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 한복판에 월 24만 원…‘대구행복기숙사’ 눈길

입력 2023.06.07 (08:24) 수정 2023.06.07 (08:5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아직 경제적으로 독립을 못 이룬 청년들은 생활비 중에서도 주거비가 큰 걱정인데요,

대구시가 지역 청년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주변 월세의 절반 수준인 '행복기숙사'를 개관해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지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도심 한복판에 오피스텔 같은 건물이 들어섰습니다.

깨끗한 2인 1실에, 체력단련실과 식당, 독서실까지 있습니다.

대구·경북 청년이면 누구나 월 24만 원, 주변 원룸 월세의 절반 수준에 최대 8년까지 거주할 수 있는 대구행복기숙사입니다.

대구시가 터를 무상 제공하고 정부와 시, 한국사학진흥재단이 함께 예산을 들여 지었습니다.

[박종원/대학생 : "교대를 다니는데 학교 근처와 가까워서 친구랑 약속 잡기도 편하고. 통금시간이 한시부터 다섯시거든요. 그래서 대학생이 과외하거나 알바하고 오기에도 편하고."]

특히, 전국 행복기숙사 최초로 청년을 위한 각종 공공지원시설까지 추가로 들어섰습니다.

면접용 정장을 무료로 빌려주는 '희망 옷장'부터 회의실과 강의실, 촬영 스튜디오까지 마련돼 청년 구직과 창업을 다방면으로 돕습니다.

카페와 라운지, 공공주차장은 지역민에게도 개방됩니다.

[조경선/대구시 청년여성교육국장 : "귀향을 희망하는 청년을 발굴하기 위해서 '욜로온나'라는 홍보 플랫폼을 운영하고, 취업과 창업, 프리랜서 활동을 돕고, 지역의 공공기관 사택을 무상으로 제공함으로써…."]

전국 최초의 주민 친화형 대구행복기숙사가 청년의 지역 유입과 정착은 물론 지역사회 활성화도 이끌어 낼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이지은입니다.

촬영기자:전민재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도심 한복판에 월 24만 원…‘대구행복기숙사’ 눈길
    • 입력 2023-06-07 08:24:38
    • 수정2023-06-07 08:53:27
    뉴스광장(대구)
[앵커]

아직 경제적으로 독립을 못 이룬 청년들은 생활비 중에서도 주거비가 큰 걱정인데요,

대구시가 지역 청년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주변 월세의 절반 수준인 '행복기숙사'를 개관해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지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도심 한복판에 오피스텔 같은 건물이 들어섰습니다.

깨끗한 2인 1실에, 체력단련실과 식당, 독서실까지 있습니다.

대구·경북 청년이면 누구나 월 24만 원, 주변 원룸 월세의 절반 수준에 최대 8년까지 거주할 수 있는 대구행복기숙사입니다.

대구시가 터를 무상 제공하고 정부와 시, 한국사학진흥재단이 함께 예산을 들여 지었습니다.

[박종원/대학생 : "교대를 다니는데 학교 근처와 가까워서 친구랑 약속 잡기도 편하고. 통금시간이 한시부터 다섯시거든요. 그래서 대학생이 과외하거나 알바하고 오기에도 편하고."]

특히, 전국 행복기숙사 최초로 청년을 위한 각종 공공지원시설까지 추가로 들어섰습니다.

면접용 정장을 무료로 빌려주는 '희망 옷장'부터 회의실과 강의실, 촬영 스튜디오까지 마련돼 청년 구직과 창업을 다방면으로 돕습니다.

카페와 라운지, 공공주차장은 지역민에게도 개방됩니다.

[조경선/대구시 청년여성교육국장 : "귀향을 희망하는 청년을 발굴하기 위해서 '욜로온나'라는 홍보 플랫폼을 운영하고, 취업과 창업, 프리랜서 활동을 돕고, 지역의 공공기관 사택을 무상으로 제공함으로써…."]

전국 최초의 주민 친화형 대구행복기숙사가 청년의 지역 유입과 정착은 물론 지역사회 활성화도 이끌어 낼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이지은입니다.

촬영기자:전민재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대구-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