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검 국감 ‘김무성 사위’ ‘대통령 지시사항’ 쟁점
입력 2015.10.07 (06:13)
수정 2015.10.07 (07:3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어제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의 대검찰청 국정감사에서는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 사위의 마약 사건이 다시 논란이 됐습니다.
또, 법무부가 검찰에 보낸 '대통령 지시사항'이란 공문의 공개 여부를 놓고 국감이 한 시간 넘게 중단됐습니다.
장덕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야당 의원들은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 사위 이모씨의 마약 사건에 대한 '봐주기' 의혹을 거듭 제기했습니다.
검찰이 이씨와 김 대표 딸의 약혼 사실을 알고도 딸을 조사하지 않았다는 겁니다.
<녹취> 임내현(새정치민주연합 의원) : "당사자 진술을 통해 피의자 신원을 알게 됐는데 (김무성 대표 딸을) 왜 한 차례도 소환조사를 안했느냐"
여당 의원들은 검찰이 딸의 신분을 파악했다는 것은 확인되지 않은 주장이라고 반박했습니다.
<녹취> 김도읍(새누리당 의원) : "(검찰 수사 과정에서) 김무성 대표까지 이야기가 됐는지를 확인하고, 전화통화를 했다는 걸 확인해야지 단정하는 것은 안맞다"
김진태 검찰총장은 의혹을 부인했습니다.
<녹취> 김진태(검찰총장) : "수사 당시에는 몰랐다는 것은 확실한 것 같습니다. 그 점은 오해를 말아 주시고…"
법무부가 검찰에 12차례에 걸쳐 보냈다는 '대통령 지시사항'을 놓고도 논란이 일었습니다.
대통령이 사실상 검찰 수사를 직접 지휘한 증거라는 야당 주장과 통상적인 업무 지시라는 여당 주장이 맞서면서, 여러 차례 정회됐습니다.
<녹취> 이춘석(새정치민주연합 의원) : "저는 우리 법이 보장하는 검찰의 독립성을침해할 가능성이 많다고 생각한다"
<녹취> 이한성(새누리당 의원) : "어제 오늘 박근혜 대통령이 시행한 게 아니라 20년 이상이 된 것으로 파악됐다"
여야 의원들은 최근 재조명되고 있는 이태원 살인 사건에 대해선 당시 검찰의 부실한 수사를 한 목소리로 비판했습니다.
KBS 뉴스 장덕수입니다.
어제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의 대검찰청 국정감사에서는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 사위의 마약 사건이 다시 논란이 됐습니다.
또, 법무부가 검찰에 보낸 '대통령 지시사항'이란 공문의 공개 여부를 놓고 국감이 한 시간 넘게 중단됐습니다.
장덕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야당 의원들은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 사위 이모씨의 마약 사건에 대한 '봐주기' 의혹을 거듭 제기했습니다.
검찰이 이씨와 김 대표 딸의 약혼 사실을 알고도 딸을 조사하지 않았다는 겁니다.
<녹취> 임내현(새정치민주연합 의원) : "당사자 진술을 통해 피의자 신원을 알게 됐는데 (김무성 대표 딸을) 왜 한 차례도 소환조사를 안했느냐"
여당 의원들은 검찰이 딸의 신분을 파악했다는 것은 확인되지 않은 주장이라고 반박했습니다.
<녹취> 김도읍(새누리당 의원) : "(검찰 수사 과정에서) 김무성 대표까지 이야기가 됐는지를 확인하고, 전화통화를 했다는 걸 확인해야지 단정하는 것은 안맞다"
김진태 검찰총장은 의혹을 부인했습니다.
<녹취> 김진태(검찰총장) : "수사 당시에는 몰랐다는 것은 확실한 것 같습니다. 그 점은 오해를 말아 주시고…"
법무부가 검찰에 12차례에 걸쳐 보냈다는 '대통령 지시사항'을 놓고도 논란이 일었습니다.
대통령이 사실상 검찰 수사를 직접 지휘한 증거라는 야당 주장과 통상적인 업무 지시라는 여당 주장이 맞서면서, 여러 차례 정회됐습니다.
<녹취> 이춘석(새정치민주연합 의원) : "저는 우리 법이 보장하는 검찰의 독립성을침해할 가능성이 많다고 생각한다"
<녹취> 이한성(새누리당 의원) : "어제 오늘 박근혜 대통령이 시행한 게 아니라 20년 이상이 된 것으로 파악됐다"
여야 의원들은 최근 재조명되고 있는 이태원 살인 사건에 대해선 당시 검찰의 부실한 수사를 한 목소리로 비판했습니다.
KBS 뉴스 장덕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대검 국감 ‘김무성 사위’ ‘대통령 지시사항’ 쟁점
-
- 입력 2015-10-07 06:15:51
- 수정2015-10-07 07:36:32

<앵커 멘트>
어제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의 대검찰청 국정감사에서는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 사위의 마약 사건이 다시 논란이 됐습니다.
또, 법무부가 검찰에 보낸 '대통령 지시사항'이란 공문의 공개 여부를 놓고 국감이 한 시간 넘게 중단됐습니다.
장덕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야당 의원들은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 사위 이모씨의 마약 사건에 대한 '봐주기' 의혹을 거듭 제기했습니다.
검찰이 이씨와 김 대표 딸의 약혼 사실을 알고도 딸을 조사하지 않았다는 겁니다.
<녹취> 임내현(새정치민주연합 의원) : "당사자 진술을 통해 피의자 신원을 알게 됐는데 (김무성 대표 딸을) 왜 한 차례도 소환조사를 안했느냐"
여당 의원들은 검찰이 딸의 신분을 파악했다는 것은 확인되지 않은 주장이라고 반박했습니다.
<녹취> 김도읍(새누리당 의원) : "(검찰 수사 과정에서) 김무성 대표까지 이야기가 됐는지를 확인하고, 전화통화를 했다는 걸 확인해야지 단정하는 것은 안맞다"
김진태 검찰총장은 의혹을 부인했습니다.
<녹취> 김진태(검찰총장) : "수사 당시에는 몰랐다는 것은 확실한 것 같습니다. 그 점은 오해를 말아 주시고…"
법무부가 검찰에 12차례에 걸쳐 보냈다는 '대통령 지시사항'을 놓고도 논란이 일었습니다.
대통령이 사실상 검찰 수사를 직접 지휘한 증거라는 야당 주장과 통상적인 업무 지시라는 여당 주장이 맞서면서, 여러 차례 정회됐습니다.
<녹취> 이춘석(새정치민주연합 의원) : "저는 우리 법이 보장하는 검찰의 독립성을침해할 가능성이 많다고 생각한다"
<녹취> 이한성(새누리당 의원) : "어제 오늘 박근혜 대통령이 시행한 게 아니라 20년 이상이 된 것으로 파악됐다"
여야 의원들은 최근 재조명되고 있는 이태원 살인 사건에 대해선 당시 검찰의 부실한 수사를 한 목소리로 비판했습니다.
KBS 뉴스 장덕수입니다.
어제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의 대검찰청 국정감사에서는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 사위의 마약 사건이 다시 논란이 됐습니다.
또, 법무부가 검찰에 보낸 '대통령 지시사항'이란 공문의 공개 여부를 놓고 국감이 한 시간 넘게 중단됐습니다.
장덕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야당 의원들은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 사위 이모씨의 마약 사건에 대한 '봐주기' 의혹을 거듭 제기했습니다.
검찰이 이씨와 김 대표 딸의 약혼 사실을 알고도 딸을 조사하지 않았다는 겁니다.
<녹취> 임내현(새정치민주연합 의원) : "당사자 진술을 통해 피의자 신원을 알게 됐는데 (김무성 대표 딸을) 왜 한 차례도 소환조사를 안했느냐"
여당 의원들은 검찰이 딸의 신분을 파악했다는 것은 확인되지 않은 주장이라고 반박했습니다.
<녹취> 김도읍(새누리당 의원) : "(검찰 수사 과정에서) 김무성 대표까지 이야기가 됐는지를 확인하고, 전화통화를 했다는 걸 확인해야지 단정하는 것은 안맞다"
김진태 검찰총장은 의혹을 부인했습니다.
<녹취> 김진태(검찰총장) : "수사 당시에는 몰랐다는 것은 확실한 것 같습니다. 그 점은 오해를 말아 주시고…"
법무부가 검찰에 12차례에 걸쳐 보냈다는 '대통령 지시사항'을 놓고도 논란이 일었습니다.
대통령이 사실상 검찰 수사를 직접 지휘한 증거라는 야당 주장과 통상적인 업무 지시라는 여당 주장이 맞서면서, 여러 차례 정회됐습니다.
<녹취> 이춘석(새정치민주연합 의원) : "저는 우리 법이 보장하는 검찰의 독립성을침해할 가능성이 많다고 생각한다"
<녹취> 이한성(새누리당 의원) : "어제 오늘 박근혜 대통령이 시행한 게 아니라 20년 이상이 된 것으로 파악됐다"
여야 의원들은 최근 재조명되고 있는 이태원 살인 사건에 대해선 당시 검찰의 부실한 수사를 한 목소리로 비판했습니다.
KBS 뉴스 장덕수입니다.
-
-
장덕수 기자 joannes@kbs.co.kr
장덕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