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분별한 매립으로 생태계 파괴

입력 2001.09.06 (21: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서해안 일대에서 각종 매립작업의 후유증이 나타나면서 갯벌 생태계가 파괴되고 있습니다.
심지어 갯벌이 사라지는 곳까지 있습니다.
그 현장을 구본국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인천시 강화군의 동검도입니다.
인천국제공항과 수도권 매립지가 생겨난 이후 밀물 때 토사가 흘러들어 갯벌이 1m 이상 높아졌습니다.
갯벌층이 두꺼워지면서 밑부분은 심한 악취를 내며 썩어가고 있습니다.
풍부하던 맛조개와 낙지 등은 이제 사라지고 겨우 실지렁이만 잡힙니다.
갯벌이 황폐화되면서 고기들도 급격하게 줄고 있습니다.
⊙어민: 플랑크톤이 적으니까 고기가 안 들어오는 거지, 이 근해에.
⊙기자: 인천공항 주변에 있는 장봉도는 더욱 심각한 상황입니다.
무릎까지 빠졌던 갯벌은 아예 그 모습을 감춰버렸습니다.
⊙김선만(장봉도 어촌계장): 막 간척해서 조류가 바뀌었다는 것 하고 그 다음에 간척하면서 매립하면서 이 앞 해상에서 준설을 했거든요.
⊙기자: 이 같은 갯벌 유실은 이제 바다 전체에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홍재상(인하대 해양학과 교수): 갯벌의 정화 기능이 없어진다면 예컨대 부영양화라든가 또는 적조라든지 이와 같은 오염의 현상이 예전보다 훨씬 더 자주 그리고 연중 일어날 수 있는 가능성이 많다는 얘기죠.
⊙기자: 인천국제공항과 새만금 간척사업 그리고 수도권 매립지 등 인간의 편의를 위해 계속되고 있는 바다 매립은 또 다른 위험을 경고하고 있습니다.
⊙이혜경(인천환경운동연합 국장): 경제 개발을 우선으로 했기 때문에 환경의 가치를 잘 몰랐지만 지금은 우리가 그걸 피부적으로 느끼고 있듯이 향후 2, 30년 후가 되면 갯벌의 가치가 얼마나 소중했던가 하는 것을 알게 되고...
⊙기자: 그러나 정부는 사후 환경영향평가 한 번 실시하지 않고 있습니다.
KBS뉴스 구본국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무분별한 매립으로 생태계 파괴
    • 입력 2001-09-06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뉴스 9
⊙앵커: 서해안 일대에서 각종 매립작업의 후유증이 나타나면서 갯벌 생태계가 파괴되고 있습니다. 심지어 갯벌이 사라지는 곳까지 있습니다. 그 현장을 구본국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인천시 강화군의 동검도입니다. 인천국제공항과 수도권 매립지가 생겨난 이후 밀물 때 토사가 흘러들어 갯벌이 1m 이상 높아졌습니다. 갯벌층이 두꺼워지면서 밑부분은 심한 악취를 내며 썩어가고 있습니다. 풍부하던 맛조개와 낙지 등은 이제 사라지고 겨우 실지렁이만 잡힙니다. 갯벌이 황폐화되면서 고기들도 급격하게 줄고 있습니다. ⊙어민: 플랑크톤이 적으니까 고기가 안 들어오는 거지, 이 근해에. ⊙기자: 인천공항 주변에 있는 장봉도는 더욱 심각한 상황입니다. 무릎까지 빠졌던 갯벌은 아예 그 모습을 감춰버렸습니다. ⊙김선만(장봉도 어촌계장): 막 간척해서 조류가 바뀌었다는 것 하고 그 다음에 간척하면서 매립하면서 이 앞 해상에서 준설을 했거든요. ⊙기자: 이 같은 갯벌 유실은 이제 바다 전체에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홍재상(인하대 해양학과 교수): 갯벌의 정화 기능이 없어진다면 예컨대 부영양화라든가 또는 적조라든지 이와 같은 오염의 현상이 예전보다 훨씬 더 자주 그리고 연중 일어날 수 있는 가능성이 많다는 얘기죠. ⊙기자: 인천국제공항과 새만금 간척사업 그리고 수도권 매립지 등 인간의 편의를 위해 계속되고 있는 바다 매립은 또 다른 위험을 경고하고 있습니다. ⊙이혜경(인천환경운동연합 국장): 경제 개발을 우선으로 했기 때문에 환경의 가치를 잘 몰랐지만 지금은 우리가 그걸 피부적으로 느끼고 있듯이 향후 2, 30년 후가 되면 갯벌의 가치가 얼마나 소중했던가 하는 것을 알게 되고... ⊙기자: 그러나 정부는 사후 환경영향평가 한 번 실시하지 않고 있습니다. KBS뉴스 구본국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