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가인 줄 알았더니 사람이”…전국 ‘빈집’ 145만 채 [현장K]

입력 2024.05.22 (21:22) 수정 2024.05.22 (22:0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서울 곳곳에서 추진되는 재개발 사업장에 빈집들이 방치되면서 주변에 살고있는 주민들이 치안 불안과 불편함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방치된 빈 집에 몰래 들어가 살아도 아무도 모를 정도라는데, 어느 정도인지 최혜림 기자가 현장을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재개발을 추진하고 있지만 조합조차 설립되지 않은 서울의 한 주택가.

늘어진 덤불을 헤치고 들어가, 녹슨 철문을 열자 낡은 집 하나가 나옵니다.

불과 한 달여 전까지 70대 노인이 살던 집입니다.

지붕은 다 무너져내렸고, 이불에선 심한 악취가 납니다.

노인은 임대 계약이 끝났지만 집주인 몰래 수년 동안 폐가에서 지냈습니다.

주인은 외국에 있어 연락이 닿지 않는 상탭니다.

인근의 또 다른 빈집.

오래 방치된 탓에 담벼락이 무너져내렸습니다.

[인근 주민/음성변조 : "한여름에 비가 얼마나 쏟아지는지 갑자기 그냥 전쟁이 났어. 피해는 우리가 최고 많이 보고 있는 거지…."]

이런 빈집들은 주로 재개발을 앞둔 동네에서 주민들이 떠나며 생깁니다.

지난 1월 재개발이 결정돼 이주가 예정된 서울 성북구 정릉골이 대표적입니다.

[인근 주민/음성변조 : "이 위로 올라가면 거의 다 빈집이에요. 저기 겨울 되면 못 살아요. 추워서."]

이런 빈집은 서울에만 10만 채가 넘고, 전국적으로는 145만 채가 넘습니다.

직접적인 관리책임이 집주인에게 있기 때문에 지자체에서 개입할 방법은 없습니다.

그나마 경찰이 '치안 불안 지역'으로 지정해 예방 순찰을 하는 것이 전부입니다.

[이교진/성북서 범죄예방대응과장 : "공·폐가촌은 화재의 위험도 있고 청소년들 학교폭력이나 환각물질흡입 등 범죄 장소로 악용될 우려가 있어가지고..."]

재개발 지역이 아닌 곳에선 서울시가 빈집을 사들여 수리한 뒤 임대주택으로 운영하는 사업도 하고 있지만 지금은 매입이 중단된 상황.

전국적으로 1년 넘게 방치된 빈집은 38만 채로 추산됩니다.

현장K 최혜림입니다.

촬영기자:조창훈 최석규/영상편집:김종선/그래픽:박미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폐가인 줄 알았더니 사람이”…전국 ‘빈집’ 145만 채 [현장K]
    • 입력 2024-05-22 21:22:12
    • 수정2024-05-22 22:09:59
    뉴스 9
[앵커]

서울 곳곳에서 추진되는 재개발 사업장에 빈집들이 방치되면서 주변에 살고있는 주민들이 치안 불안과 불편함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방치된 빈 집에 몰래 들어가 살아도 아무도 모를 정도라는데, 어느 정도인지 최혜림 기자가 현장을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재개발을 추진하고 있지만 조합조차 설립되지 않은 서울의 한 주택가.

늘어진 덤불을 헤치고 들어가, 녹슨 철문을 열자 낡은 집 하나가 나옵니다.

불과 한 달여 전까지 70대 노인이 살던 집입니다.

지붕은 다 무너져내렸고, 이불에선 심한 악취가 납니다.

노인은 임대 계약이 끝났지만 집주인 몰래 수년 동안 폐가에서 지냈습니다.

주인은 외국에 있어 연락이 닿지 않는 상탭니다.

인근의 또 다른 빈집.

오래 방치된 탓에 담벼락이 무너져내렸습니다.

[인근 주민/음성변조 : "한여름에 비가 얼마나 쏟아지는지 갑자기 그냥 전쟁이 났어. 피해는 우리가 최고 많이 보고 있는 거지…."]

이런 빈집들은 주로 재개발을 앞둔 동네에서 주민들이 떠나며 생깁니다.

지난 1월 재개발이 결정돼 이주가 예정된 서울 성북구 정릉골이 대표적입니다.

[인근 주민/음성변조 : "이 위로 올라가면 거의 다 빈집이에요. 저기 겨울 되면 못 살아요. 추워서."]

이런 빈집은 서울에만 10만 채가 넘고, 전국적으로는 145만 채가 넘습니다.

직접적인 관리책임이 집주인에게 있기 때문에 지자체에서 개입할 방법은 없습니다.

그나마 경찰이 '치안 불안 지역'으로 지정해 예방 순찰을 하는 것이 전부입니다.

[이교진/성북서 범죄예방대응과장 : "공·폐가촌은 화재의 위험도 있고 청소년들 학교폭력이나 환각물질흡입 등 범죄 장소로 악용될 우려가 있어가지고..."]

재개발 지역이 아닌 곳에선 서울시가 빈집을 사들여 수리한 뒤 임대주택으로 운영하는 사업도 하고 있지만 지금은 매입이 중단된 상황.

전국적으로 1년 넘게 방치된 빈집은 38만 채로 추산됩니다.

현장K 최혜림입니다.

촬영기자:조창훈 최석규/영상편집:김종선/그래픽:박미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