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밀렵 덫에 걸려 죽을 뻔 했던 지리산 반달 가슴곰에게 경사'가 났습니다.
겨울잠을 자다가 '귀여운 새끼'를 낳았습니다.
정홍규 기자입니다.
<리포트>
반달가슴곰이 동면 중인 굴 앞에서 검정색 동물의 움직임이 포착됩니다.
엉덩이부터 모습을 보이다가 특유의 뾰족한 주둥이까지 몸 전체의 윤곽이 드러납니다.
몸 길이 40센티미터 정도의 생후 2개월 된 새끼 반달가슴곰입니다.
<인터뷰>송병철(멸종위기종복원센터 수의사) : "성별이나 다른 사항은 어미와 같이 있어서 판단하기 어렵고요, 체중이 1.5킬로 내외로 건강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어미 곰은 지난 2007년 러시아에서 들여온 다섯 살짜리 반달가슴곰입니다.
2년 전 불법 밀렵 도구에 걸려들었다가 극적으로 구조대에 발견됐습니다.
발가락 하나를 잘라내야 했던 아픔을 딛고 야생서 출산까지 했기에 반달가슴곰 복원팀의 기쁨은 더할 나위 없습니다.
<인터뷰>양두하(박사/생태복원팀) : "지리산이라는 곳이 결국 곰들이 살아갈 수 있는 충분한 먹이 자원과 환경을 제공해 주고 있다는 의미로 볼 수 있습니다."
반달가슴곰이 야생에서 출산을 한 것은 지난 2009년 이후 4번쨉니다.
이로써 지리산에 서식하는 곰의 수도 모두 18마리로 늘어 자체 생존 가능한 개체 수 50마리까지 한발 더 다가서게 됐습니다.
KBS 뉴스 정홍규입니다.
밀렵 덫에 걸려 죽을 뻔 했던 지리산 반달 가슴곰에게 경사'가 났습니다.
겨울잠을 자다가 '귀여운 새끼'를 낳았습니다.
정홍규 기자입니다.
<리포트>
반달가슴곰이 동면 중인 굴 앞에서 검정색 동물의 움직임이 포착됩니다.
엉덩이부터 모습을 보이다가 특유의 뾰족한 주둥이까지 몸 전체의 윤곽이 드러납니다.
몸 길이 40센티미터 정도의 생후 2개월 된 새끼 반달가슴곰입니다.
<인터뷰>송병철(멸종위기종복원센터 수의사) : "성별이나 다른 사항은 어미와 같이 있어서 판단하기 어렵고요, 체중이 1.5킬로 내외로 건강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어미 곰은 지난 2007년 러시아에서 들여온 다섯 살짜리 반달가슴곰입니다.
2년 전 불법 밀렵 도구에 걸려들었다가 극적으로 구조대에 발견됐습니다.
발가락 하나를 잘라내야 했던 아픔을 딛고 야생서 출산까지 했기에 반달가슴곰 복원팀의 기쁨은 더할 나위 없습니다.
<인터뷰>양두하(박사/생태복원팀) : "지리산이라는 곳이 결국 곰들이 살아갈 수 있는 충분한 먹이 자원과 환경을 제공해 주고 있다는 의미로 볼 수 있습니다."
반달가슴곰이 야생에서 출산을 한 것은 지난 2009년 이후 4번쨉니다.
이로써 지리산에 서식하는 곰의 수도 모두 18마리로 늘어 자체 생존 가능한 개체 수 50마리까지 한발 더 다가서게 됐습니다.
KBS 뉴스 정홍규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구사일생 반달곰…야생서 동면 중 출산
-
- 입력 2011-03-18 22:12:42

<앵커 멘트>
밀렵 덫에 걸려 죽을 뻔 했던 지리산 반달 가슴곰에게 경사'가 났습니다.
겨울잠을 자다가 '귀여운 새끼'를 낳았습니다.
정홍규 기자입니다.
<리포트>
반달가슴곰이 동면 중인 굴 앞에서 검정색 동물의 움직임이 포착됩니다.
엉덩이부터 모습을 보이다가 특유의 뾰족한 주둥이까지 몸 전체의 윤곽이 드러납니다.
몸 길이 40센티미터 정도의 생후 2개월 된 새끼 반달가슴곰입니다.
<인터뷰>송병철(멸종위기종복원센터 수의사) : "성별이나 다른 사항은 어미와 같이 있어서 판단하기 어렵고요, 체중이 1.5킬로 내외로 건강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어미 곰은 지난 2007년 러시아에서 들여온 다섯 살짜리 반달가슴곰입니다.
2년 전 불법 밀렵 도구에 걸려들었다가 극적으로 구조대에 발견됐습니다.
발가락 하나를 잘라내야 했던 아픔을 딛고 야생서 출산까지 했기에 반달가슴곰 복원팀의 기쁨은 더할 나위 없습니다.
<인터뷰>양두하(박사/생태복원팀) : "지리산이라는 곳이 결국 곰들이 살아갈 수 있는 충분한 먹이 자원과 환경을 제공해 주고 있다는 의미로 볼 수 있습니다."
반달가슴곰이 야생에서 출산을 한 것은 지난 2009년 이후 4번쨉니다.
이로써 지리산에 서식하는 곰의 수도 모두 18마리로 늘어 자체 생존 가능한 개체 수 50마리까지 한발 더 다가서게 됐습니다.
KBS 뉴스 정홍규입니다.
-
-
정홍규 기자 dwarf@kbs.co.kr
정홍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