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1년만의 정정보도…우리 언론은?

입력 2014.03.23 (17:28) 수정 2014.03.23 (17:5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최근, 미국의 유력일간지 뉴욕타임스가 161년 전의 기사에 있었던 사소한 잘못을 바로잡는 정정보도를 내놓아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잘못을 바로잡거나 사과하는 걸 주저하지 않는 태도, 언론에 대한 신뢰도 이런 데서 나오는 게 아닐까요?

그렇다면 우리 언론들은 어떨까요? 우리 언론들의 오보 대처 실태 구영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올해 아카데미작품상을 수상한 영화 <노예 12년>.

1840년대, 미국에서 납치돼, 12년을 노예로 산 흑인 남성의 실화입니다.

그런데, 최근, 뉴욕타임스가 1853년 당시 이 사건을 다루면서 주인공 이름을 잘못 표기한 게 밝혀졌습니다.

그러자 뉴욕타임스는 161년 만에 정정 보도를 했습니다.

또, 사소한 실수지만 오보가 발견된 경위까지도 밝혔습니다.

<녹취> 뉴욕타임스(Solomon Northup/2014. 3.4) : "(솔로몬 노섭)의 이야기를 다룬 1853년 1월 20일 기사에서 그의 이름을 Northrop (노스롭)으로, 헤드라인에서도 Northrup (노스럽)으로 잘못 표기했다. 이 잘못은 한 트위터 사용자가 뉴욕타임스 과거 기사에서 찾아내면서 월요일에 밝혀졌다."

오보에 대한 뉴욕타임스의 엄격한 태도는 대형 사건일수록 더 잘 드러납니다.

지난 2003년 5월 11일. 뉴욕타임스 1면 톱기사는 자사의 기자였던 제이슨 블레어에 대한 비판의 글이었습니다.

TIMES REPORTER WHO RISIGNED LEAVS LONG TRAIL OF DECEPTION 사직한 타임스 기자, 사기행각의 긴 흔적을 남기다.

<녹취> “뉴욕타임스의 한 기자가 최근 몇 달 동안 중요사건을 취재하면서 여러 차례 기만적인 취재행위를 해온 사실이 뉴욕타임스 자체 조사결과 드러났다. 이 광범위한 날조와 표절은 신뢰에 대한 심각한 배신이자 이 신문의 152년 역사에서 대단히 부끄러운 순간이다. “

이어 4개 면을 통틀어서 30여 건의 잘못된 기사를 일일이 바로 잡았습니다.

또, 조직적인 차원에서는 어떤 문제가 있었는지 진단하기 위해 외부인을 참여시킨 위원회를 꾸려, 기사 심의기준이나 내부 커뮤니케이션 등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보고서까지 냈습니다.

<인터뷰> 최진봉(성공회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 "외국의 언론들이 정정보도 하는 것은 언론사로서의 책임감이죠.사회적 책임에 대한 어떤 막중함이 있는 것 같아요. 외국의 언론사들은 오보를 낸 것 자체가 실수라 하더라도 그것을 반드시 독자들이 명확하고 정확하게 알아야 된다, 시간이 아주 오래 지난 뒤에라도 그것에 대해서 분명하게 찾아내고 또 밝혀내서 조사해서 발표를 한다는 거죠."

오보에 대해 책임지는 자세는, 해외의 유력 언론들이 보여주는 공통적 모습입니다.

영국의 공영방송 BBC는, 지난 2012년, 보수당 정치인의 성폭행 의혹을 고발했는데, 오보로 밝혀졌습니다.

잘못된 제보를 믿고 보도한 것이었습니다.

<녹취> 알리스테어 맥알파인(오보 피해자) : "오보 충격은 뼈에 사무쳤고 화나고 분통터지게 만들었습니다."

이에 대해 BBC는 피해자에게 3억 2천만 원의 보상금을 신속히 지급했고, 사장이 직접 오보 등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퇴했습니다.

<녹취> 크리스 패튼 (BBC트러스트 의장) : "BBC는 신뢰를 다시 회복할 것입니다. 하지만 먼저 BBC의 잘못과 취약성을 솔직히 드러내야만 합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 언론들은 어떨까?

지난 17일 오후 4시 30분쯤, 언론은 일제히 <강남구청역에서 폭발물 확인>이라며 속보를 냈습니다.

<녹취> YTN : "강남구청역에서 확인된 물체는 폭발물로 확인됐다는 소식이 들어왔습니다."

<녹취> TV조선 : "의심물체는 폭발물로 확인됐습니다. 최종확인됐습니다. 폭발물입니다."

인터넷 기사도 마찬가지였습니다.

하지만 불과 20여분만에 오보로 드러났습니다.

경찰의 잘못된 초기 판단을 그대로 전했던 겁니다.

<녹취> KBS(3.17 5시 뉴스) : "경찰은 가방 안에서 전선 등이 확인돼 폭발물로 의심되는 정황이 있었지만 최종 확인 결과 폭발물은 아닌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습니다."

물론, 1차적 책임은 경찰에 있지만 언론보도는 결과적으로 시민들에게 공포를 줬습니다.

하지만, 이에 대해 사과를 한 언론은 극히 드물었습니다.

또, 지난 달 18일, 상당수 신문에, 초등생의 60% 이상이, 성인물을 보느라 잠자는 시간이 줄었다는 기사가 났습니다.

<녹취> 경향신문(2.18 17면) : "잠이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초등생의 절반 이상이 성인사이트에서 성인물을 보느라 잠이 부족하게 됐다고 응답했다."

사실 이는 통계기관이 2%대의 수치를 60%대로 첫 자료를 잘못 배포해 빚어진 오보.

이 기관은 전날 밤 자료를 수정했고, 일부 언론은 제대로 된 통계기사를 냈지만, 대부분의 신문은 다음날, 그대로 틀린 내용을 보도한 겁니다.

게다가, 언론들이 그 이후에도 곧바로 정정보도를 하지 않으면서, 그 사이 이 오보는 중국과 일본 언론에까지 인용됐습니다.

며칠 뒤, 일부 신문은 뒤늦은 해명성 기사만 실었습니다.

<녹취> 동아일보(2.22) : "엉터리 통계조사결과가 전국의 학부모 가슴을 철렁 내려앉게 하고 억울한 모범생 초등학생들을 분노하게 만들었다."

국내 언론에서도 오보를 고치려는 노력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중앙일보는 1994년부터 정정보도를 적극적으로 하기로 하면서, 이전에는 연평균 10건이 안됐던 정정기사가 이후에는 연평균 159건으로 늘었다고 합니다.

또, 매년 연말, 한 개 면을 그해의 정정보도 특집으로 채웁니다.

<인터뷰> 중앙일보 이택희 심의실장 : "내부적으로는 기자들에게 보다 정확한 기사를 써서 더 신뢰 받는 신문을 만들도록 하자는 다짐을 새롭게 하고 독자들에게는 우리가 솔직하게 진지하게 반성하는 모습을 보여줌으로 해서 신뢰를 높이는 그런 기대가 있는 겁니다."

그렇다면 제대로 된 정정보도엔 어떤 요건이 필요할까?

미디어 인사이드가 올해 5개 주요 일간지에 실린 정정 보도 기사를 분석해봤습니다.

총 65건 가운데, 단순히 내용만 고친 경우가 61건이었습니다. 오보가 생긴 경위를 밝힌 경우는 2건, 사과까지 덧붙인 경우도 2건뿐이었습니다.

정정보도를 하더라도, 형식적인 경우가 많고, 제대로 사과나 피해보상이 이뤄지지 않는 것은 문젭니다.

<인터뷰> 윤여진(언론인권센터 사무처장) : "언론에 오보가 났을 경우 아마 주홍글씨를 받았다고 생각하실 거예요. 왜냐면 본인에 대한 잘못된 평판이 사람들한테 회자되는 거니까요. 그것을 회복하는 데는 본인이 일일이 다니면서 다 얘기할 수 없는 상황이잖아요."

전문가들은, 오보가 없을 수는 없겠지만, 오보에 대한 대처 방법이 언론의 신뢰도에 더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말합니다.

<인터뷰> 김영욱(이대 언론홍보영상학부교수) : "내가 무조건 잘못했다 아니면 이 기사 잘못됐다 이런 것보단 앞으로 이런 일이 안 일어날 거란 확신, 신뢰 이런 걸 줄 수 있는 문장들이 들어가야 될 것 같아요. 너무 이 기사는 그냥 이렇게 했으니까 잘못했습니다. 아니면 여기에 대해 사과드립니다 이런 것보단 우리가 이걸 고치기 위해서 앞으로 이렇게 시스템을 바꾸겠습니다..."

언론진흥재단이 지난해 천 5백여 명의 기자들을 조사한 결과 60%가 오보 원인으로 ‘사실의 미확인.불충분한 취재’를 꼽았고 이어 기자의 부주의 (18.5%)가 많았습니다.

언론사 간의 지나친 경쟁 ( 7.7%) 마감시간에 따른 압박감 (4.6%) 그리고 데스크의 과도한 지시(2.0%)등, 조직적이고 구조적인 문제점도 드러났습니다.

때문에, 오보문제는 기자 개인의 노력도 필요하지만 언론사 차원에서도 오보를 줄이고 적극적으로 대처할 필요가 있습니다.

<인터뷰> 최진봉(성공회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 "오보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은 첫째는 팩트를 체크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야 돼요. 외국같은 경우는 /팩트 체커제를 운영하고 있는데 외부의 전문가들을 영입해서 하나의 부서를 만들어서 어떤 기사가 통계적인 자료가 들어가거나 아니면 어떤 개인에 대한 옛날 역사적 사실에 대해 보도할 때는 조사를 해서 그게 맞는지 확인한 다음에 보도를 하는 시스템을 갖고 있거든요."

언론계에선 열 개의 특종보다 한 개의 오보를 경계하라는 말이 있습니다.

오보가 미칠 수 있는 영향이 그만큼 크기 때문일텐데요, 언론들이 오보에 대한 책임 또한 무겁게 느껴야 하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161년만의 정정보도…우리 언론은?
    • 입력 2014-03-23 17:25:48
    • 수정2014-03-23 17:52:23
    미디어 인사이드
<앵커 멘트>

최근, 미국의 유력일간지 뉴욕타임스가 161년 전의 기사에 있었던 사소한 잘못을 바로잡는 정정보도를 내놓아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잘못을 바로잡거나 사과하는 걸 주저하지 않는 태도, 언론에 대한 신뢰도 이런 데서 나오는 게 아닐까요?

그렇다면 우리 언론들은 어떨까요? 우리 언론들의 오보 대처 실태 구영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올해 아카데미작품상을 수상한 영화 <노예 12년>.

1840년대, 미국에서 납치돼, 12년을 노예로 산 흑인 남성의 실화입니다.

그런데, 최근, 뉴욕타임스가 1853년 당시 이 사건을 다루면서 주인공 이름을 잘못 표기한 게 밝혀졌습니다.

그러자 뉴욕타임스는 161년 만에 정정 보도를 했습니다.

또, 사소한 실수지만 오보가 발견된 경위까지도 밝혔습니다.

<녹취> 뉴욕타임스(Solomon Northup/2014. 3.4) : "(솔로몬 노섭)의 이야기를 다룬 1853년 1월 20일 기사에서 그의 이름을 Northrop (노스롭)으로, 헤드라인에서도 Northrup (노스럽)으로 잘못 표기했다. 이 잘못은 한 트위터 사용자가 뉴욕타임스 과거 기사에서 찾아내면서 월요일에 밝혀졌다."

오보에 대한 뉴욕타임스의 엄격한 태도는 대형 사건일수록 더 잘 드러납니다.

지난 2003년 5월 11일. 뉴욕타임스 1면 톱기사는 자사의 기자였던 제이슨 블레어에 대한 비판의 글이었습니다.

TIMES REPORTER WHO RISIGNED LEAVS LONG TRAIL OF DECEPTION 사직한 타임스 기자, 사기행각의 긴 흔적을 남기다.

<녹취> “뉴욕타임스의 한 기자가 최근 몇 달 동안 중요사건을 취재하면서 여러 차례 기만적인 취재행위를 해온 사실이 뉴욕타임스 자체 조사결과 드러났다. 이 광범위한 날조와 표절은 신뢰에 대한 심각한 배신이자 이 신문의 152년 역사에서 대단히 부끄러운 순간이다. “

이어 4개 면을 통틀어서 30여 건의 잘못된 기사를 일일이 바로 잡았습니다.

또, 조직적인 차원에서는 어떤 문제가 있었는지 진단하기 위해 외부인을 참여시킨 위원회를 꾸려, 기사 심의기준이나 내부 커뮤니케이션 등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보고서까지 냈습니다.

<인터뷰> 최진봉(성공회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 "외국의 언론들이 정정보도 하는 것은 언론사로서의 책임감이죠.사회적 책임에 대한 어떤 막중함이 있는 것 같아요. 외국의 언론사들은 오보를 낸 것 자체가 실수라 하더라도 그것을 반드시 독자들이 명확하고 정확하게 알아야 된다, 시간이 아주 오래 지난 뒤에라도 그것에 대해서 분명하게 찾아내고 또 밝혀내서 조사해서 발표를 한다는 거죠."

오보에 대해 책임지는 자세는, 해외의 유력 언론들이 보여주는 공통적 모습입니다.

영국의 공영방송 BBC는, 지난 2012년, 보수당 정치인의 성폭행 의혹을 고발했는데, 오보로 밝혀졌습니다.

잘못된 제보를 믿고 보도한 것이었습니다.

<녹취> 알리스테어 맥알파인(오보 피해자) : "오보 충격은 뼈에 사무쳤고 화나고 분통터지게 만들었습니다."

이에 대해 BBC는 피해자에게 3억 2천만 원의 보상금을 신속히 지급했고, 사장이 직접 오보 등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퇴했습니다.

<녹취> 크리스 패튼 (BBC트러스트 의장) : "BBC는 신뢰를 다시 회복할 것입니다. 하지만 먼저 BBC의 잘못과 취약성을 솔직히 드러내야만 합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 언론들은 어떨까?

지난 17일 오후 4시 30분쯤, 언론은 일제히 <강남구청역에서 폭발물 확인>이라며 속보를 냈습니다.

<녹취> YTN : "강남구청역에서 확인된 물체는 폭발물로 확인됐다는 소식이 들어왔습니다."

<녹취> TV조선 : "의심물체는 폭발물로 확인됐습니다. 최종확인됐습니다. 폭발물입니다."

인터넷 기사도 마찬가지였습니다.

하지만 불과 20여분만에 오보로 드러났습니다.

경찰의 잘못된 초기 판단을 그대로 전했던 겁니다.

<녹취> KBS(3.17 5시 뉴스) : "경찰은 가방 안에서 전선 등이 확인돼 폭발물로 의심되는 정황이 있었지만 최종 확인 결과 폭발물은 아닌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습니다."

물론, 1차적 책임은 경찰에 있지만 언론보도는 결과적으로 시민들에게 공포를 줬습니다.

하지만, 이에 대해 사과를 한 언론은 극히 드물었습니다.

또, 지난 달 18일, 상당수 신문에, 초등생의 60% 이상이, 성인물을 보느라 잠자는 시간이 줄었다는 기사가 났습니다.

<녹취> 경향신문(2.18 17면) : "잠이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초등생의 절반 이상이 성인사이트에서 성인물을 보느라 잠이 부족하게 됐다고 응답했다."

사실 이는 통계기관이 2%대의 수치를 60%대로 첫 자료를 잘못 배포해 빚어진 오보.

이 기관은 전날 밤 자료를 수정했고, 일부 언론은 제대로 된 통계기사를 냈지만, 대부분의 신문은 다음날, 그대로 틀린 내용을 보도한 겁니다.

게다가, 언론들이 그 이후에도 곧바로 정정보도를 하지 않으면서, 그 사이 이 오보는 중국과 일본 언론에까지 인용됐습니다.

며칠 뒤, 일부 신문은 뒤늦은 해명성 기사만 실었습니다.

<녹취> 동아일보(2.22) : "엉터리 통계조사결과가 전국의 학부모 가슴을 철렁 내려앉게 하고 억울한 모범생 초등학생들을 분노하게 만들었다."

국내 언론에서도 오보를 고치려는 노력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중앙일보는 1994년부터 정정보도를 적극적으로 하기로 하면서, 이전에는 연평균 10건이 안됐던 정정기사가 이후에는 연평균 159건으로 늘었다고 합니다.

또, 매년 연말, 한 개 면을 그해의 정정보도 특집으로 채웁니다.

<인터뷰> 중앙일보 이택희 심의실장 : "내부적으로는 기자들에게 보다 정확한 기사를 써서 더 신뢰 받는 신문을 만들도록 하자는 다짐을 새롭게 하고 독자들에게는 우리가 솔직하게 진지하게 반성하는 모습을 보여줌으로 해서 신뢰를 높이는 그런 기대가 있는 겁니다."

그렇다면 제대로 된 정정보도엔 어떤 요건이 필요할까?

미디어 인사이드가 올해 5개 주요 일간지에 실린 정정 보도 기사를 분석해봤습니다.

총 65건 가운데, 단순히 내용만 고친 경우가 61건이었습니다. 오보가 생긴 경위를 밝힌 경우는 2건, 사과까지 덧붙인 경우도 2건뿐이었습니다.

정정보도를 하더라도, 형식적인 경우가 많고, 제대로 사과나 피해보상이 이뤄지지 않는 것은 문젭니다.

<인터뷰> 윤여진(언론인권센터 사무처장) : "언론에 오보가 났을 경우 아마 주홍글씨를 받았다고 생각하실 거예요. 왜냐면 본인에 대한 잘못된 평판이 사람들한테 회자되는 거니까요. 그것을 회복하는 데는 본인이 일일이 다니면서 다 얘기할 수 없는 상황이잖아요."

전문가들은, 오보가 없을 수는 없겠지만, 오보에 대한 대처 방법이 언론의 신뢰도에 더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말합니다.

<인터뷰> 김영욱(이대 언론홍보영상학부교수) : "내가 무조건 잘못했다 아니면 이 기사 잘못됐다 이런 것보단 앞으로 이런 일이 안 일어날 거란 확신, 신뢰 이런 걸 줄 수 있는 문장들이 들어가야 될 것 같아요. 너무 이 기사는 그냥 이렇게 했으니까 잘못했습니다. 아니면 여기에 대해 사과드립니다 이런 것보단 우리가 이걸 고치기 위해서 앞으로 이렇게 시스템을 바꾸겠습니다..."

언론진흥재단이 지난해 천 5백여 명의 기자들을 조사한 결과 60%가 오보 원인으로 ‘사실의 미확인.불충분한 취재’를 꼽았고 이어 기자의 부주의 (18.5%)가 많았습니다.

언론사 간의 지나친 경쟁 ( 7.7%) 마감시간에 따른 압박감 (4.6%) 그리고 데스크의 과도한 지시(2.0%)등, 조직적이고 구조적인 문제점도 드러났습니다.

때문에, 오보문제는 기자 개인의 노력도 필요하지만 언론사 차원에서도 오보를 줄이고 적극적으로 대처할 필요가 있습니다.

<인터뷰> 최진봉(성공회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 "오보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은 첫째는 팩트를 체크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야 돼요. 외국같은 경우는 /팩트 체커제를 운영하고 있는데 외부의 전문가들을 영입해서 하나의 부서를 만들어서 어떤 기사가 통계적인 자료가 들어가거나 아니면 어떤 개인에 대한 옛날 역사적 사실에 대해 보도할 때는 조사를 해서 그게 맞는지 확인한 다음에 보도를 하는 시스템을 갖고 있거든요."

언론계에선 열 개의 특종보다 한 개의 오보를 경계하라는 말이 있습니다.

오보가 미칠 수 있는 영향이 그만큼 크기 때문일텐데요, 언론들이 오보에 대한 책임 또한 무겁게 느껴야 하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