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한반도] ‘손전화’ 확산…북 사회 변화 이끈다

입력 2014.08.30 (07:49) 수정 2014.08.30 (08:2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리포트>

현대인의 필수품, 휴대전화.

휴대전화 없는 하루는 상상하기 힘들 만큼 우리는 손안의 작은 세상에 푹 빠져 있습니다.

은둔의 나라 북한 역시 다르지 않아 보입니다.

이른바 ‘손 전화’를 들고 거리를 오가며, 전화를 걸고 사진을 찍는 북한 주민들, 휴대전화의 급증이 북한 사회에 어떤 변화를 가져왔을까요?

북한의 유일한 국제공항인 평양 순안공항에 들어서면 관광객들이 가장 먼저 찾는 곳이 있습니다.

바로 북한 유일의 통신사 ‘고려링크’의 창굽니다.

판매 중인 심 카드를 휴대전화에 끼우면 세계 어느 나라와도 통화가 가능합니다.

평양에서 미국에 거는 1분 요금이 6.65달러로 약 7천 원 정돈데요.

중국이나 영국이 2달러인 데 비해 3배 이상 비싼 편입니다.

<녹취> 고려링크 직원 : “(가격이 얼마입니까?) SIM 카드 가격은 71달러(7만 2천 원)입니다. 잔액 42달러(4만 3천 원) 포함해서요.”

문자나 사진 전송도 안 되고 음성전화만 가능합니다.

북한 주민이나 남한과의 통화도 할 수 없습니다.

<녹취> 북한 전문 여행사 직원 : “(북한에서) 인터넷 사용은 불가능합니다. 우리 여행사는 인터넷 전화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지난해 외국인에게 휴대전화 인터넷 서비스를 허용했지만, 현재는 외국인 주재원이나 가이드 등 제한적인 인물에게만 허용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정보의 유출입은 철저히 차단하되, 외화를 벌어들이겠다는 북한 당국의 의지가 엿보입니다.

<인터뷰> 김석향(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 : “버스나 아주 단체로 그렇게 가는 관광객들한테 다 인터넷을 허용하면 통제도 불가능하거니와 정말 관리에 문제가 생기는 거죠. 어쩔 수 없이 사회적 압력이나 외부의 시선이나 이런 것 때문에 야간 자유화를 높이는 방향으로 조취를 취했다가 안 되겠다, 그렇게 깜짝 놀라서 다시 이렇게 뒤로 한걸음 갔다가.”

외국인은 물론 북한 주민들까지 휴대전화를 사용하는 모습은 일상이 된 지 오랩니다.

주민들에게까지 휴대전화가 보급된 것은 지난 2008년, 북한 유일의 이동통신사 '고려링크'가 문을 연 이후부텁니다.

<녹취> 조선중앙TV (2008년) : "조선 체신회사와 이집트 '오라스콤 전기통신회사' 사이의 협력 관계가 더욱 강화되리라는 확신을 표명했습니다."

이집트 최대 기업인 오라스콤과 북한의 합작으로 만들어진 '고려링크'는 3G 이동통신 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보급 초기 대도시를 중심으로 특권층의 전유물로 여겨졌던 휴대전화는 젊은 층을 중심으로 빠른 속도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녹취> 양강도 주민(음성변조) : "(손전화(휴대전화) 그거 쓰는 사람들이 많니?) 간부고, (평범한) 사람이고 다 있습니다. 한 집에 두 대씩은 다 있습니다."

보급 초기 7만 명에 불과했던 휴대전화 가입자 수는 서비스 시작 6년째인 올해, 250만 명을 넘어선 것으로 추정됩니다. 주민 열 명 가운데 한 명은 휴대전화에 가입한 셈입니다.

북한에 유통되는 단말기 가격은 평균 150달러, 최신형 스마트폰은 400달러에 이른다고 전해집니다.

분기 당 북한 돈 2천 800원 정도를 내면 800분 정도의 통화량이 주어지는데요.

통화량을 초과했을 땐 이른바 '손전화 봉사소'에서 충전식의 예약카드를 산다고 합니다.

<녹취> 함경북도 주민(음성변조) : "분기에 (북한 돈) 2,850원이 있으면 800분이 들어온단 말이야. 근데 결국에 돈이 모자란단 말이야. 모자라면 (손전화)봉사소에다가 또 (중국 돈) 70(위안) 돈 내면 거기도 한 200분 이렇게 들어온단 말이야."

북한 주민의 평균 월급은 4천 원, 부담스러운 비용에도 불구하고 휴대전화는 빠른 속도로 늘고 있습니다.

특히 상인들에게 휴대전화는 필수품이라고 합니다.

<녹취> 양강도 주민(음성변조) : “(휴대)전화 있으면 돈 벌 일이 많습니다. 주고 받고 하는 것도 다 손전화로 해야 됩니다. 오토바이랑 삼발이랑 다 전화 있어야 오라고 하니까…….”

상인들의 손에 휴대전화가 쥐어지면서 시장경제의 모습이 변했습니다.

발품을 팔지 않아도 휴대전화를 통해 쌀이나 생필품 등의 가격을 지역 별로 비교할 수 있게 됐고, 이런 과정을 통해 물가가 안정적으로 바뀐 것입니다.

일반 주민들도 물건을 더 싸게 살 수 있다는 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되면서 생활 전반에 도움을 받게 됐습니다.

시세차익을 노린 이른바 '달리기 장사'가 사라지고, 새로운 직업군까지 생겼습니다.

<인터뷰> 김석향(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 : "장사를 하는 사람들은 앉아서 장사를 하고, 그 아래에 파생돼서 직업이 생깁니다. 배달해 주는 사람이 생기고요, 도어 투 도어 배달 서비스가 생기고, 또 물건을 포장해서 보관만 해주는 사람이 생기고 그러니까 이 직업의 분화 현상이 아주 자연스럽게 일어나서 지금은 이제 북한 경제가 북한 당국이 마음먹고 이걸 어떤 형태로 멈추게 하려고 해도 굉장히 복잡해졌어요."

지난 5월, 평양의 평천구역 아파트 붕괴 사고에서도 휴대전화를 통한 정보의 파급력을 볼 수 있습니다.

92세대가 입주한 23층 아파트가 붕괴되면서 사상자 수는 수 백 명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북한 매체는 사고 소식은 물론 당 간부와 건설 관계자의 사과 모습을 전했습니다.

<녹취> 조선중앙TV (지난 5월 17일) : "관계 부문 책임일꾼들이 피해자 유가족들과 평천 구역 주민들을 비롯한 수도 시민들을 만나 심심한 위로의 뜻을 표하고 사과했습니다."

사고가 난 평천구역은 상류층 인사들이 주로 거주하는 곳으로, 휴대전화 사용자 역시 많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일본 매체에 의하면 아파트 붕괴 직후 피해 주민들이 휴대전화를 통해 사고 소식을 외부에 전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정보 확산을 막을 수 없다고 인식한 북한 당국이 민심을 다독이기 위해 나섰다는 분석입니다.

휴대전화의 확산은 장마당은 물론 북한 사회 전반에 걸쳐 다양한 변화를 불러왔는데요, 휴대전화를 통한 정보의 유출입이 통제 범위를 넘어서면서, 북한 당국의 고민도 깊어졌습니다.

최근 북한 당국의 휴대전화 감시와 단속이 더욱 강화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북한 주민은 휴대전화 탐지기에 잡힐 수가 있어 짧은 통화만 가능하다고 강조합니다.

<녹취> 함경북도 주민(음성변조) : "집에서 잠깐잠깐 해야지, 그것도 (단속에) 걸리면 옛날에는 (벌금이) 3천 원이었는데 이제는 5천 원이라고. (벌금을) 올려버리고, 그 다음에 손전화 다 자수하라고 해서 압수당했기 때문에 (단속이) 대단하단 말이야. 잡히지 말아야지."

남한과의 통화를 '반국가범죄'로 여기고 처벌을 강화한다는 내용으로 형법이 개정됐다는 소식도 들려옵니다.

<인터뷰> 김성민(자유북한방송 대표) : "쉽게 말하면 남조선과의 연계를 과거에는 그냥 장사 이속이라든가 돈거래로 봤었는데 이제는 정치적으로 보겠다는 입장을 법적으로 밝힌 겁니다. 과거에는 재산적인 처벌이거나 가벼운 처벌이라고 볼 수 있죠, 6개월 정도 노동 교화나 단련대에 보냈었는데 이제는 3년 이하의 징역이라고 못을 박아놨어요."

북한 당국이 휴대전화 사용을 감시하고 통제하는 이유는 체제 유지 때문인 것으로 보입니다.

일반 주민에게까지 휴대전화가 확산되면서 북한 내 소식이 실시간으로 전해졌고, 북한의 실상이 낱낱이 드러나게 된 것입니다.

더욱이 주민들이 외부 소식을 쉽게 접할 수 있게 되면서 주민 동요는 물론 탈북으로까지 이어지는 경우가 적지 않은 것도 문젭니다.

<인터뷰> 김성민(자유북한방송 대표) : "단파라디오나 다른 여타의 방법도 있겠지만 그런 전화를 통해서 외부에서 흘리고 그런 이야기들을 북한 주민들이 내부에서 또 풀리고 이렇게 흐름이 어느 정도 이뤄졌기 때문에 내외부 소식이 상호 교환되기도 하고요. 그래서 북한 당국이 정치적으로 아주 예민하게 휴대폰을 가진 사람들을 단속하고 있고......"

지난해 8월, 김정은 제1위원장이 자체 생산 중인 스마트폰 제작 공장을 찾아 제품 개발과 생산을 독려했습니다.

<녹취> 조선중앙TV (지난해 8월) : "손전화기의 화면 접촉 성능을 요해하시고 이 부분이 예민해야 사용자들이 이용하는 데 편리하다고 하신 경애하는 원수님께서는……."

태블릿 PC로 알려진 이른바 '판형 컴퓨터'도 외국산 부품을 이용해 생산 중입니다.

폐쇄 국가 북한이 정보 확산을 우려하면서도 'IT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는 것은, 외화를 벌어들이기 위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인터뷰> 김석향(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 : "체제의 안전성 측면에서 보면 휴대전화는 양날의 칼 같아요. 그러니까 일단 북한 당국이 휴대전화가 늘어나는 걸 알면서 그걸 허용할 수밖에 없는 건 거기에서 들어오는 돈이 굉장히 매력적이거든요. 그러니까 위험한 걸 알지만 그냥 가는 거죠. 조금씩, 조금씩 그 위험한 것을 이렇게 땜질하면서 그냥 계속 가는 수밖에 없는 상탭니다."

비싼 요금과 북한 당국의 감시에도 불구하고 북한 내 휴대전화 확산은 당분간 계속될 것이라고 전문가는 분석합니다.

외화 수익과 체제 유지란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해서 북한 정권의 줄타기 역시 한동안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슈&한반도] ‘손전화’ 확산…북 사회 변화 이끈다
    • 입력 2014-08-30 08:03:03
    • 수정2014-08-30 08:26:20
    남북의 창
<리포트>

현대인의 필수품, 휴대전화.

휴대전화 없는 하루는 상상하기 힘들 만큼 우리는 손안의 작은 세상에 푹 빠져 있습니다.

은둔의 나라 북한 역시 다르지 않아 보입니다.

이른바 ‘손 전화’를 들고 거리를 오가며, 전화를 걸고 사진을 찍는 북한 주민들, 휴대전화의 급증이 북한 사회에 어떤 변화를 가져왔을까요?

북한의 유일한 국제공항인 평양 순안공항에 들어서면 관광객들이 가장 먼저 찾는 곳이 있습니다.

바로 북한 유일의 통신사 ‘고려링크’의 창굽니다.

판매 중인 심 카드를 휴대전화에 끼우면 세계 어느 나라와도 통화가 가능합니다.

평양에서 미국에 거는 1분 요금이 6.65달러로 약 7천 원 정돈데요.

중국이나 영국이 2달러인 데 비해 3배 이상 비싼 편입니다.

<녹취> 고려링크 직원 : “(가격이 얼마입니까?) SIM 카드 가격은 71달러(7만 2천 원)입니다. 잔액 42달러(4만 3천 원) 포함해서요.”

문자나 사진 전송도 안 되고 음성전화만 가능합니다.

북한 주민이나 남한과의 통화도 할 수 없습니다.

<녹취> 북한 전문 여행사 직원 : “(북한에서) 인터넷 사용은 불가능합니다. 우리 여행사는 인터넷 전화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지난해 외국인에게 휴대전화 인터넷 서비스를 허용했지만, 현재는 외국인 주재원이나 가이드 등 제한적인 인물에게만 허용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정보의 유출입은 철저히 차단하되, 외화를 벌어들이겠다는 북한 당국의 의지가 엿보입니다.

<인터뷰> 김석향(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 : “버스나 아주 단체로 그렇게 가는 관광객들한테 다 인터넷을 허용하면 통제도 불가능하거니와 정말 관리에 문제가 생기는 거죠. 어쩔 수 없이 사회적 압력이나 외부의 시선이나 이런 것 때문에 야간 자유화를 높이는 방향으로 조취를 취했다가 안 되겠다, 그렇게 깜짝 놀라서 다시 이렇게 뒤로 한걸음 갔다가.”

외국인은 물론 북한 주민들까지 휴대전화를 사용하는 모습은 일상이 된 지 오랩니다.

주민들에게까지 휴대전화가 보급된 것은 지난 2008년, 북한 유일의 이동통신사 '고려링크'가 문을 연 이후부텁니다.

<녹취> 조선중앙TV (2008년) : "조선 체신회사와 이집트 '오라스콤 전기통신회사' 사이의 협력 관계가 더욱 강화되리라는 확신을 표명했습니다."

이집트 최대 기업인 오라스콤과 북한의 합작으로 만들어진 '고려링크'는 3G 이동통신 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보급 초기 대도시를 중심으로 특권층의 전유물로 여겨졌던 휴대전화는 젊은 층을 중심으로 빠른 속도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녹취> 양강도 주민(음성변조) : "(손전화(휴대전화) 그거 쓰는 사람들이 많니?) 간부고, (평범한) 사람이고 다 있습니다. 한 집에 두 대씩은 다 있습니다."

보급 초기 7만 명에 불과했던 휴대전화 가입자 수는 서비스 시작 6년째인 올해, 250만 명을 넘어선 것으로 추정됩니다. 주민 열 명 가운데 한 명은 휴대전화에 가입한 셈입니다.

북한에 유통되는 단말기 가격은 평균 150달러, 최신형 스마트폰은 400달러에 이른다고 전해집니다.

분기 당 북한 돈 2천 800원 정도를 내면 800분 정도의 통화량이 주어지는데요.

통화량을 초과했을 땐 이른바 '손전화 봉사소'에서 충전식의 예약카드를 산다고 합니다.

<녹취> 함경북도 주민(음성변조) : "분기에 (북한 돈) 2,850원이 있으면 800분이 들어온단 말이야. 근데 결국에 돈이 모자란단 말이야. 모자라면 (손전화)봉사소에다가 또 (중국 돈) 70(위안) 돈 내면 거기도 한 200분 이렇게 들어온단 말이야."

북한 주민의 평균 월급은 4천 원, 부담스러운 비용에도 불구하고 휴대전화는 빠른 속도로 늘고 있습니다.

특히 상인들에게 휴대전화는 필수품이라고 합니다.

<녹취> 양강도 주민(음성변조) : “(휴대)전화 있으면 돈 벌 일이 많습니다. 주고 받고 하는 것도 다 손전화로 해야 됩니다. 오토바이랑 삼발이랑 다 전화 있어야 오라고 하니까…….”

상인들의 손에 휴대전화가 쥐어지면서 시장경제의 모습이 변했습니다.

발품을 팔지 않아도 휴대전화를 통해 쌀이나 생필품 등의 가격을 지역 별로 비교할 수 있게 됐고, 이런 과정을 통해 물가가 안정적으로 바뀐 것입니다.

일반 주민들도 물건을 더 싸게 살 수 있다는 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되면서 생활 전반에 도움을 받게 됐습니다.

시세차익을 노린 이른바 '달리기 장사'가 사라지고, 새로운 직업군까지 생겼습니다.

<인터뷰> 김석향(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 : "장사를 하는 사람들은 앉아서 장사를 하고, 그 아래에 파생돼서 직업이 생깁니다. 배달해 주는 사람이 생기고요, 도어 투 도어 배달 서비스가 생기고, 또 물건을 포장해서 보관만 해주는 사람이 생기고 그러니까 이 직업의 분화 현상이 아주 자연스럽게 일어나서 지금은 이제 북한 경제가 북한 당국이 마음먹고 이걸 어떤 형태로 멈추게 하려고 해도 굉장히 복잡해졌어요."

지난 5월, 평양의 평천구역 아파트 붕괴 사고에서도 휴대전화를 통한 정보의 파급력을 볼 수 있습니다.

92세대가 입주한 23층 아파트가 붕괴되면서 사상자 수는 수 백 명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북한 매체는 사고 소식은 물론 당 간부와 건설 관계자의 사과 모습을 전했습니다.

<녹취> 조선중앙TV (지난 5월 17일) : "관계 부문 책임일꾼들이 피해자 유가족들과 평천 구역 주민들을 비롯한 수도 시민들을 만나 심심한 위로의 뜻을 표하고 사과했습니다."

사고가 난 평천구역은 상류층 인사들이 주로 거주하는 곳으로, 휴대전화 사용자 역시 많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일본 매체에 의하면 아파트 붕괴 직후 피해 주민들이 휴대전화를 통해 사고 소식을 외부에 전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정보 확산을 막을 수 없다고 인식한 북한 당국이 민심을 다독이기 위해 나섰다는 분석입니다.

휴대전화의 확산은 장마당은 물론 북한 사회 전반에 걸쳐 다양한 변화를 불러왔는데요, 휴대전화를 통한 정보의 유출입이 통제 범위를 넘어서면서, 북한 당국의 고민도 깊어졌습니다.

최근 북한 당국의 휴대전화 감시와 단속이 더욱 강화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북한 주민은 휴대전화 탐지기에 잡힐 수가 있어 짧은 통화만 가능하다고 강조합니다.

<녹취> 함경북도 주민(음성변조) : "집에서 잠깐잠깐 해야지, 그것도 (단속에) 걸리면 옛날에는 (벌금이) 3천 원이었는데 이제는 5천 원이라고. (벌금을) 올려버리고, 그 다음에 손전화 다 자수하라고 해서 압수당했기 때문에 (단속이) 대단하단 말이야. 잡히지 말아야지."

남한과의 통화를 '반국가범죄'로 여기고 처벌을 강화한다는 내용으로 형법이 개정됐다는 소식도 들려옵니다.

<인터뷰> 김성민(자유북한방송 대표) : "쉽게 말하면 남조선과의 연계를 과거에는 그냥 장사 이속이라든가 돈거래로 봤었는데 이제는 정치적으로 보겠다는 입장을 법적으로 밝힌 겁니다. 과거에는 재산적인 처벌이거나 가벼운 처벌이라고 볼 수 있죠, 6개월 정도 노동 교화나 단련대에 보냈었는데 이제는 3년 이하의 징역이라고 못을 박아놨어요."

북한 당국이 휴대전화 사용을 감시하고 통제하는 이유는 체제 유지 때문인 것으로 보입니다.

일반 주민에게까지 휴대전화가 확산되면서 북한 내 소식이 실시간으로 전해졌고, 북한의 실상이 낱낱이 드러나게 된 것입니다.

더욱이 주민들이 외부 소식을 쉽게 접할 수 있게 되면서 주민 동요는 물론 탈북으로까지 이어지는 경우가 적지 않은 것도 문젭니다.

<인터뷰> 김성민(자유북한방송 대표) : "단파라디오나 다른 여타의 방법도 있겠지만 그런 전화를 통해서 외부에서 흘리고 그런 이야기들을 북한 주민들이 내부에서 또 풀리고 이렇게 흐름이 어느 정도 이뤄졌기 때문에 내외부 소식이 상호 교환되기도 하고요. 그래서 북한 당국이 정치적으로 아주 예민하게 휴대폰을 가진 사람들을 단속하고 있고......"

지난해 8월, 김정은 제1위원장이 자체 생산 중인 스마트폰 제작 공장을 찾아 제품 개발과 생산을 독려했습니다.

<녹취> 조선중앙TV (지난해 8월) : "손전화기의 화면 접촉 성능을 요해하시고 이 부분이 예민해야 사용자들이 이용하는 데 편리하다고 하신 경애하는 원수님께서는……."

태블릿 PC로 알려진 이른바 '판형 컴퓨터'도 외국산 부품을 이용해 생산 중입니다.

폐쇄 국가 북한이 정보 확산을 우려하면서도 'IT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는 것은, 외화를 벌어들이기 위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인터뷰> 김석향(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 : "체제의 안전성 측면에서 보면 휴대전화는 양날의 칼 같아요. 그러니까 일단 북한 당국이 휴대전화가 늘어나는 걸 알면서 그걸 허용할 수밖에 없는 건 거기에서 들어오는 돈이 굉장히 매력적이거든요. 그러니까 위험한 걸 알지만 그냥 가는 거죠. 조금씩, 조금씩 그 위험한 것을 이렇게 땜질하면서 그냥 계속 가는 수밖에 없는 상탭니다."

비싼 요금과 북한 당국의 감시에도 불구하고 북한 내 휴대전화 확산은 당분간 계속될 것이라고 전문가는 분석합니다.

외화 수익과 체제 유지란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해서 북한 정권의 줄타기 역시 한동안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