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국가보안법 제정시 대 중국 제재”

입력 2020.05.25 (21:38) 수정 2020.05.25 (22:1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미국은 중국의 이같은 행보에 대해 강력한 경고 메시지를 보냈습니다. 그동안 미국이 홍콩에 부여했던 특별 지위를 거둬들이고, 돈과 인재가 모두 홍콩에서 빠져나갈 것이란 취지의 발언이 백악관에서 나왔습니다.

​금철영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오브라이언 보좌관은 중국이 보안법을 밀어붙인다면 '큰 실수가 될 것'이라고 했습니다.

만약 그런 일이 일어나면 홍콩과 중국 모두, 제재를 받을 것이라고 했습니다.

[오브라이언/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 "보안법을 통해 중국이 근본적으로 홍콩을 장악하려고 하는 것 같은데요, 만약 그런 일이 일어난다면 홍콩과 중국에 대한 제재가 있을 것입니다."]

홍콩에 자본주의 시스템과 민주주의, 의회선거가 있었는데, 그런 것들이 사라진다면 국제금융계가 그곳에 존속할 수 있을지 확신할 수 없다고 했습니다.

[오브라이언/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 "만약 중국이 홍콩을 장악한다면, 아시아 금융중심지로서의 홍콩은 더 이상 유지되기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보안법이 제정되면 홍콩의 자본주의와 민주주의를 보장하겠다던 중국의 일국양제 정책이 폐기된 것으로 간주하겠다는 뜻으로 읽힙니다.

미국은 1992년 '홍콩정책법'을 통과시켜 투자나 무역, 비자발급 등에 있어 홍콩에 중국본토와 다른 특별지위를 부여해 왔는데, 이게 사라질 수 있다고도 했습니다.

더이상 홍콩이 국제금융 허브로서 기능하지 못하도록 하겠다는 의도로 보입니다.

홍콩시민들이 중국공산당이 지배하는 홍콩을 떠날 것이라고도 했습니다.

코로나19확산과 중국의 은폐의혹을 거론하는 과정에선, 이를 1986년 체르노빌 원전사고 이후 구 소련의 정보통제에 비유하기도 했습니다.

미국이 코로나19확산과 관련해 중국의 책임론을 거론하는 상황에서 중국당국의 홍콩 국가보안법 추진과 이에대한 미국의 대응은 가뜩이나 불투명한 미중 관계의 앞날을 더 큰 불확실성으로 몰아가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금철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홍콩 국가보안법 제정시 대 중국 제재”
    • 입력 2020-05-25 21:40:12
    • 수정2020-05-25 22:18:29
    뉴스 9
[앵커]

미국은 중국의 이같은 행보에 대해 강력한 경고 메시지를 보냈습니다. 그동안 미국이 홍콩에 부여했던 특별 지위를 거둬들이고, 돈과 인재가 모두 홍콩에서 빠져나갈 것이란 취지의 발언이 백악관에서 나왔습니다.

​금철영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오브라이언 보좌관은 중국이 보안법을 밀어붙인다면 '큰 실수가 될 것'이라고 했습니다.

만약 그런 일이 일어나면 홍콩과 중국 모두, 제재를 받을 것이라고 했습니다.

[오브라이언/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 "보안법을 통해 중국이 근본적으로 홍콩을 장악하려고 하는 것 같은데요, 만약 그런 일이 일어난다면 홍콩과 중국에 대한 제재가 있을 것입니다."]

홍콩에 자본주의 시스템과 민주주의, 의회선거가 있었는데, 그런 것들이 사라진다면 국제금융계가 그곳에 존속할 수 있을지 확신할 수 없다고 했습니다.

[오브라이언/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 "만약 중국이 홍콩을 장악한다면, 아시아 금융중심지로서의 홍콩은 더 이상 유지되기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보안법이 제정되면 홍콩의 자본주의와 민주주의를 보장하겠다던 중국의 일국양제 정책이 폐기된 것으로 간주하겠다는 뜻으로 읽힙니다.

미국은 1992년 '홍콩정책법'을 통과시켜 투자나 무역, 비자발급 등에 있어 홍콩에 중국본토와 다른 특별지위를 부여해 왔는데, 이게 사라질 수 있다고도 했습니다.

더이상 홍콩이 국제금융 허브로서 기능하지 못하도록 하겠다는 의도로 보입니다.

홍콩시민들이 중국공산당이 지배하는 홍콩을 떠날 것이라고도 했습니다.

코로나19확산과 중국의 은폐의혹을 거론하는 과정에선, 이를 1986년 체르노빌 원전사고 이후 구 소련의 정보통제에 비유하기도 했습니다.

미국이 코로나19확산과 관련해 중국의 책임론을 거론하는 상황에서 중국당국의 홍콩 국가보안법 추진과 이에대한 미국의 대응은 가뜩이나 불투명한 미중 관계의 앞날을 더 큰 불확실성으로 몰아가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금철영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