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 참사 2주기…철거민 고통 여전
입력 2011.01.20 (22:18)
수정 2011.01.20 (22:3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오늘은 용산 참사가 일어난 지 2년째 되는 날입니다.
용산 참사 이후 정부는 재개발 지역 주민들을 위한 많은 후속대책을 내놓았지만 주민들은 아직도 철거현장에서 추운 겨울을 보내며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김학재 기자가 그 현장을 돌아봤습니다.
<리포트>
맹추위 속에서도 철거작업이 한창인 서울의 한 재개발현장입니다.
바로 옆집에 세들어 사는 최정혜씨는 요즘 피난살이같은 생활을 하고 있습니다.
<녹취>최정혜(세입자) : "춥고 소음, 먼지 그게 제일 힘들어요."
하루빨리 나가고 싶지만 집주인과의 분쟁으로 전세금을 돌려받지 못해 오도가도 못하는 처지입니다.
서울 전농동의 또 다른 재개발 현장.
주부 신미숙씨는 도라지 장사를 하며 어렵게 마련한 집이 재개발지역에 포함돼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녹취>신미숙(전농동 집주인) : "현금 청산을 해 준다는데 그 돈 갖고 어디 가서 전세도 제대로 못 얻어요."
이처럼 재개발 주민들의 고통이 여전한 것은 후속대책들이 유명무실하기 때문입니다.
<녹취>이은정(세입자) : "가옥주들에게 세입자 보상을 책임지우는 식으로 법이 바뀌다 보니까 예전보다 더 갈등이 심해지고..."
올해 서울에서만 재개발 관리 처분이 날 수 있는 지역은 96곳에 달합니다.
<인터뷰>김남근(변호사) : "5만 6천가구가 전부 철거가 돼서 이주를 시작한다면 재개발 추진과정에서 주민 갈등도 크게 표출될 것으로 보입니다."
용산 참사 2년, 재개발 지역 주민들의 삶은 여전히 고단하기만 합니다.
KBS 뉴스 김학재입니다.
오늘은 용산 참사가 일어난 지 2년째 되는 날입니다.
용산 참사 이후 정부는 재개발 지역 주민들을 위한 많은 후속대책을 내놓았지만 주민들은 아직도 철거현장에서 추운 겨울을 보내며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김학재 기자가 그 현장을 돌아봤습니다.
<리포트>
맹추위 속에서도 철거작업이 한창인 서울의 한 재개발현장입니다.
바로 옆집에 세들어 사는 최정혜씨는 요즘 피난살이같은 생활을 하고 있습니다.
<녹취>최정혜(세입자) : "춥고 소음, 먼지 그게 제일 힘들어요."
하루빨리 나가고 싶지만 집주인과의 분쟁으로 전세금을 돌려받지 못해 오도가도 못하는 처지입니다.
서울 전농동의 또 다른 재개발 현장.
주부 신미숙씨는 도라지 장사를 하며 어렵게 마련한 집이 재개발지역에 포함돼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녹취>신미숙(전농동 집주인) : "현금 청산을 해 준다는데 그 돈 갖고 어디 가서 전세도 제대로 못 얻어요."
이처럼 재개발 주민들의 고통이 여전한 것은 후속대책들이 유명무실하기 때문입니다.
<녹취>이은정(세입자) : "가옥주들에게 세입자 보상을 책임지우는 식으로 법이 바뀌다 보니까 예전보다 더 갈등이 심해지고..."
올해 서울에서만 재개발 관리 처분이 날 수 있는 지역은 96곳에 달합니다.
<인터뷰>김남근(변호사) : "5만 6천가구가 전부 철거가 돼서 이주를 시작한다면 재개발 추진과정에서 주민 갈등도 크게 표출될 것으로 보입니다."
용산 참사 2년, 재개발 지역 주민들의 삶은 여전히 고단하기만 합니다.
KBS 뉴스 김학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용산 참사 2주기…철거민 고통 여전
-
- 입력 2011-01-20 22:18:24
- 수정2011-01-20 22:39:57

<앵커 멘트>
오늘은 용산 참사가 일어난 지 2년째 되는 날입니다.
용산 참사 이후 정부는 재개발 지역 주민들을 위한 많은 후속대책을 내놓았지만 주민들은 아직도 철거현장에서 추운 겨울을 보내며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김학재 기자가 그 현장을 돌아봤습니다.
<리포트>
맹추위 속에서도 철거작업이 한창인 서울의 한 재개발현장입니다.
바로 옆집에 세들어 사는 최정혜씨는 요즘 피난살이같은 생활을 하고 있습니다.
<녹취>최정혜(세입자) : "춥고 소음, 먼지 그게 제일 힘들어요."
하루빨리 나가고 싶지만 집주인과의 분쟁으로 전세금을 돌려받지 못해 오도가도 못하는 처지입니다.
서울 전농동의 또 다른 재개발 현장.
주부 신미숙씨는 도라지 장사를 하며 어렵게 마련한 집이 재개발지역에 포함돼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녹취>신미숙(전농동 집주인) : "현금 청산을 해 준다는데 그 돈 갖고 어디 가서 전세도 제대로 못 얻어요."
이처럼 재개발 주민들의 고통이 여전한 것은 후속대책들이 유명무실하기 때문입니다.
<녹취>이은정(세입자) : "가옥주들에게 세입자 보상을 책임지우는 식으로 법이 바뀌다 보니까 예전보다 더 갈등이 심해지고..."
올해 서울에서만 재개발 관리 처분이 날 수 있는 지역은 96곳에 달합니다.
<인터뷰>김남근(변호사) : "5만 6천가구가 전부 철거가 돼서 이주를 시작한다면 재개발 추진과정에서 주민 갈등도 크게 표출될 것으로 보입니다."
용산 참사 2년, 재개발 지역 주민들의 삶은 여전히 고단하기만 합니다.
KBS 뉴스 김학재입니다.
-
-
김학재 기자 curator77@gmail.com
김학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