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제징용’ 불씨 여전…‘문희상 안’ 돌파구 되나

입력 2019.11.23 (21:07) 수정 2019.11.23 (21:1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어제(22일) 정부의 발표에선 강제징용 배상 문제는 ​언급되지 않았습니다.

이번 한일갈등의 단초가 ​된 사안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논의도 불가피한데요,​
​​
해법으로 양국의 기업과 국민들이 함께 배상금을 마련하는 이른바 '문희상 안'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관건은 역시 피해자들이 동의하느냐입니다.

홍성희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한국 대법원의 강제징용 배상 판결에 반발해 일본이 내린 한국에 대한 수출규제, 그리고 이어졌던 한국의 지소미아 종료 결정.

하지만 어제(22일) 한국과 일본의 발표에서 강제 징용에 대한 내용은 쏙 빠졌습니다.

여전히 갈등의 불씨가 남은 셈입니다.

특히 올 연말 혹은 내년 초로 예정된 한국 내 일본 전범기업 자산 매각이 분수령이 될 전망입니다.

아베 일본 총리도 일본 기업 자산의 강제 매각에 대비한 대응조치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혀 갈등 재점화를 시사했습니다.

한일 외교 당국이 강제징용 문제를 협의는 하고 있지만 진척은 거의 없는 상태입니다.

이런 가운데, 최근 문희상 국회의장이 제안한 '1+1+알파', 즉, 한일 양국 기업 기금과 양국 국민 성금으로 배상금을 마련하자는 안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판결에 따른 강제가 아닌 자발적 성금이라는 점에서 아베 총리는 물론 일본 내 반응도 나쁘지 않다는 평가입니다.

[가와무라 다케오/한일의원연맹 간사장 : "아베 총리는 '한일 간의 약속을 제대로 지키는 것이라면 진행해도 좋다'라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피해자들이 동의하느냐가 여전히 가장 큰 관건입니다.

[이희자/태평양전쟁피해자보상추진협의회 대표 : "사과가 없는 배상은 있을 수 없는 거죠. 진실한 사과를 햇는지 (일본 측에) 묻고 싶다고."]

문 의장이 올해 안에 관련 법안을 발의할 계획인 가운데, 강제징용 문제를 해결할 해법이 제대로 마련될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홍성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강제징용’ 불씨 여전…‘문희상 안’ 돌파구 되나
    • 입력 2019-11-23 21:10:17
    • 수정2019-11-23 21:16:53
    뉴스 9
[앵커]

어제(22일) 정부의 발표에선 강제징용 배상 문제는 ​언급되지 않았습니다.

이번 한일갈등의 단초가 ​된 사안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논의도 불가피한데요,​
​​
해법으로 양국의 기업과 국민들이 함께 배상금을 마련하는 이른바 '문희상 안'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관건은 역시 피해자들이 동의하느냐입니다.

홍성희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한국 대법원의 강제징용 배상 판결에 반발해 일본이 내린 한국에 대한 수출규제, 그리고 이어졌던 한국의 지소미아 종료 결정.

하지만 어제(22일) 한국과 일본의 발표에서 강제 징용에 대한 내용은 쏙 빠졌습니다.

여전히 갈등의 불씨가 남은 셈입니다.

특히 올 연말 혹은 내년 초로 예정된 한국 내 일본 전범기업 자산 매각이 분수령이 될 전망입니다.

아베 일본 총리도 일본 기업 자산의 강제 매각에 대비한 대응조치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혀 갈등 재점화를 시사했습니다.

한일 외교 당국이 강제징용 문제를 협의는 하고 있지만 진척은 거의 없는 상태입니다.

이런 가운데, 최근 문희상 국회의장이 제안한 '1+1+알파', 즉, 한일 양국 기업 기금과 양국 국민 성금으로 배상금을 마련하자는 안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판결에 따른 강제가 아닌 자발적 성금이라는 점에서 아베 총리는 물론 일본 내 반응도 나쁘지 않다는 평가입니다.

[가와무라 다케오/한일의원연맹 간사장 : "아베 총리는 '한일 간의 약속을 제대로 지키는 것이라면 진행해도 좋다'라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피해자들이 동의하느냐가 여전히 가장 큰 관건입니다.

[이희자/태평양전쟁피해자보상추진협의회 대표 : "사과가 없는 배상은 있을 수 없는 거죠. 진실한 사과를 햇는지 (일본 측에) 묻고 싶다고."]

문 의장이 올해 안에 관련 법안을 발의할 계획인 가운데, 강제징용 문제를 해결할 해법이 제대로 마련될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홍성희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