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궤멸적 피해” 반발에도…日 오염수 ‘해양 방류’ 결정

입력 2020.10.17 (07:14) 수정 2020.10.17 (07:5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 제 1원전 오염수를 결국 바다에 흘려보내겠다는 방침을 굳힌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한국 등 주변국은 물론, 일본 어민단체조차 "궤멸적 피해가 우려된다"며 반대하고 있음에도 '해양 방류'를 강행하겠다는 겁니다.

도쿄 황현택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일본 어민단체 대표들이 관할 부처 장관과 얼굴을 마주했습니다.

어제 관방장관 등에 이어 연이틀 정부를 항의 방문한 겁니다.

이들은 후쿠시마 조업량이 원전 사고 전 14%에 불과하다며 오염수 '해양 방류'는 어민을 죽이는 일이라고 성토했습니다.

[기시 히로시/전국어업협동조합연합회장 : "후쿠시마뿐만 아니라 일본 전체 (피해가) 필연적입니다. 어업이 궤멸적인 상황을 맞이할 거로 우려됩니다."]

그럼에도 일본 정부는 오염수를 바다에 흘려보낼 태세입니다.

공영방송 NHK는 오는 27일, 관계 각료회의에서 '해양 방류'가 결정될 예정으로, 원전이 있는 지자체 2곳에 이미 이런 방침이 통보됐다고 전했습니다.

[가지야마 히로시/일본 경제산업상 : "언제까지나 방침을 결정하지 않고 미룰 수는 없는 게 사실입니다. 적절한 시기에 정부가 책임지고 결론을 내겠습니다."]

'해양 방류'할 경우 세슘 등은 다시 한번 정화를 거치고, 제거가 어려운 삼중수소는 바닷물에 희석하는 방식입니다.

2년 뒤 첫 방류를 시작해 30년에서 40년에 걸쳐 버리는 방식입니다.

[스가 요시히데/일본 총리/지난달 26일 : "어려운 작업이라고 생각되지만 시간이 걸리더라도 안전하고 착실하게 진행해 주시길 바랍니다."]

그러나 일본 내 원전 전문가들은 이런 계획이 터무니없다고 말합니다.

[반 히데유키/원자력자료정보실 대표 : "적어도 100년은 걸릴 겁니다. 그냥 버리는 게 아니고 기준을 지키는 가운데 버리려고 한다면 그렇게 간단한 일이 아닙니다."]

'막무가내식' 해양 방류가 강행될 경우 한국 역시 애꿎은 피해가 불가피합니다.

우리 정부는 국제사회와 공조해 조치를 강구하겠다는 입장을 냈습니다.

도쿄에서 KBS 뉴스 황현택입니다.

촬영기자:정민욱/영상편집:한찬의/그래픽:이희문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궤멸적 피해” 반발에도…日 오염수 ‘해양 방류’ 결정
    • 입력 2020-10-17 07:14:12
    • 수정2020-10-17 07:53:06
    뉴스광장
[앵커]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 제 1원전 오염수를 결국 바다에 흘려보내겠다는 방침을 굳힌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한국 등 주변국은 물론, 일본 어민단체조차 "궤멸적 피해가 우려된다"며 반대하고 있음에도 '해양 방류'를 강행하겠다는 겁니다.

도쿄 황현택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일본 어민단체 대표들이 관할 부처 장관과 얼굴을 마주했습니다.

어제 관방장관 등에 이어 연이틀 정부를 항의 방문한 겁니다.

이들은 후쿠시마 조업량이 원전 사고 전 14%에 불과하다며 오염수 '해양 방류'는 어민을 죽이는 일이라고 성토했습니다.

[기시 히로시/전국어업협동조합연합회장 : "후쿠시마뿐만 아니라 일본 전체 (피해가) 필연적입니다. 어업이 궤멸적인 상황을 맞이할 거로 우려됩니다."]

그럼에도 일본 정부는 오염수를 바다에 흘려보낼 태세입니다.

공영방송 NHK는 오는 27일, 관계 각료회의에서 '해양 방류'가 결정될 예정으로, 원전이 있는 지자체 2곳에 이미 이런 방침이 통보됐다고 전했습니다.

[가지야마 히로시/일본 경제산업상 : "언제까지나 방침을 결정하지 않고 미룰 수는 없는 게 사실입니다. 적절한 시기에 정부가 책임지고 결론을 내겠습니다."]

'해양 방류'할 경우 세슘 등은 다시 한번 정화를 거치고, 제거가 어려운 삼중수소는 바닷물에 희석하는 방식입니다.

2년 뒤 첫 방류를 시작해 30년에서 40년에 걸쳐 버리는 방식입니다.

[스가 요시히데/일본 총리/지난달 26일 : "어려운 작업이라고 생각되지만 시간이 걸리더라도 안전하고 착실하게 진행해 주시길 바랍니다."]

그러나 일본 내 원전 전문가들은 이런 계획이 터무니없다고 말합니다.

[반 히데유키/원자력자료정보실 대표 : "적어도 100년은 걸릴 겁니다. 그냥 버리는 게 아니고 기준을 지키는 가운데 버리려고 한다면 그렇게 간단한 일이 아닙니다."]

'막무가내식' 해양 방류가 강행될 경우 한국 역시 애꿎은 피해가 불가피합니다.

우리 정부는 국제사회와 공조해 조치를 강구하겠다는 입장을 냈습니다.

도쿄에서 KBS 뉴스 황현택입니다.

촬영기자:정민욱/영상편집:한찬의/그래픽:이희문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