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실가스 배출 이대로라면 홍수와 범람 잦아져”

입력 2020.09.20 (21:22) 수정 2020.09.20 (21:3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역대 가장 길었던 올해 장마, 기후변화 때문이었다는 것이 정부가 내놓은 분석 결과입니다.

장마 기간 홍수피해가 특히 컸는데, 문제는 온실가스를 지금처럼 계속 배출하면 집중호우가 더 잦아지고 하천범람도 4년에 한 번 꼴로 발생할 수도 있다고 합니다.

기후변화, 이제 정말 생존의 문제가 됐습니다.

김진화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달 8일, 전북 남원 섬진강 유역.

강물을 이기지 못해 제방이 무너져 내렸습니다.

마을은 흔적을 찾아보기 힘든 지경이 됐고, 비닐하우스도 물에 잠겼습니다.

환경부 분석 결과 지금처럼 계속 온실가스를 배출하면, 불과 30년 후엔 홍수량이 평균 11.8%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강은 소폭 감소하지만, 영산강은 지금보다 50% 이상, 섬진강과 낙동강도 30% 가까이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박재현/환경부 홍수대책기획단 국장 : “기후변화로 인해서 장마전선이 못 올라가고 머무는 경우가 많아져서 밑에 쪽은 (홍수량이) 늘어나고.”]

비가 단기간에 집중되면서, 하천 범람도 지점별로 약 4년에 한 번 꼴로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현재 100년에 한 번 범람하도록 설계돼 있는 제방과 댐이 불어난 물을 견디지 못한다는 겁니다.

실제, 이번 장마기간 남원과 광주 강수량은 24시간 기준 각각 364mm와 462mm로, 500년 빈도를 넘어섰습니다.

[장석환/대진대 건설시스템공학과 교수 : “하천에서만 홍수를 방어하는 이런 선적인 개념의 홍수방어전략이 그동안 수립되었다면 지금은 전체의 유역에서 종합적으로 대책을 만드는 (방법으로 변해야 합니다).”]

환경부는 홍수대책단을 꾸려 대응에 나섰지만, 기후변화를 막는 근본적인 대책 없이는 한계에 직면할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KBS 뉴스 김진화입니다.

영상편집:권혜미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온실가스 배출 이대로라면 홍수와 범람 잦아져”
    • 입력 2020-09-20 21:22:16
    • 수정2020-09-20 21:31:59
    뉴스 9
[앵커]

역대 가장 길었던 올해 장마, 기후변화 때문이었다는 것이 정부가 내놓은 분석 결과입니다.

장마 기간 홍수피해가 특히 컸는데, 문제는 온실가스를 지금처럼 계속 배출하면 집중호우가 더 잦아지고 하천범람도 4년에 한 번 꼴로 발생할 수도 있다고 합니다.

기후변화, 이제 정말 생존의 문제가 됐습니다.

김진화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달 8일, 전북 남원 섬진강 유역.

강물을 이기지 못해 제방이 무너져 내렸습니다.

마을은 흔적을 찾아보기 힘든 지경이 됐고, 비닐하우스도 물에 잠겼습니다.

환경부 분석 결과 지금처럼 계속 온실가스를 배출하면, 불과 30년 후엔 홍수량이 평균 11.8%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강은 소폭 감소하지만, 영산강은 지금보다 50% 이상, 섬진강과 낙동강도 30% 가까이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박재현/환경부 홍수대책기획단 국장 : “기후변화로 인해서 장마전선이 못 올라가고 머무는 경우가 많아져서 밑에 쪽은 (홍수량이) 늘어나고.”]

비가 단기간에 집중되면서, 하천 범람도 지점별로 약 4년에 한 번 꼴로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현재 100년에 한 번 범람하도록 설계돼 있는 제방과 댐이 불어난 물을 견디지 못한다는 겁니다.

실제, 이번 장마기간 남원과 광주 강수량은 24시간 기준 각각 364mm와 462mm로, 500년 빈도를 넘어섰습니다.

[장석환/대진대 건설시스템공학과 교수 : “하천에서만 홍수를 방어하는 이런 선적인 개념의 홍수방어전략이 그동안 수립되었다면 지금은 전체의 유역에서 종합적으로 대책을 만드는 (방법으로 변해야 합니다).”]

환경부는 홍수대책단을 꾸려 대응에 나섰지만, 기후변화를 막는 근본적인 대책 없이는 한계에 직면할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KBS 뉴스 김진화입니다.

영상편집:권혜미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