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터치] 청년실업률 올 들어 최저…서비스업이 효자!

입력 2015.10.14 (21:20) 수정 2015.10.14 (22:0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한 때 주춤했던 고용지표가 회복세입니다.

8월에 30만 명 대 아래로 주저 앉았던 취업자 수가 지난달엔 30만 명 대 중반 수준으로 확대됐습니다.

눈에 띄는 건 청년 일자리인데, 1년 전보다 9만 개 넘게 늘었습니다.

어디서 늘었나 봤더니 외식업과 여가, 스포츠 분야 등 주로 서비스업종이었는데요,

최근 살아나기 시작한 소비의 영향을 받았다는 분석입니다.

또 늘어난 청년 일자리 거의 대부분이 근로기간 1년 이상이어서 고용의 질도 상대적으로 괜찮다는 게 정부 판단입니다.

이에 따라 청년 고용률이 1년 전보다 1% 포인트 올랐고, 청년 실업률은 올 들어 가장 낮았습니다.

그런데 청년들이 가장 가고 싶어하는 금융업이나 공공기관 분야는 전체 취업자 수가 줄었습니다.

젊은 층의 눈높이에 맞는 일자리를 찾기 어려운 이유 중 하납니다.

뉴스터치였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뉴스터치] 청년실업률 올 들어 최저…서비스업이 효자!
    • 입력 2015-10-14 21:20:54
    • 수정2015-10-14 22:08:01
    뉴스 9
<앵커 멘트>

한 때 주춤했던 고용지표가 회복세입니다.

8월에 30만 명 대 아래로 주저 앉았던 취업자 수가 지난달엔 30만 명 대 중반 수준으로 확대됐습니다.

눈에 띄는 건 청년 일자리인데, 1년 전보다 9만 개 넘게 늘었습니다.

어디서 늘었나 봤더니 외식업과 여가, 스포츠 분야 등 주로 서비스업종이었는데요,

최근 살아나기 시작한 소비의 영향을 받았다는 분석입니다.

또 늘어난 청년 일자리 거의 대부분이 근로기간 1년 이상이어서 고용의 질도 상대적으로 괜찮다는 게 정부 판단입니다.

이에 따라 청년 고용률이 1년 전보다 1% 포인트 올랐고, 청년 실업률은 올 들어 가장 낮았습니다.

그런데 청년들이 가장 가고 싶어하는 금융업이나 공공기관 분야는 전체 취업자 수가 줄었습니다.

젊은 층의 눈높이에 맞는 일자리를 찾기 어려운 이유 중 하납니다.

뉴스터치였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