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 ‘다리 혈전’ 주의…자칫 목숨까지 위험
입력 2015.12.09 (21:39)
수정 2015.12.09 (22:0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활동량이 줄어드는 겨울철엔, 좁은 비행기 좌석에 앉아 있을 때 생긴다고 해서 이름 붙여진, '이코노미 클래스 증후군', 즉, '정맥 혈전 색전증'이 생기기 쉽습니다.
다리에 생긴 혈전은 폐동맥을 막아, 자칫 목숨까지 잃을 수 있습니다.
이충헌 의학전문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허리 디스크 때문에 2주간 누워 있었던 이 여성은 갑자기 왼쪽 종아리가 심하게 부어 올랐습니다.
다리 정맥에 혈전이 생겨 막히는 정맥혈전색전증, 이른바 '이코노미클래스증후군' 때문이었습니다. .
<인터뷰> 임인숙(정맥혈전색전증 환자) : "다리가 부으면서 걸을 수가 없었어요. 많이 아파서."
오랜 시간 앉거나 누워 있으면 다리 정맥에 혈액이 정체돼 굳어진 덩어리가 생길수 있습니다.
이 혈전이 혈관을 타고 올라가 폐동맥을 막을 수 있는데, 이땐 치사율이 15%나 될 정도로 치명적입니다.
이같은 정맥혈전색전증 환자가 지난 5년 새 34% 증가했습니다.
컴퓨터 작업 등으로 의자에 앉아 생활하는 사람이 늘었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하루 10시간 이상 앉아서 일을 하는 사람은 정맥혈전색전증 발생 위험이 세 배 가까이 높습니다.
특히, 활동이 줄어드는 겨울철에 더 많이 생깁니다.
<인터뷰> 김장용(서울성모병원 혈관외과) : 정맥은 심장과 같은 펌프가 없는 대신 종아리 근육으로 혈류를 유지합니다. 움직임이 적어지면 종아리의 수축이 적어져 혈류의 정체가 일어나 혈전이 생깁니다."
한 시간에 한 번은 자리에서 일어나 몸을 움직여 주는 것이 좋습니다.
평소 물을 충분히 마시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KBS 뉴스 이충헌입니다.
활동량이 줄어드는 겨울철엔, 좁은 비행기 좌석에 앉아 있을 때 생긴다고 해서 이름 붙여진, '이코노미 클래스 증후군', 즉, '정맥 혈전 색전증'이 생기기 쉽습니다.
다리에 생긴 혈전은 폐동맥을 막아, 자칫 목숨까지 잃을 수 있습니다.
이충헌 의학전문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허리 디스크 때문에 2주간 누워 있었던 이 여성은 갑자기 왼쪽 종아리가 심하게 부어 올랐습니다.
다리 정맥에 혈전이 생겨 막히는 정맥혈전색전증, 이른바 '이코노미클래스증후군' 때문이었습니다. .
<인터뷰> 임인숙(정맥혈전색전증 환자) : "다리가 부으면서 걸을 수가 없었어요. 많이 아파서."
오랜 시간 앉거나 누워 있으면 다리 정맥에 혈액이 정체돼 굳어진 덩어리가 생길수 있습니다.
이 혈전이 혈관을 타고 올라가 폐동맥을 막을 수 있는데, 이땐 치사율이 15%나 될 정도로 치명적입니다.
이같은 정맥혈전색전증 환자가 지난 5년 새 34% 증가했습니다.
컴퓨터 작업 등으로 의자에 앉아 생활하는 사람이 늘었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하루 10시간 이상 앉아서 일을 하는 사람은 정맥혈전색전증 발생 위험이 세 배 가까이 높습니다.
특히, 활동이 줄어드는 겨울철에 더 많이 생깁니다.
<인터뷰> 김장용(서울성모병원 혈관외과) : 정맥은 심장과 같은 펌프가 없는 대신 종아리 근육으로 혈류를 유지합니다. 움직임이 적어지면 종아리의 수축이 적어져 혈류의 정체가 일어나 혈전이 생깁니다."
한 시간에 한 번은 자리에서 일어나 몸을 움직여 주는 것이 좋습니다.
평소 물을 충분히 마시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KBS 뉴스 이충헌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겨울철 ‘다리 혈전’ 주의…자칫 목숨까지 위험
-
- 입력 2015-12-09 21:40:50
- 수정2015-12-09 22:08:40

<앵커 멘트>
활동량이 줄어드는 겨울철엔, 좁은 비행기 좌석에 앉아 있을 때 생긴다고 해서 이름 붙여진, '이코노미 클래스 증후군', 즉, '정맥 혈전 색전증'이 생기기 쉽습니다.
다리에 생긴 혈전은 폐동맥을 막아, 자칫 목숨까지 잃을 수 있습니다.
이충헌 의학전문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허리 디스크 때문에 2주간 누워 있었던 이 여성은 갑자기 왼쪽 종아리가 심하게 부어 올랐습니다.
다리 정맥에 혈전이 생겨 막히는 정맥혈전색전증, 이른바 '이코노미클래스증후군' 때문이었습니다. .
<인터뷰> 임인숙(정맥혈전색전증 환자) : "다리가 부으면서 걸을 수가 없었어요. 많이 아파서."
오랜 시간 앉거나 누워 있으면 다리 정맥에 혈액이 정체돼 굳어진 덩어리가 생길수 있습니다.
이 혈전이 혈관을 타고 올라가 폐동맥을 막을 수 있는데, 이땐 치사율이 15%나 될 정도로 치명적입니다.
이같은 정맥혈전색전증 환자가 지난 5년 새 34% 증가했습니다.
컴퓨터 작업 등으로 의자에 앉아 생활하는 사람이 늘었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하루 10시간 이상 앉아서 일을 하는 사람은 정맥혈전색전증 발생 위험이 세 배 가까이 높습니다.
특히, 활동이 줄어드는 겨울철에 더 많이 생깁니다.
<인터뷰> 김장용(서울성모병원 혈관외과) : 정맥은 심장과 같은 펌프가 없는 대신 종아리 근육으로 혈류를 유지합니다. 움직임이 적어지면 종아리의 수축이 적어져 혈류의 정체가 일어나 혈전이 생깁니다."
한 시간에 한 번은 자리에서 일어나 몸을 움직여 주는 것이 좋습니다.
평소 물을 충분히 마시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KBS 뉴스 이충헌입니다.
활동량이 줄어드는 겨울철엔, 좁은 비행기 좌석에 앉아 있을 때 생긴다고 해서 이름 붙여진, '이코노미 클래스 증후군', 즉, '정맥 혈전 색전증'이 생기기 쉽습니다.
다리에 생긴 혈전은 폐동맥을 막아, 자칫 목숨까지 잃을 수 있습니다.
이충헌 의학전문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허리 디스크 때문에 2주간 누워 있었던 이 여성은 갑자기 왼쪽 종아리가 심하게 부어 올랐습니다.
다리 정맥에 혈전이 생겨 막히는 정맥혈전색전증, 이른바 '이코노미클래스증후군' 때문이었습니다. .
<인터뷰> 임인숙(정맥혈전색전증 환자) : "다리가 부으면서 걸을 수가 없었어요. 많이 아파서."
오랜 시간 앉거나 누워 있으면 다리 정맥에 혈액이 정체돼 굳어진 덩어리가 생길수 있습니다.
이 혈전이 혈관을 타고 올라가 폐동맥을 막을 수 있는데, 이땐 치사율이 15%나 될 정도로 치명적입니다.
이같은 정맥혈전색전증 환자가 지난 5년 새 34% 증가했습니다.
컴퓨터 작업 등으로 의자에 앉아 생활하는 사람이 늘었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하루 10시간 이상 앉아서 일을 하는 사람은 정맥혈전색전증 발생 위험이 세 배 가까이 높습니다.
특히, 활동이 줄어드는 겨울철에 더 많이 생깁니다.
<인터뷰> 김장용(서울성모병원 혈관외과) : 정맥은 심장과 같은 펌프가 없는 대신 종아리 근육으로 혈류를 유지합니다. 움직임이 적어지면 종아리의 수축이 적어져 혈류의 정체가 일어나 혈전이 생깁니다."
한 시간에 한 번은 자리에서 일어나 몸을 움직여 주는 것이 좋습니다.
평소 물을 충분히 마시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KBS 뉴스 이충헌입니다.
-
-
이충헌 기자 chleemd@kbs.co.kr
이충헌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