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해설] 상생의 길 찾아야

입력 2019.06.01 (07:42) 수정 2019.06.01 (07:5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감일상 해설위원]

현대중공업이 노조의 강한 저지에도 불구하고 주총 장소를 변경해가며 법인의 물적 분할을 승인했습니다. 조선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정부 주도로 추진된 대우조선 인수 합병이 본격화될 전망입니다. 노조는 무효 소송 등 강력 투쟁을 예고했습니다. 지역 사회의 반발과 일본, 중국을 비롯한 경쟁국들의 승인 등 풀어야 할 과제도 산적해 있습니다.

이번 주총 결정으로 현대중공업은 중간지주회사인 한국조선해양과 신설회사인 현대중공업으로 나뉩니다. 오는 3일 분할 등기에 이어 대우조선해양과의 합병이 승인되면 한국조선해양 산하에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 미포조선 등이 자회사로 들어가게 됩니다. 중간지주회사는 우량회사가 되지만 신설 자회사인 현대중공업은 기존 부채 7조 원을 떠안는 등 부실화 우려가 있다는 것이 노조 측의 주장입니다. 울산시 등 지역 사회에서는 중간지주 회사인 한국조선해양 본사와 R&D센터가 수도권으로 이전하면 지역경제가 위축된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회사 측은 이번 결정이 인수합병에 따른 비용 절감을 위한 최고의 방법이라는 입장입니다. 또 중간지주회사 본사와 연구 개발 기구는 운영이 유리한 수도권에 두지만 현대중공업 사업장은 울산에 그대로 두고 고용 승계도 이루어진다고 밝혔습니다. 또 다른 문제는 경쟁국들의 공정거래 심사 통과 여부입니다. 지난해 세계 선박 수주 1, 2위를 차지한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의 수주 점유율이 20%를 넘었습니다. 초대형 원유운반선과 LNG 운반선의 경우 각각 72%와 60%를 넘어 독과점 논란이 일고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중국과 일본 EU의 반대가 심해 합병 무산도 배제할 수 없는 분위기입니다.

두 회사의 합병은 수십 년간 우리 경제를 지탱해온 조선 산업의 경쟁력 회복을 위한 정부와 조선업계의 불가피한 선택이었습니다. 사측은 노조와 지역사회에 믿음을 주어야 하며 노조 또한 대화를 통한 상생의 길을 찾아야 합니다. 구조 개편을 주도한 정부의 적극적인 대처와 책임 있는 자세도 아쉬운 상황입니다. 뉴스해설이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뉴스해설] 상생의 길 찾아야
    • 입력 2019-06-01 07:51:24
    • 수정2019-06-01 07:57:58
    뉴스광장
[감일상 해설위원]

현대중공업이 노조의 강한 저지에도 불구하고 주총 장소를 변경해가며 법인의 물적 분할을 승인했습니다. 조선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정부 주도로 추진된 대우조선 인수 합병이 본격화될 전망입니다. 노조는 무효 소송 등 강력 투쟁을 예고했습니다. 지역 사회의 반발과 일본, 중국을 비롯한 경쟁국들의 승인 등 풀어야 할 과제도 산적해 있습니다.

이번 주총 결정으로 현대중공업은 중간지주회사인 한국조선해양과 신설회사인 현대중공업으로 나뉩니다. 오는 3일 분할 등기에 이어 대우조선해양과의 합병이 승인되면 한국조선해양 산하에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 미포조선 등이 자회사로 들어가게 됩니다. 중간지주회사는 우량회사가 되지만 신설 자회사인 현대중공업은 기존 부채 7조 원을 떠안는 등 부실화 우려가 있다는 것이 노조 측의 주장입니다. 울산시 등 지역 사회에서는 중간지주 회사인 한국조선해양 본사와 R&D센터가 수도권으로 이전하면 지역경제가 위축된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회사 측은 이번 결정이 인수합병에 따른 비용 절감을 위한 최고의 방법이라는 입장입니다. 또 중간지주회사 본사와 연구 개발 기구는 운영이 유리한 수도권에 두지만 현대중공업 사업장은 울산에 그대로 두고 고용 승계도 이루어진다고 밝혔습니다. 또 다른 문제는 경쟁국들의 공정거래 심사 통과 여부입니다. 지난해 세계 선박 수주 1, 2위를 차지한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의 수주 점유율이 20%를 넘었습니다. 초대형 원유운반선과 LNG 운반선의 경우 각각 72%와 60%를 넘어 독과점 논란이 일고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중국과 일본 EU의 반대가 심해 합병 무산도 배제할 수 없는 분위기입니다.

두 회사의 합병은 수십 년간 우리 경제를 지탱해온 조선 산업의 경쟁력 회복을 위한 정부와 조선업계의 불가피한 선택이었습니다. 사측은 노조와 지역사회에 믿음을 주어야 하며 노조 또한 대화를 통한 상생의 길을 찾아야 합니다. 구조 개편을 주도한 정부의 적극적인 대처와 책임 있는 자세도 아쉬운 상황입니다. 뉴스해설이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