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수돗물은 방사능오염에 안전?

입력 2011.03.28 (22:0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일본 원전사태를 보며 우리 수돗물은 괜찮을까.

왠지 걱정이 많아지셨죠.

지자체마다 '물관리'하느라 부쩍 바빠졌습니다.

박석호 기자입니다.

<리포트>

서울 구의 취수장에서 수질 검사를 담당하는 윤순철씨, 실시간 수질 감시를 하고 있지만, 그래도 마음이 놓이지 않아 한강 원수 검사에 나섰습니다.

<인터뷰> 윤순철(구의아리수정수센터) : "전에는 일주일에 한번 검사를 했는데 지금은, 일본 원전 사고 이후에는 매일 (한강 원수 검사를) 하고 있습니다."

정수 처리를 한 수돗물도 검사 대상입니다.

천연 방사성물질인 우라늄238이나 세슘133의 수치가 요즘은 가장 신경이 쓰입니다.

이들 천연 방사성물질의 수치가 변하면, 세슘137 등 인공 방사성물질의 오염 여부도 의심되기 때문입니다.

다행히 현재 천연 방사성물질의 수치는 1리터당 1억 분의 1그램 수준으로 자연 상태와 다름이 없습니다.

<인터뷰> 한선희(서울상수도연구원 수질연구부장) : "저희가 계속 감시항목으로 우라늄과 세슘을 분석, 감시하고 있었습니다. 현재까지는 특이한 동향이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에 굉장히 수돗물은 안전하다고 말씀드릴 수가 있고요."

하지만, 방심은 금물이어서 수돗물에 대한 인공 방사성 물질 정밀 검사까지 연구 기관에 의뢰한 상태입니다.

전문가들은 방사성 물질이 바람을 타고 와 강물에 들어가기 때문에, 대기 중 방사성 물질의 양에 문제가 없으면, 수돗물도 걱정할 필요가 없다고 설명합니다.

KBS 뉴스 박석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우리 수돗물은 방사능오염에 안전?
    • 입력 2011-03-28 22:09:23
    뉴스 9
<앵커 멘트> 일본 원전사태를 보며 우리 수돗물은 괜찮을까. 왠지 걱정이 많아지셨죠. 지자체마다 '물관리'하느라 부쩍 바빠졌습니다. 박석호 기자입니다. <리포트> 서울 구의 취수장에서 수질 검사를 담당하는 윤순철씨, 실시간 수질 감시를 하고 있지만, 그래도 마음이 놓이지 않아 한강 원수 검사에 나섰습니다. <인터뷰> 윤순철(구의아리수정수센터) : "전에는 일주일에 한번 검사를 했는데 지금은, 일본 원전 사고 이후에는 매일 (한강 원수 검사를) 하고 있습니다." 정수 처리를 한 수돗물도 검사 대상입니다. 천연 방사성물질인 우라늄238이나 세슘133의 수치가 요즘은 가장 신경이 쓰입니다. 이들 천연 방사성물질의 수치가 변하면, 세슘137 등 인공 방사성물질의 오염 여부도 의심되기 때문입니다. 다행히 현재 천연 방사성물질의 수치는 1리터당 1억 분의 1그램 수준으로 자연 상태와 다름이 없습니다. <인터뷰> 한선희(서울상수도연구원 수질연구부장) : "저희가 계속 감시항목으로 우라늄과 세슘을 분석, 감시하고 있었습니다. 현재까지는 특이한 동향이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에 굉장히 수돗물은 안전하다고 말씀드릴 수가 있고요." 하지만, 방심은 금물이어서 수돗물에 대한 인공 방사성 물질 정밀 검사까지 연구 기관에 의뢰한 상태입니다. 전문가들은 방사성 물질이 바람을 타고 와 강물에 들어가기 때문에, 대기 중 방사성 물질의 양에 문제가 없으면, 수돗물도 걱정할 필요가 없다고 설명합니다. KBS 뉴스 박석호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