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늘·양파 일손 부족…농기계 보급 과제는?

입력 2023.06.05 (07:37) 수정 2023.06.05 (07:4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마늘과 양파 수확 철인 요즘, 농촌에서는 일손 구하기가 어느 때보다 힘든 상황입니다.

부족한 일손 문제는 농기계 장비로 해결할 수 있는데요.

논농사와 달리 기계 도입이 더딘 밭농사에 첨단 농기계를 도입하기 위해서는 재배 표준화와 가격 부담을 해결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배수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3천㎡ 논에서 마늘 대를 자르는 농기계입니다.

땅 속 마늘 뿌리를 캐서 흙을 털어내고, 상처 없이 수확물을 모으는 기계도 등장합니다.

마늘을 수확하는 데 들어간 인력은 주인 부부 단 2명뿐.

사람 손에만 의존한 기존 마늘 수확에는 15명 전후 인력이 필요했지만, 단 2명으로 수확할 수 있습니다.

[김홍주/마늘 재배 농민 : "인력 구하기가 하늘의 별 따기입니다. 요새 그래서 나는 기계 작업을 시작한 지가 3년째인데 기계 작업으로 하면 부부간에 두 명이 이 밭을 충분하게 수확할 수 있습니다."]

농촌진흥청은 마늘의 경우, 기계화 재배 기술을 적용하면 노동력은 67%, 생산 비용은 47%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하지만 밭농사 기계화 보급률은 63%로, 98% 수준인 논농사보다 훨씬 낮습니다.

농가마다 재배 표준화가 되지 않았고, 비싼 농기계 가격이 농민에게 부담이기 때문입니다.

[남영조/농기계 제조업체 대표 : "재배 표준화가 안 돼 그렇습니다. 그래서 농가에서 파종부터 수확까지 표준 재배 모델이 성립돼야 밭 농업 기계 보급에 박차를 가할 수 있는..."]

외국인 계절 근로자 도입과 함께 농촌 일손 부족을 해결할 농기계 보급, 밭 작물도 기계 보급을 늘리기 위해서는 농가 재배 표준화 유도와 임대 농기계 제도 활성화, 권역별 농기계 전문 사업단 구성 등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KBS 뉴스 배수영입니다.

촬영기자:지승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마늘·양파 일손 부족…농기계 보급 과제는?
    • 입력 2023-06-05 07:37:45
    • 수정2023-06-05 07:45:41
    뉴스광장(경인)
[앵커]

마늘과 양파 수확 철인 요즘, 농촌에서는 일손 구하기가 어느 때보다 힘든 상황입니다.

부족한 일손 문제는 농기계 장비로 해결할 수 있는데요.

논농사와 달리 기계 도입이 더딘 밭농사에 첨단 농기계를 도입하기 위해서는 재배 표준화와 가격 부담을 해결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배수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3천㎡ 논에서 마늘 대를 자르는 농기계입니다.

땅 속 마늘 뿌리를 캐서 흙을 털어내고, 상처 없이 수확물을 모으는 기계도 등장합니다.

마늘을 수확하는 데 들어간 인력은 주인 부부 단 2명뿐.

사람 손에만 의존한 기존 마늘 수확에는 15명 전후 인력이 필요했지만, 단 2명으로 수확할 수 있습니다.

[김홍주/마늘 재배 농민 : "인력 구하기가 하늘의 별 따기입니다. 요새 그래서 나는 기계 작업을 시작한 지가 3년째인데 기계 작업으로 하면 부부간에 두 명이 이 밭을 충분하게 수확할 수 있습니다."]

농촌진흥청은 마늘의 경우, 기계화 재배 기술을 적용하면 노동력은 67%, 생산 비용은 47%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하지만 밭농사 기계화 보급률은 63%로, 98% 수준인 논농사보다 훨씬 낮습니다.

농가마다 재배 표준화가 되지 않았고, 비싼 농기계 가격이 농민에게 부담이기 때문입니다.

[남영조/농기계 제조업체 대표 : "재배 표준화가 안 돼 그렇습니다. 그래서 농가에서 파종부터 수확까지 표준 재배 모델이 성립돼야 밭 농업 기계 보급에 박차를 가할 수 있는..."]

외국인 계절 근로자 도입과 함께 농촌 일손 부족을 해결할 농기계 보급, 밭 작물도 기계 보급을 늘리기 위해서는 농가 재배 표준화 유도와 임대 농기계 제도 활성화, 권역별 농기계 전문 사업단 구성 등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KBS 뉴스 배수영입니다.

촬영기자:지승환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