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달 도입 ‘아스트라제네카’ 조건부 허가 자문…“65세 이상에도 효과 확인”

입력 2021.02.02 (07:07) 수정 2021.02.02 (07:2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번 달부터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예정돼 있고 먼저 들어오는 것 중 하나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입니다.

그런데 이 백신의 고령층에 대한 효과를 놓고 의구심이 제기됐었는데, 국내 전문가들 다수는 만 65세 이상 고령자에 대해서도 접종할 수 있다는 의견을 내놓았습니다.

최종 접종 범위는 추가 자문 절차를 거쳐 확정될 예정입니다.

김민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유럽연합이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을 18세 이상 전 연령층 대상으로 공식 승인했지만, 논란은 여전합니다.

임상시험 참여 대상자 중 만 65세 이상 고령자가 7% 정도에 그쳤기 때문입니다.

이에 대해 외부 전문가 8명으로 구성된 국내 검증 자문단은 조건부 허가를 권고했습니다.

다수 의견으로 연령 제한 없이 만 18세 이상으로 정했습니다.

백신 투여 후 고령층의 면역 반응이 다른 성인과 유사한 점, 중대한 이상 반응이 나타나지 않은 점 등을 감안해 고령자에 대한 투여를 배제할 수 없다는 의견입니다.

소수 의견도 나왔습니다.

고령자에 대한 자료가 부족해 예방효과가 입증되지 않았고, 항체가도 65세 미만의 성인에 비해 낮다는 점 등을 들어 임상 결과를 더 확인하고 허가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겁니다.

안전성과 관련해선 허용할 만한 수준이라면서도, 임상시험에서 나타난 신경계 관련 이상반응에 대해서는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백신 투여량은 표준용량으로 2차례, 투여 간격은 4~12주가 적절하다고 권고했습니다.

[김상봉/식품의약품안전처 바이오생약국장 : "이번에 논의된 여러 가지 자료에 대한 해석과 그다음에 논리, 이런 부분들을 보다 입체적으로 저희가 점검을 해서 최종 결론을 내도록 할 계획입니다."]

한편, 화이자 등 mRNA 백신을 접종하는 중앙예방접종센터는 국립중앙의료원 신축 예정 부지인 미 공병단 터에 자리 잡았습니다.

화이자 백신 약 6만 명 분이 이달 중순 이후 들어올 예정인데, 코로나19 환자를 치료하는 의료진이 이곳에서 첫 접종을 받게 됩니다.

[김연재/국립중앙의료원 감염내과 전문의 : "예진 의사 인력과 접종하는 간호사 인력으로 하고 있는데요, 네 팀씩 운영을 했을 때 초기 목표는 (하루 접종자) 600명으로 잡고 감소시키거나 증가시킬 예정입니다."]

식약처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과 관련한 품질자료를 심사하고 오는 4일 중앙약사심의위원회에서 자문 결과를 공개할 예정입니다.

KBS 뉴스 김민지입니다.

영상편집:박주연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번달 도입 ‘아스트라제네카’ 조건부 허가 자문…“65세 이상에도 효과 확인”
    • 입력 2021-02-02 07:07:07
    • 수정2021-02-02 07:26:11
    뉴스광장
[앵커]

이번 달부터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예정돼 있고 먼저 들어오는 것 중 하나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입니다.

그런데 이 백신의 고령층에 대한 효과를 놓고 의구심이 제기됐었는데, 국내 전문가들 다수는 만 65세 이상 고령자에 대해서도 접종할 수 있다는 의견을 내놓았습니다.

최종 접종 범위는 추가 자문 절차를 거쳐 확정될 예정입니다.

김민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유럽연합이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을 18세 이상 전 연령층 대상으로 공식 승인했지만, 논란은 여전합니다.

임상시험 참여 대상자 중 만 65세 이상 고령자가 7% 정도에 그쳤기 때문입니다.

이에 대해 외부 전문가 8명으로 구성된 국내 검증 자문단은 조건부 허가를 권고했습니다.

다수 의견으로 연령 제한 없이 만 18세 이상으로 정했습니다.

백신 투여 후 고령층의 면역 반응이 다른 성인과 유사한 점, 중대한 이상 반응이 나타나지 않은 점 등을 감안해 고령자에 대한 투여를 배제할 수 없다는 의견입니다.

소수 의견도 나왔습니다.

고령자에 대한 자료가 부족해 예방효과가 입증되지 않았고, 항체가도 65세 미만의 성인에 비해 낮다는 점 등을 들어 임상 결과를 더 확인하고 허가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겁니다.

안전성과 관련해선 허용할 만한 수준이라면서도, 임상시험에서 나타난 신경계 관련 이상반응에 대해서는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백신 투여량은 표준용량으로 2차례, 투여 간격은 4~12주가 적절하다고 권고했습니다.

[김상봉/식품의약품안전처 바이오생약국장 : "이번에 논의된 여러 가지 자료에 대한 해석과 그다음에 논리, 이런 부분들을 보다 입체적으로 저희가 점검을 해서 최종 결론을 내도록 할 계획입니다."]

한편, 화이자 등 mRNA 백신을 접종하는 중앙예방접종센터는 국립중앙의료원 신축 예정 부지인 미 공병단 터에 자리 잡았습니다.

화이자 백신 약 6만 명 분이 이달 중순 이후 들어올 예정인데, 코로나19 환자를 치료하는 의료진이 이곳에서 첫 접종을 받게 됩니다.

[김연재/국립중앙의료원 감염내과 전문의 : "예진 의사 인력과 접종하는 간호사 인력으로 하고 있는데요, 네 팀씩 운영을 했을 때 초기 목표는 (하루 접종자) 600명으로 잡고 감소시키거나 증가시킬 예정입니다."]

식약처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과 관련한 품질자료를 심사하고 오는 4일 중앙약사심의위원회에서 자문 결과를 공개할 예정입니다.

KBS 뉴스 김민지입니다.

영상편집:박주연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