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화성 지열에너지 사업 추진…불안한 지역 주민들

입력 2019.03.22 (19:17) 수정 2019.03.22 (19:2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포항 지진의 원인으로 지열 발전이 지목되면서 경기도 화성 지역의 시민들도 불안감을 느끼고 있습니다.

이 지역에 지열 에너지 개발을 위한 공사가 진행됐기 때문인데요.

사업을 추진한 화성시 측은 포항과는 전혀 다른 공법이라 지진과는 무관하다며 진화에 나섰습니다.

김유대 기자가 현장을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경기도 화성시청 앞, 지하 5킬로미터까지 땅을 뚫기 위한 시추 장비가 멈춰 서 있습니다.

화성시가 국내 한 업체와 협약을 맺고 지열에너지 시범 사업을 진행한 겁니다.

[인근 주민/음성변조 : "공청회도 안 하고 저런 걸 해요? 상당히 불안하죠. 만약 그 것(지열에너지)이라면...."]

공사가 시작된 건 2017년 11월.

착공 직후 포항 지진이 발생하면서 지열 발전이 원인으로 거론됐고, 화성시의회에서도 이 사업이 논란이 됐습니다.

[오문섭/당시 화성시의원(2017년 11월 30일) : "지열 발전소와 지진과의 연관성이 명확하게 확인될 때까지 관련 사업을 전면 중단하고..."]

그럼에도 사업은 계속 추진되다, 1.8킬로미터까지 땅을 판 지난해 3월부터, 업체 측의 자금 조달 문제로 공사가 중단됐습니다.

화성시 측은 포항과는 전혀 다른 공법이라 공사가 재개돼도 문제가 없다는 입장입니다.

포항 지열 사업은 전기 생산, 즉 발전 시설인 반면, 화성은 보일러처럼 관속에서 지열로 데워진 물을 단순히 시청 난방용으로 사용한다는 겁니다.

그렇기 때문에 고압의 물을 땅속으로 집어 넣을 필요도 없고, 물리적으로 지층에 자극을 주지도 않는다고 설명했습니다.

[나원영/경기도 화성시청 신재생에너지과 팀장 : "그 부분(지진)을 예의주시하고, 항상 보고 있거든요. 작업을 할 때. 그런데 1.8㎞ 정도 팠는데 그런 부분에서 문제가 있진 않았습니다."]

하지만 포항지진의 원인이 지열발전으로 밝혀진 만큼 공사재개 이전에 보다 엄밀한 검증을 거쳐 신중하게 진행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KBS 뉴스 김유대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경기도 화성 지열에너지 사업 추진…불안한 지역 주민들
    • 입력 2019-03-22 19:19:19
    • 수정2019-03-22 19:25:45
    뉴스 7
[앵커]

포항 지진의 원인으로 지열 발전이 지목되면서 경기도 화성 지역의 시민들도 불안감을 느끼고 있습니다.

이 지역에 지열 에너지 개발을 위한 공사가 진행됐기 때문인데요.

사업을 추진한 화성시 측은 포항과는 전혀 다른 공법이라 지진과는 무관하다며 진화에 나섰습니다.

김유대 기자가 현장을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경기도 화성시청 앞, 지하 5킬로미터까지 땅을 뚫기 위한 시추 장비가 멈춰 서 있습니다.

화성시가 국내 한 업체와 협약을 맺고 지열에너지 시범 사업을 진행한 겁니다.

[인근 주민/음성변조 : "공청회도 안 하고 저런 걸 해요? 상당히 불안하죠. 만약 그 것(지열에너지)이라면...."]

공사가 시작된 건 2017년 11월.

착공 직후 포항 지진이 발생하면서 지열 발전이 원인으로 거론됐고, 화성시의회에서도 이 사업이 논란이 됐습니다.

[오문섭/당시 화성시의원(2017년 11월 30일) : "지열 발전소와 지진과의 연관성이 명확하게 확인될 때까지 관련 사업을 전면 중단하고..."]

그럼에도 사업은 계속 추진되다, 1.8킬로미터까지 땅을 판 지난해 3월부터, 업체 측의 자금 조달 문제로 공사가 중단됐습니다.

화성시 측은 포항과는 전혀 다른 공법이라 공사가 재개돼도 문제가 없다는 입장입니다.

포항 지열 사업은 전기 생산, 즉 발전 시설인 반면, 화성은 보일러처럼 관속에서 지열로 데워진 물을 단순히 시청 난방용으로 사용한다는 겁니다.

그렇기 때문에 고압의 물을 땅속으로 집어 넣을 필요도 없고, 물리적으로 지층에 자극을 주지도 않는다고 설명했습니다.

[나원영/경기도 화성시청 신재생에너지과 팀장 : "그 부분(지진)을 예의주시하고, 항상 보고 있거든요. 작업을 할 때. 그런데 1.8㎞ 정도 팠는데 그런 부분에서 문제가 있진 않았습니다."]

하지만 포항지진의 원인이 지열발전으로 밝혀진 만큼 공사재개 이전에 보다 엄밀한 검증을 거쳐 신중하게 진행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KBS 뉴스 김유대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