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의 시간대-이륙 후 5분, 착륙 전 8분
입력 2002.04.15 (21: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항공 사고는 대부분 이륙 후 5분, 착륙 전 8분 이내에서 일어난다고 합니다.
오늘 사고도 예외가 아니었습니다.
곽희섭 기자입니다.
⊙기자: 오늘 사고는 착륙을 불과 1분여 앞두고 일어났습니다.
이륙 후 5분, 착륙 전 8분인 이른바 마의 13분대입니다.
이륙할 때는 항공기가 최대 힘을 내야 하기 때문에 이륙 후 5분 이내에는 운항을 중단하기 어렵습니다.
또 착륙하기 8분 전에는 비행능력 이하로 출력을 줄이기 때문에 위기상황에서 기수를 갑자기 위로 올리는 데는 한계가 있습니다.
이 때문에 항공기 사고의 대부분이 이 마의 13분대에 일어나고 있습니다.
지난 93년 아시아나항공의 목포공항 추락사고나 또 97년 대한항공의 괌추락사고도 기상악화 상태에서 착륙을 불과 몇 분 남겨두지 않고 일어났습니다.
사고 원인으로는 갑작스런 기상변화와 공항시설 미비, 조종사의 과실이 주를 이룹니다.
비행기가 착륙할 때 국지적 돌풍을 맞으면 비행기가 양력을 잃고 급강하하게 됩니다.
또 산으로 둘러싸여 시야가 충분히 확보되지 않은 공항에서 강한 비바람은 시계를 저해하고 안정적인 운항을 어렵게 합니다.
특히 착륙할 때 전파로 비행기를 유도하는 계기착륙장치 등 이착륙 유도장치가 갖춰져 있지 않으면 자칫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이 마의 13분대에 비행기 사고의 80% 이상이 일어나고 있으며 오늘 사고도 그 중 하나였습니다.
KBS뉴스 곽희섭입니다.
오늘 사고도 예외가 아니었습니다.
곽희섭 기자입니다.
⊙기자: 오늘 사고는 착륙을 불과 1분여 앞두고 일어났습니다.
이륙 후 5분, 착륙 전 8분인 이른바 마의 13분대입니다.
이륙할 때는 항공기가 최대 힘을 내야 하기 때문에 이륙 후 5분 이내에는 운항을 중단하기 어렵습니다.
또 착륙하기 8분 전에는 비행능력 이하로 출력을 줄이기 때문에 위기상황에서 기수를 갑자기 위로 올리는 데는 한계가 있습니다.
이 때문에 항공기 사고의 대부분이 이 마의 13분대에 일어나고 있습니다.
지난 93년 아시아나항공의 목포공항 추락사고나 또 97년 대한항공의 괌추락사고도 기상악화 상태에서 착륙을 불과 몇 분 남겨두지 않고 일어났습니다.
사고 원인으로는 갑작스런 기상변화와 공항시설 미비, 조종사의 과실이 주를 이룹니다.
비행기가 착륙할 때 국지적 돌풍을 맞으면 비행기가 양력을 잃고 급강하하게 됩니다.
또 산으로 둘러싸여 시야가 충분히 확보되지 않은 공항에서 강한 비바람은 시계를 저해하고 안정적인 운항을 어렵게 합니다.
특히 착륙할 때 전파로 비행기를 유도하는 계기착륙장치 등 이착륙 유도장치가 갖춰져 있지 않으면 자칫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이 마의 13분대에 비행기 사고의 80% 이상이 일어나고 있으며 오늘 사고도 그 중 하나였습니다.
KBS뉴스 곽희섭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마의 시간대-이륙 후 5분, 착륙 전 8분
-
- 입력 2002-04-15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항공 사고는 대부분 이륙 후 5분, 착륙 전 8분 이내에서 일어난다고 합니다.
오늘 사고도 예외가 아니었습니다.
곽희섭 기자입니다.
⊙기자: 오늘 사고는 착륙을 불과 1분여 앞두고 일어났습니다.
이륙 후 5분, 착륙 전 8분인 이른바 마의 13분대입니다.
이륙할 때는 항공기가 최대 힘을 내야 하기 때문에 이륙 후 5분 이내에는 운항을 중단하기 어렵습니다.
또 착륙하기 8분 전에는 비행능력 이하로 출력을 줄이기 때문에 위기상황에서 기수를 갑자기 위로 올리는 데는 한계가 있습니다.
이 때문에 항공기 사고의 대부분이 이 마의 13분대에 일어나고 있습니다.
지난 93년 아시아나항공의 목포공항 추락사고나 또 97년 대한항공의 괌추락사고도 기상악화 상태에서 착륙을 불과 몇 분 남겨두지 않고 일어났습니다.
사고 원인으로는 갑작스런 기상변화와 공항시설 미비, 조종사의 과실이 주를 이룹니다.
비행기가 착륙할 때 국지적 돌풍을 맞으면 비행기가 양력을 잃고 급강하하게 됩니다.
또 산으로 둘러싸여 시야가 충분히 확보되지 않은 공항에서 강한 비바람은 시계를 저해하고 안정적인 운항을 어렵게 합니다.
특히 착륙할 때 전파로 비행기를 유도하는 계기착륙장치 등 이착륙 유도장치가 갖춰져 있지 않으면 자칫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이 마의 13분대에 비행기 사고의 80% 이상이 일어나고 있으며 오늘 사고도 그 중 하나였습니다.
KBS뉴스 곽희섭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