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호 위반 ‘밥 먹듯’ 시내버스…대형사고 불렀다
입력 2015.09.24 (15:33)
수정 2015.09.24 (16:0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jpg)
지난 23일 서울 강서구에서 시내버스 2대가 충돌해 승객 2명이 숨지고 40여명이 다쳤다. 경찰은 신호를 무시하고 직진하던 버스가 다른 버스를 들이받은 것으로 보고 있다.
사고현장에 있었던 60대 김 모 씨는 "펑 하는 소리가 나서 가보니 버스 2대가 크게 부서져 있더라"며 "사람이 죽었겠다 했는데 젊은 처자들이 그렇게 됐다 해서 안타까웠다"고 전했다.
☞ [관련기사] 퇴근길 시내버스 2대 충돌…승객 2명 사망·40여 명 부상
숨진 승객은 19세 여성과 26세 여성이었다. 한순간의 신호위반으로 꽃다운 나이의 여성 2명이 목숨을 잃었다.
신호를 무시한 버스로 인해 목숨을 잃은 건 이들만이 아니다.
교통안전공단에 따르면 지난 2010년 이후 지난해까지 5년 동안 시내버스가 일으킨 사고로 585명이 숨졌다. 이 중 99명(16.9%)은 버스의 신호위반이 사고 원인이었다.
30대 직장인 강모씨는 올 초 일을 생각하면 지금도 가슴이 철렁하다. 사거리에서 직진 신호를 보고 주행했는데, 반대편에서 신호를 무시하고 좌회전하던 버스와 부딪힐 뻔한 것.
강씨가 급하게 버스를 피한 뒤 놀란 가슴을 진정시키는 사이 버스는 사라지고 없었다. 강씨는 "당시는 너무 놀라 버스 번호 확인도 못 했는데, 지나고 생각하니 너무 화가 나더라"고 말했다.
50대 박 모 씨는 지난달 횡단보도를 건너다 버스에 치일 뻔한 경우다. 박씨는 "분명 파란 불이었는데 버스가 경적을 울리며 그냥 직진하더라"며 "하마터면 크게 다칠 뻔했다"고 분개했다.
버스의 안전불감은 현재 열리고 있는 국정감사에서도 언급됐다.
.jpg)
☞ [관련기사] 시내버스 승하차 사고 잇따라…왜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김상희 의원은 "시내버스는 한 번 사고가 발생하면 큰 인명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데도, 법으로 정해 놓은 규정조차 버스가 지키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버스가 신호위반을 하는 이유로는 우선 열악한 근무환경이 꼽힌다. 긴 운행시간과 짧은 배차간격에 지친 버스기사들이 신호위반의 유혹을 느낀다는 것이다. 이밖에 기사 개인별 운전 성향, 승용차보다 긴 버스 차체상 특성도 이유로 꼽힌다.
박원일 한국운수산업연구원 연구원은 "버스기사들의 근무여건을 개선할 수 있도록 버스준공영제(지방자치단체가 버스업체의 운송 적자를 보전)같은 제도를 더 많은 지역에서 실시해야 한다"며 "신호위반 같은 사고는 한 번 저지른 사람이 두 번 세 번 반복하는 경향이 있으니 재발방지를 위한 교육도 신경 쓸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신호 위반 ‘밥 먹듯’ 시내버스…대형사고 불렀다
-
- 입력 2015-09-24 15:33:49
- 수정2015-09-24 16:02:23

.jpg)
지난 23일 서울 강서구에서 시내버스 2대가 충돌해 승객 2명이 숨지고 40여명이 다쳤다. 경찰은 신호를 무시하고 직진하던 버스가 다른 버스를 들이받은 것으로 보고 있다.
사고현장에 있었던 60대 김 모 씨는 "펑 하는 소리가 나서 가보니 버스 2대가 크게 부서져 있더라"며 "사람이 죽었겠다 했는데 젊은 처자들이 그렇게 됐다 해서 안타까웠다"고 전했다.
☞ [관련기사] 퇴근길 시내버스 2대 충돌…승객 2명 사망·40여 명 부상
숨진 승객은 19세 여성과 26세 여성이었다. 한순간의 신호위반으로 꽃다운 나이의 여성 2명이 목숨을 잃었다.
신호를 무시한 버스로 인해 목숨을 잃은 건 이들만이 아니다.
교통안전공단에 따르면 지난 2010년 이후 지난해까지 5년 동안 시내버스가 일으킨 사고로 585명이 숨졌다. 이 중 99명(16.9%)은 버스의 신호위반이 사고 원인이었다.
30대 직장인 강모씨는 올 초 일을 생각하면 지금도 가슴이 철렁하다. 사거리에서 직진 신호를 보고 주행했는데, 반대편에서 신호를 무시하고 좌회전하던 버스와 부딪힐 뻔한 것.
강씨가 급하게 버스를 피한 뒤 놀란 가슴을 진정시키는 사이 버스는 사라지고 없었다. 강씨는 "당시는 너무 놀라 버스 번호 확인도 못 했는데, 지나고 생각하니 너무 화가 나더라"고 말했다.
50대 박 모 씨는 지난달 횡단보도를 건너다 버스에 치일 뻔한 경우다. 박씨는 "분명 파란 불이었는데 버스가 경적을 울리며 그냥 직진하더라"며 "하마터면 크게 다칠 뻔했다"고 분개했다.
버스의 안전불감은 현재 열리고 있는 국정감사에서도 언급됐다.
.jpg)
☞ [관련기사] 시내버스 승하차 사고 잇따라…왜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김상희 의원은 "시내버스는 한 번 사고가 발생하면 큰 인명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데도, 법으로 정해 놓은 규정조차 버스가 지키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버스가 신호위반을 하는 이유로는 우선 열악한 근무환경이 꼽힌다. 긴 운행시간과 짧은 배차간격에 지친 버스기사들이 신호위반의 유혹을 느낀다는 것이다. 이밖에 기사 개인별 운전 성향, 승용차보다 긴 버스 차체상 특성도 이유로 꼽힌다.
박원일 한국운수산업연구원 연구원은 "버스기사들의 근무여건을 개선할 수 있도록 버스준공영제(지방자치단체가 버스업체의 운송 적자를 보전)같은 제도를 더 많은 지역에서 실시해야 한다"며 "신호위반 같은 사고는 한 번 저지른 사람이 두 번 세 번 반복하는 경향이 있으니 재발방지를 위한 교육도 신경 쓸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
-
이승종 기자 argo@kbs.co.kr
이승종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