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제징용 판결’ 놓고 韓 변호사-日 기자 무슨 대화했나

입력 2019.07.16 (19:05) 수정 2019.07.16 (19:1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강제징용 판결을 두고 한일 관계가 팽팽한 긴장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의 변호사들과 일본 언론사 기자들이 만났습니다.

강제징용 배상 판결을 놓고 간담회가 열린 건데요,

무슨 대화가 오갔는지, 김채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강제징용 피해자 구제 활동을 해온 한국 변호사들이 한데 모였습니다.

일본 기자들에게 강제징용 배상 판결의 의미를 설명하겠다며 자리를 만든 겁니다.

NHK와 아사히, 산케이신문 등 일본 언론사 14곳에서 기자 20여 명이 몰렸습니다.

초반부터 묘한 긴장감이 흘렀고.

[최봉태/변호사 : "법률적 부분에 대해 질문하셔야 하지 정파적인 걸 저희들한테 질문하시면 저희가 답변할 수 없는 입장이기 때문에, 그거는 사전에 좀 (양해 부탁드립니다)."]

질의응답 시작 후 20초 동안 침묵이 이어질 정도로 조심스런 분위기.

[일본 TBS 기자 : "안 여쭤볼 수가 없을 거 같아 좀 대단히 실례이긴 합니다만, 어제 미쓰비시 본사에서..."]

이윽고 일본의 수출규제 얘기가 나왔습니다.

[요미우리 신문기자 : "지금 한일 관계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게, 강제징용 문제 외에도 한일 반도체 수출 규제 문제가 있다 생각하는데요."]

[김세은/변호사 : "판결에 따른 (일본 기업 자산) 강제집행 절차를 진행하는 것이지, 일본 정부의 조치에 따라 어떻게 할 건지 정하는 게 아닙니다."]

강제징용 배상 갈등의 해법을 모색하려는 질문들도 눈에 띄었습니다.

[니혼게이자이 신문기자 : "양국 정부가 어떤 식으로 해결 노력을 하기를 (강제징용 소송) 원고 측에서는 주문하고 있는지 여쭙고 싶습니다."]

[최봉태/변호사 : "(한국 정부의 '1+1' 제안이 수용되더라도) 최종적으로는 한국 정부나 일본 정부도 들어가야 된다. 들어가야 이 재단이 제대로 된 평가를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강제징용 문제는 한일간의 대립이 아닌 인권 문제로 봐야한다는 지적도 나왔습니다.

[주성훈/변호사 : "인권을 침해 당한 피해자가 있고, 그 피해에 대해 배상해야 할 실체법적 책임이 있는 기업이 있습니다. 이에 대해 자발적인 협조를 요청을 드립니다."]

1시간 동안의 간담회.

일본 기자들은 현안에 대한 한일 간 입장차가 더 활발히 논의되길 원했다며 아쉬움을 내비치기도 했습니다.

KBS 뉴스 김채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강제징용 판결’ 놓고 韓 변호사-日 기자 무슨 대화했나
    • 입력 2019-07-16 19:08:13
    • 수정2019-07-16 19:15:39
    뉴스 7
[앵커]

강제징용 판결을 두고 한일 관계가 팽팽한 긴장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의 변호사들과 일본 언론사 기자들이 만났습니다.

강제징용 배상 판결을 놓고 간담회가 열린 건데요,

무슨 대화가 오갔는지, 김채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강제징용 피해자 구제 활동을 해온 한국 변호사들이 한데 모였습니다.

일본 기자들에게 강제징용 배상 판결의 의미를 설명하겠다며 자리를 만든 겁니다.

NHK와 아사히, 산케이신문 등 일본 언론사 14곳에서 기자 20여 명이 몰렸습니다.

초반부터 묘한 긴장감이 흘렀고.

[최봉태/변호사 : "법률적 부분에 대해 질문하셔야 하지 정파적인 걸 저희들한테 질문하시면 저희가 답변할 수 없는 입장이기 때문에, 그거는 사전에 좀 (양해 부탁드립니다)."]

질의응답 시작 후 20초 동안 침묵이 이어질 정도로 조심스런 분위기.

[일본 TBS 기자 : "안 여쭤볼 수가 없을 거 같아 좀 대단히 실례이긴 합니다만, 어제 미쓰비시 본사에서..."]

이윽고 일본의 수출규제 얘기가 나왔습니다.

[요미우리 신문기자 : "지금 한일 관계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게, 강제징용 문제 외에도 한일 반도체 수출 규제 문제가 있다 생각하는데요."]

[김세은/변호사 : "판결에 따른 (일본 기업 자산) 강제집행 절차를 진행하는 것이지, 일본 정부의 조치에 따라 어떻게 할 건지 정하는 게 아닙니다."]

강제징용 배상 갈등의 해법을 모색하려는 질문들도 눈에 띄었습니다.

[니혼게이자이 신문기자 : "양국 정부가 어떤 식으로 해결 노력을 하기를 (강제징용 소송) 원고 측에서는 주문하고 있는지 여쭙고 싶습니다."]

[최봉태/변호사 : "(한국 정부의 '1+1' 제안이 수용되더라도) 최종적으로는 한국 정부나 일본 정부도 들어가야 된다. 들어가야 이 재단이 제대로 된 평가를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강제징용 문제는 한일간의 대립이 아닌 인권 문제로 봐야한다는 지적도 나왔습니다.

[주성훈/변호사 : "인권을 침해 당한 피해자가 있고, 그 피해에 대해 배상해야 할 실체법적 책임이 있는 기업이 있습니다. 이에 대해 자발적인 협조를 요청을 드립니다."]

1시간 동안의 간담회.

일본 기자들은 현안에 대한 한일 간 입장차가 더 활발히 논의되길 원했다며 아쉬움을 내비치기도 했습니다.

KBS 뉴스 김채린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