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 쑥대밭 속 복구 손길…막막한 농심

입력 2012.09.19 (22:0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태풍 피해를 입은 농촌 지역도 이틀째 복구작업이 진행되면서 조금씩 제 모습을 찾아가고 있습니다.

이종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어디가 밭인지 알 수 없을 정도로 온통 진흙투성이인 딸기밭, 중장비를 동원해 비닐하우스 구조물을 건져올립니다.

반나절 남짓한 작업에 망가진 구조물이 산더미처럼 쌓였습니다.

<인터뷰> 정호철(하사 50사단 501여단) : "와서 보니 심각한 피해가 있어 저희 집이라는 생각으로 열심히 복구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장비를 동원할 수 없는 피해 현장에서는 일일이 손작업으로 복구에 힘을 보탭니다.

강풍에 쓰러진 벼를 하나하나 일으켜 세우며 실의에 빠진 농민들을 돕습니다.

경북에서만 오늘 하루 군인과 공무원, 자원봉사자 등 6천여 명이 투입돼 피해복구에 구슬땀을 흘렸습니다.

하지만, 이번 태풍으로 전국적으로 농경지와 농작물 2만 3천여 헥타르가 침수되거나 유실되고, 가축 7만여 마리가 폐사하는 등 피해가 갈수록 늘고 있습니다.

장비와 인력이 부족해 아직 복구의 손길이 미치지 못한 곳도 여전히 많습니다.

<인터뷰> 남영식(피해농민) : "과거에도 루사, 매미 다 겪어봤지만, 이번처럼 침수되기는 처음, 막막합니다"

복구작업이 본격화되면서 농촌은 조금씩 제 모습을 찾고 있지만, 완전복구에는 오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여 농민들의 시름이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종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농촌 쑥대밭 속 복구 손길…막막한 농심
    • 입력 2012-09-19 22:07:10
    뉴스 9
<앵커 멘트> 태풍 피해를 입은 농촌 지역도 이틀째 복구작업이 진행되면서 조금씩 제 모습을 찾아가고 있습니다. 이종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어디가 밭인지 알 수 없을 정도로 온통 진흙투성이인 딸기밭, 중장비를 동원해 비닐하우스 구조물을 건져올립니다. 반나절 남짓한 작업에 망가진 구조물이 산더미처럼 쌓였습니다. <인터뷰> 정호철(하사 50사단 501여단) : "와서 보니 심각한 피해가 있어 저희 집이라는 생각으로 열심히 복구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장비를 동원할 수 없는 피해 현장에서는 일일이 손작업으로 복구에 힘을 보탭니다. 강풍에 쓰러진 벼를 하나하나 일으켜 세우며 실의에 빠진 농민들을 돕습니다. 경북에서만 오늘 하루 군인과 공무원, 자원봉사자 등 6천여 명이 투입돼 피해복구에 구슬땀을 흘렸습니다. 하지만, 이번 태풍으로 전국적으로 농경지와 농작물 2만 3천여 헥타르가 침수되거나 유실되고, 가축 7만여 마리가 폐사하는 등 피해가 갈수록 늘고 있습니다. 장비와 인력이 부족해 아직 복구의 손길이 미치지 못한 곳도 여전히 많습니다. <인터뷰> 남영식(피해농민) : "과거에도 루사, 매미 다 겪어봤지만, 이번처럼 침수되기는 처음, 막막합니다" 복구작업이 본격화되면서 농촌은 조금씩 제 모습을 찾고 있지만, 완전복구에는 오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여 농민들의 시름이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종영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