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추적] 말 뿐인 한우 원산지 단속
입력 2008.04.29 (22:07)
수정 2008.04.29 (22:2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미국산 쇠고기 전면 수입을 앞두고 정부가 대대적인 쇠고기 원산지 단속에 나서고 있습니다.
하지만 한우 유전자를 판별하는 장비 보급이 늦어지면서 단속이 제대로 이뤄질지 의문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재교 기자가 현장 추적으로 고발합니다.
<리포트>
한우만 전문으로 취급한다는 대구의 한 음식점에 단속 반원이 들이닥칩니다.
단속반이 냉장고에서 수입육으로 의심되는 고기를 찾아내 주인에게 따져 묻습니다.
<녹취> 단속반원 : "저거는 수입육이네. (진공포장 기계로 다 한거거든요.) 여기서 한 거에요? (네, 진공포장기계로 다 한거라...)"
어찌된 일인지 단속반은 육안 검사와 서류만 확인할 뿐 한우 여부를 확인하는데 필요한 시료는 채취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설령 시료를 채취해 오더라도 현재 검사방법으로는 한우와 수입 소를 구별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대구에서 유일하게 한우 DNA 분석 장비를 갖추고 있는 보건환경연구원, 이곳에서는 털 색깔 유전자를 통해 한우와 젖소는 구별할 수 있지만, 털 색깔이 비슷한 수입 소의 국산 둔갑 여부는 확인할 방법이 없습니다.
<인터뷰> 이춘식(보건환경연구원 관계자) : "현재 방법으로 한우와 젖소는 구분이 가능하지만, 나머진 불가능합니다."
식약청과 축산과학원은 지난해 말, 새로운 한우 DNA 판별 장비를 개발했다고 밝혔지만 전국 대부분 지역에는 아직 이 검사장비가 보급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한우 고유 유전자 70개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원산지 위반을 단속하는 이 장비는 현재 서울에 두 대가 전부이고 다음달 말쯤에야 경기도와 부산에 각각 한 대씩 보급될 예정입니다.
<녹취> 식약청 관계자 : "예산액이 좀 부족해서 서울주변에서 제일 큰 곳이 경인지방청이거든요. 그리고 한강 이남에서 제일 큰청이 부산청이고..."
원산지 둔갑을 막기 위해 축산단체와 소비자단체도 참가한 대규모 합동 원산지 단속반까지 출범했지만 관련 부처는 장비 보급에 대한 추가 예산 확보 계획조차 없습니다.
<녹취> 농관원 관계자 : "올해는 확보된 예산이 없구요. 사실 아직 DNA 분석건수가 거의 많지 않거든요."
아무런 준비 없이 시작한 정부의 한우 원산지 단속, 그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현장추적 이재교입니다.
미국산 쇠고기 전면 수입을 앞두고 정부가 대대적인 쇠고기 원산지 단속에 나서고 있습니다.
하지만 한우 유전자를 판별하는 장비 보급이 늦어지면서 단속이 제대로 이뤄질지 의문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재교 기자가 현장 추적으로 고발합니다.
<리포트>
한우만 전문으로 취급한다는 대구의 한 음식점에 단속 반원이 들이닥칩니다.
단속반이 냉장고에서 수입육으로 의심되는 고기를 찾아내 주인에게 따져 묻습니다.
<녹취> 단속반원 : "저거는 수입육이네. (진공포장 기계로 다 한거거든요.) 여기서 한 거에요? (네, 진공포장기계로 다 한거라...)"
어찌된 일인지 단속반은 육안 검사와 서류만 확인할 뿐 한우 여부를 확인하는데 필요한 시료는 채취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설령 시료를 채취해 오더라도 현재 검사방법으로는 한우와 수입 소를 구별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대구에서 유일하게 한우 DNA 분석 장비를 갖추고 있는 보건환경연구원, 이곳에서는 털 색깔 유전자를 통해 한우와 젖소는 구별할 수 있지만, 털 색깔이 비슷한 수입 소의 국산 둔갑 여부는 확인할 방법이 없습니다.
<인터뷰> 이춘식(보건환경연구원 관계자) : "현재 방법으로 한우와 젖소는 구분이 가능하지만, 나머진 불가능합니다."
식약청과 축산과학원은 지난해 말, 새로운 한우 DNA 판별 장비를 개발했다고 밝혔지만 전국 대부분 지역에는 아직 이 검사장비가 보급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한우 고유 유전자 70개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원산지 위반을 단속하는 이 장비는 현재 서울에 두 대가 전부이고 다음달 말쯤에야 경기도와 부산에 각각 한 대씩 보급될 예정입니다.
<녹취> 식약청 관계자 : "예산액이 좀 부족해서 서울주변에서 제일 큰 곳이 경인지방청이거든요. 그리고 한강 이남에서 제일 큰청이 부산청이고..."
원산지 둔갑을 막기 위해 축산단체와 소비자단체도 참가한 대규모 합동 원산지 단속반까지 출범했지만 관련 부처는 장비 보급에 대한 추가 예산 확보 계획조차 없습니다.
<녹취> 농관원 관계자 : "올해는 확보된 예산이 없구요. 사실 아직 DNA 분석건수가 거의 많지 않거든요."
아무런 준비 없이 시작한 정부의 한우 원산지 단속, 그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현장추적 이재교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현장추적] 말 뿐인 한우 원산지 단속
-
- 입력 2008-04-29 21:19:40
- 수정2008-04-29 22:21:06

<앵커 멘트>
미국산 쇠고기 전면 수입을 앞두고 정부가 대대적인 쇠고기 원산지 단속에 나서고 있습니다.
하지만 한우 유전자를 판별하는 장비 보급이 늦어지면서 단속이 제대로 이뤄질지 의문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재교 기자가 현장 추적으로 고발합니다.
<리포트>
한우만 전문으로 취급한다는 대구의 한 음식점에 단속 반원이 들이닥칩니다.
단속반이 냉장고에서 수입육으로 의심되는 고기를 찾아내 주인에게 따져 묻습니다.
<녹취> 단속반원 : "저거는 수입육이네. (진공포장 기계로 다 한거거든요.) 여기서 한 거에요? (네, 진공포장기계로 다 한거라...)"
어찌된 일인지 단속반은 육안 검사와 서류만 확인할 뿐 한우 여부를 확인하는데 필요한 시료는 채취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설령 시료를 채취해 오더라도 현재 검사방법으로는 한우와 수입 소를 구별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대구에서 유일하게 한우 DNA 분석 장비를 갖추고 있는 보건환경연구원, 이곳에서는 털 색깔 유전자를 통해 한우와 젖소는 구별할 수 있지만, 털 색깔이 비슷한 수입 소의 국산 둔갑 여부는 확인할 방법이 없습니다.
<인터뷰> 이춘식(보건환경연구원 관계자) : "현재 방법으로 한우와 젖소는 구분이 가능하지만, 나머진 불가능합니다."
식약청과 축산과학원은 지난해 말, 새로운 한우 DNA 판별 장비를 개발했다고 밝혔지만 전국 대부분 지역에는 아직 이 검사장비가 보급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한우 고유 유전자 70개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원산지 위반을 단속하는 이 장비는 현재 서울에 두 대가 전부이고 다음달 말쯤에야 경기도와 부산에 각각 한 대씩 보급될 예정입니다.
<녹취> 식약청 관계자 : "예산액이 좀 부족해서 서울주변에서 제일 큰 곳이 경인지방청이거든요. 그리고 한강 이남에서 제일 큰청이 부산청이고..."
원산지 둔갑을 막기 위해 축산단체와 소비자단체도 참가한 대규모 합동 원산지 단속반까지 출범했지만 관련 부처는 장비 보급에 대한 추가 예산 확보 계획조차 없습니다.
<녹취> 농관원 관계자 : "올해는 확보된 예산이 없구요. 사실 아직 DNA 분석건수가 거의 많지 않거든요."
아무런 준비 없이 시작한 정부의 한우 원산지 단속, 그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현장추적 이재교입니다.
-
-
이재교 기자 sky77@kbs.co.kr
이재교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韓-美 FTA 협상 타결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