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하게 살 권리’ 어디에…쪽방촌 아이들 “여기가 나의 집입니다”

입력 2019.05.05 (21:14) 수정 2019.05.06 (09:3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오늘(5일)같은 어린이날, 신나게 뛰어놀지 못하고 곰팡이 핀 쪽방에서 지내야하는 아이들이 있습니다.

최저주거기준에도 못 미치는 열악한 환경에서 생활하는 어린이가 전국에 백만 명 가까이 되는데요.

이들을 오대성 기자가 만났습니다.

[리포트]

올해 6살인 꼬마.

38년 된 다가구 주택 2층으로 올라가면, 15㎡ 남짓한 단칸방, 아빠 엄마와 함께 사는 아이의 보금자리가 있습니다.

대부분 시간을 집에서 보내지만, 허락된 공간은 작은 담요 위, 간식을 먹고 장난감을 갖고 놀고 잠자는 것까지, 이 담요 위에서만 가능합니다.

걸을 공간도 몇 발자국뿐입니다.

씻기도 쉽지 않습니다.

["아빠가 세수만 할 게, 코 흥 할 거야?"]

한 명이 들어가도 꽉 차는 화장실, 두 명이서 부대끼다 보면 금방 지칩니다.

가장 큰 걱정은 집 안 곳곳에 핀 곰팡이.

아이가 천식을 앓고 있기 때문입니다.

부모 모두 장애로 일을 하지 못하는 상황, 다른 곳으로 이사할 여력이 없습니다.

[아이 어머니/음성변조 : "(아이가) 할머니네 가서 살고 싶다고 그랬어요. 거기가 여기보다 더 넓은 걸 수도 있고요. 더 이상 보증금을 마련할 수 있는 것도 안 되고..."]

주택으로도 분류되지 않는 쪽방촌.

후미진 골목을 돌다 보면 11살 성근이가 사는 곳이 나옵니다.

침실 겸 거실, 공부방인 한 칸짜리 방에서 시간을 보냅니다.

[조성근/11살 어린이 : "방도 있으면 좋겠죠. 거기에서 따로 조용히 숙제도 할 수 있고 책도 볼 수 있고 할 수 있으니까..."]

보증금 없는 월 40만 원짜리 방, 이 돈으로는 서울 어딜 가도 더 나은 곳을 얻기 어렵습니다.

[조상국/아버지 : "여기는 정신 이상자라든가 알코올 중독자들이 태반이고, 아빠랑 동네 걷자고 하면 얘가 무서워서 잘 안 나오는 거예요. 저도 사람이고 어디가서 사람답게 살고 싶은데 그러지 못하니까..."]

열악한 주거환경은 아이들에게 부정적 영향을 줄 수 밖에 없습니다.

[이필영/초록우산어린이재단 아동복지연구소장 : "(아동에게) 공간이라는 곳이 주는 안정감이 엄청나게 커요. 그런 것들이 확보되지 못하면 아동들이 본인들이 느끼는 스트레스나 감정들을 해소할 수 있는 공간이 아무 데도 없다는 거죠."]

유엔아동권리협약은 아동의 안전하고 건강한 주거생활을 권리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 전체아동 10명 중 1명은 법적 최저주거기준에 못 미치는 곳에서 살고, 100명 중 1명은 고시원이나 쪽방처럼 아예 주택이 아닌 곳에서 지냅니다.

이런 주거빈곤 아동은 94만 명에 달합니다.

KBS 뉴스 오대성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안전하게 살 권리’ 어디에…쪽방촌 아이들 “여기가 나의 집입니다”
    • 입력 2019-05-05 21:16:27
    • 수정2019-05-06 09:36:11
    뉴스 9
[앵커] 오늘(5일)같은 어린이날, 신나게 뛰어놀지 못하고 곰팡이 핀 쪽방에서 지내야하는 아이들이 있습니다. 최저주거기준에도 못 미치는 열악한 환경에서 생활하는 어린이가 전국에 백만 명 가까이 되는데요. 이들을 오대성 기자가 만났습니다. [리포트] 올해 6살인 꼬마. 38년 된 다가구 주택 2층으로 올라가면, 15㎡ 남짓한 단칸방, 아빠 엄마와 함께 사는 아이의 보금자리가 있습니다. 대부분 시간을 집에서 보내지만, 허락된 공간은 작은 담요 위, 간식을 먹고 장난감을 갖고 놀고 잠자는 것까지, 이 담요 위에서만 가능합니다. 걸을 공간도 몇 발자국뿐입니다. 씻기도 쉽지 않습니다. ["아빠가 세수만 할 게, 코 흥 할 거야?"] 한 명이 들어가도 꽉 차는 화장실, 두 명이서 부대끼다 보면 금방 지칩니다. 가장 큰 걱정은 집 안 곳곳에 핀 곰팡이. 아이가 천식을 앓고 있기 때문입니다. 부모 모두 장애로 일을 하지 못하는 상황, 다른 곳으로 이사할 여력이 없습니다. [아이 어머니/음성변조 : "(아이가) 할머니네 가서 살고 싶다고 그랬어요. 거기가 여기보다 더 넓은 걸 수도 있고요. 더 이상 보증금을 마련할 수 있는 것도 안 되고..."] 주택으로도 분류되지 않는 쪽방촌. 후미진 골목을 돌다 보면 11살 성근이가 사는 곳이 나옵니다. 침실 겸 거실, 공부방인 한 칸짜리 방에서 시간을 보냅니다. [조성근/11살 어린이 : "방도 있으면 좋겠죠. 거기에서 따로 조용히 숙제도 할 수 있고 책도 볼 수 있고 할 수 있으니까..."] 보증금 없는 월 40만 원짜리 방, 이 돈으로는 서울 어딜 가도 더 나은 곳을 얻기 어렵습니다. [조상국/아버지 : "여기는 정신 이상자라든가 알코올 중독자들이 태반이고, 아빠랑 동네 걷자고 하면 얘가 무서워서 잘 안 나오는 거예요. 저도 사람이고 어디가서 사람답게 살고 싶은데 그러지 못하니까..."] 열악한 주거환경은 아이들에게 부정적 영향을 줄 수 밖에 없습니다. [이필영/초록우산어린이재단 아동복지연구소장 : "(아동에게) 공간이라는 곳이 주는 안정감이 엄청나게 커요. 그런 것들이 확보되지 못하면 아동들이 본인들이 느끼는 스트레스나 감정들을 해소할 수 있는 공간이 아무 데도 없다는 거죠."] 유엔아동권리협약은 아동의 안전하고 건강한 주거생활을 권리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 전체아동 10명 중 1명은 법적 최저주거기준에 못 미치는 곳에서 살고, 100명 중 1명은 고시원이나 쪽방처럼 아예 주택이 아닌 곳에서 지냅니다. 이런 주거빈곤 아동은 94만 명에 달합니다. KBS 뉴스 오대성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