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학생 학폭 방치”…학교 뒤늦은 대처 논란

입력 2018.12.21 (08:05) 수정 2018.12.21 (08:1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장애를 가진 초등학생이 수개월 간 동급생들로부터 지속적인 폭행과 가혹행위에 시달려온 사실이 뒤늦게 드러나 경찰이 수사에 나섰습니다.

피해 학생의 학부모는 담임 교사가 이를 인지하고도 직접 해결해보겠다면서 시간을 끄는 바람에 피해가 커졌다고 주장합니다.

고은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뇌병변 3급인 한 초등학교 6학년생은 다리가 조금 불편하다는 이유로 학년초부터 같은반 학생 2명으로부터 놀림과 괴롭힘을 당했습니다.

[피해학생 어머니(음성변조) : "매일, 매 쉬는 시간마다 아이를 그렇게 '도망가라, 뛰어라' 해서 인적 드문 데로 가서 우리 아이를 밟고..."]

10월엔 옆반 교사가 폭행 장면을 목격해 담임 교사에게 알렸습니다.

하지만, 담임교사는 서로 화해하라고 권유하고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았습니다.

[피해학생 어머니(음성변조) : "한달, 두달이면 아이들 졸업하니까 그냥 쉬쉬, 조용히, 일부러 넘어가려고...그런 생각까지 들어요."]

담임교사는 심지어 가해 학생들이 피해자 바로 옆과 뒷자리에 앉도록 내버려두기도 했습니다.

이달 초 피해 학생이 교실에서 목이 졸려 기절하고 나서야 담임 교사는 학부모에게 알렸습니다.

그마저도 닷새가 지난 뒤였습니다.

[00초등학교 관계자(음성변조) : "(담임 교사가) 경험이 없다 보니까 본인의 판단이 맞는지 고민하면서, 아이를 관찰하면서 그렇게 갔던 부분이 그렇게 간 거예요."]

이후, 학교폭력위원회가 열려 가해 학생 2명에겐 강제 전학 조치가 내려졌습니다.

경찰도 학부모의 신고를 받고 서둘러 수사에 착수했습니다.

하지만, 가해 학생들은 형사처벌을 받지 않는 촉법소년 연령대에 해당돼 피해자를 보호할 수 있는 처분을 기대하기는 어려워 보입니다.

KBS 뉴스 고은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장애학생 학폭 방치”…학교 뒤늦은 대처 논란
    • 입력 2018-12-21 08:05:09
    • 수정2018-12-21 08:18:43
    뉴스광장
[앵커]

장애를 가진 초등학생이 수개월 간 동급생들로부터 지속적인 폭행과 가혹행위에 시달려온 사실이 뒤늦게 드러나 경찰이 수사에 나섰습니다.

피해 학생의 학부모는 담임 교사가 이를 인지하고도 직접 해결해보겠다면서 시간을 끄는 바람에 피해가 커졌다고 주장합니다.

고은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뇌병변 3급인 한 초등학교 6학년생은 다리가 조금 불편하다는 이유로 학년초부터 같은반 학생 2명으로부터 놀림과 괴롭힘을 당했습니다.

[피해학생 어머니(음성변조) : "매일, 매 쉬는 시간마다 아이를 그렇게 '도망가라, 뛰어라' 해서 인적 드문 데로 가서 우리 아이를 밟고..."]

10월엔 옆반 교사가 폭행 장면을 목격해 담임 교사에게 알렸습니다.

하지만, 담임교사는 서로 화해하라고 권유하고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았습니다.

[피해학생 어머니(음성변조) : "한달, 두달이면 아이들 졸업하니까 그냥 쉬쉬, 조용히, 일부러 넘어가려고...그런 생각까지 들어요."]

담임교사는 심지어 가해 학생들이 피해자 바로 옆과 뒷자리에 앉도록 내버려두기도 했습니다.

이달 초 피해 학생이 교실에서 목이 졸려 기절하고 나서야 담임 교사는 학부모에게 알렸습니다.

그마저도 닷새가 지난 뒤였습니다.

[00초등학교 관계자(음성변조) : "(담임 교사가) 경험이 없다 보니까 본인의 판단이 맞는지 고민하면서, 아이를 관찰하면서 그렇게 갔던 부분이 그렇게 간 거예요."]

이후, 학교폭력위원회가 열려 가해 학생 2명에겐 강제 전학 조치가 내려졌습니다.

경찰도 학부모의 신고를 받고 서둘러 수사에 착수했습니다.

하지만, 가해 학생들은 형사처벌을 받지 않는 촉법소년 연령대에 해당돼 피해자를 보호할 수 있는 처분을 기대하기는 어려워 보입니다.

KBS 뉴스 고은희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