올해 마지막 금융통화위원회에서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연 1.5%에서 1.75%로, 0.25% 포인트 인상했습니다.

지난해 11월 이후 1년 만입니다.

미국이 금리를 세번 올리는 동안 한은은 금리를 계속 동결해왔는데요.

이번 인상으로 미국과의 금리차는 0.75%포인트에서 0.5%포인트로 줄었습니다.

정부가 금리 인상 필요성을 언급해온데다, 이주열 한은 총재도 계속 인상 가능성을 시사해 왔기 때문에 어느 정도 예상은 됐었죠.

하지만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어, 금리 인상이 우리 경제에 어떤 효과를 낼 수 있을지 딱 집어 말하기는 어려운 상황입니다.

한은이 이런 우려 속에서도 금리 인상을 결정한 배경을 먼저 짚어보죠.

옥유정 기자입니다.

[리포트]

경기 우려 속에서도 한은이 금리를 올린 건 무엇보다 '금융안정'에 통화 정책의 무게를 뒀기 때문입니다.

저금리가 장기간 이어지면서 생긴 부작용을 해소하겠다는 건데, 한은은 소득보다 더 빠르게 늘고 있는 가계 빚과 부동산 시장의 쏠림 문제 해결이 시급하다고 봤습니다.

또 미국이 다음 달에 기준금리를 또 올리면 1% 포인트까지 벌어질 금리 차도 부담으로 작용했습니다.

대내외적인 경제 여건도 그렇게 나쁘지 않은 걸로 평가했습니다.

세계 경제 성장세가 대체로 괜찮고, 국내 역시 소비와 수출이 좋아 잠재성장률 수준은 유지할 거란 판단입니다.

[이주열/한국은행 총재 : "정부에서 적극적으로 재정정책을 통해서 경기의 활성화를 도모하고 있는 점, 이런 것들을 감안해 보면 2% 중후반대 성장세는 지속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낙관적으로만 보기엔 불안 요인들은 남아 있습니다.

지난달 국내 산업 지표들이 나아졌다고는 하지만, 추세로 보기는 아직 어렵습니다.

한은은 이미 올해와 내년 경제성장률을 모두 2.7%로 하향 조정했기 때문입니다.

밖으로는 미·중 무역 분쟁과 신흥국 금융 불안 가능성도 여전합니다.

중앙은행이 보통 금리를 올리는 건 과열된 경기를 진정시킬 필요가 있을 때라, 정부가 재정까지 총동원해 경기 부양에 나선 상황에서 금리를 올린 게 적절한지에 대해선 의견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금통위원 2명은 오늘 인상 반대 의견을 냈고, 이에 대해 이주열 총재는 경제 상황에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기 때문이라고 했습니다.

KBS 뉴스 옥유정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