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우울·빈곤·독거, 자살 성향 ↑…운동은 낮춰

입력 2015.12.29 (19:08) 수정 2015.12.29 (22:1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우리나라 자살률은 OECD 회원국 가운데 최고 수준인데요.

특히 노인은 더 심각해서 10만 명 당 110여 명꼴로 스스로 목숨을 끊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젊은 사람과 달리 첫 시도에 생명을 잃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인데요.

어떤 위험요인이 있는지, 박광식 의학전문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80대 독거 노인, 관절염 때문에 걷기가 힘들지만, 기초생활수급자라 치료비 마련도 쉽지 않습니다.

<인터뷰> 독거 노인(음성변조) : "나 우울증 걸리면, 이것도 저것도 하지 못하고 죽는가보다 이런 생각을 많이 했어요."

이렇게 노년기의 빈곤과 고독은 부정적인 생각으로 이어지기 쉽습니다.

분당서울대병원 연구팀이 국내에서 처음으로 노인 6백여 명을 3년간 심층 추적 관찰했습니다.

한 달간 자살 충동을 느낀 노인이 1,000명당 70명, 실제 자살 시도 경험이 있는 노인은 13명으로 나타났습니다.

우울증이 있을 때, 자살 성향이 3배 높았고, 경제적 빈곤은 자살 성향이 만성화될 위험을 2배 증가시켰습니다.

특히 혼자 사는 노인은 자살 시도 위험이 6.4배, 알코올 중독 노인은 6.7배 이상 높았습니다.

하지만, 적절히 운동하면 자살 성향이 3분의 1수준으로 감소했습니다.

운동이 뇌의 세로토닌 분비를 자극해 우울증이나 충동성을 억제하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김기웅(분당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 "노인운동을 활성화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게 자살 등 노인의 정신건강 문제를 해결하는 가장 비용 효과적인 방법이 될 것 같습니다."

노인 자살률을 떨어뜨리기 위해선 빈곤 노인에 대한 지원책과 함께 독거 노인에 대한 사회관계망 형성 등 적극적 관리가 필요합니다.

KBS 뉴스 박광식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노인 우울·빈곤·독거, 자살 성향 ↑…운동은 낮춰
    • 입력 2015-12-29 19:09:18
    • 수정2015-12-29 22:18:29
    뉴스 7
<앵커 멘트>

우리나라 자살률은 OECD 회원국 가운데 최고 수준인데요.

특히 노인은 더 심각해서 10만 명 당 110여 명꼴로 스스로 목숨을 끊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젊은 사람과 달리 첫 시도에 생명을 잃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인데요.

어떤 위험요인이 있는지, 박광식 의학전문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80대 독거 노인, 관절염 때문에 걷기가 힘들지만, 기초생활수급자라 치료비 마련도 쉽지 않습니다.

<인터뷰> 독거 노인(음성변조) : "나 우울증 걸리면, 이것도 저것도 하지 못하고 죽는가보다 이런 생각을 많이 했어요."

이렇게 노년기의 빈곤과 고독은 부정적인 생각으로 이어지기 쉽습니다.

분당서울대병원 연구팀이 국내에서 처음으로 노인 6백여 명을 3년간 심층 추적 관찰했습니다.

한 달간 자살 충동을 느낀 노인이 1,000명당 70명, 실제 자살 시도 경험이 있는 노인은 13명으로 나타났습니다.

우울증이 있을 때, 자살 성향이 3배 높았고, 경제적 빈곤은 자살 성향이 만성화될 위험을 2배 증가시켰습니다.

특히 혼자 사는 노인은 자살 시도 위험이 6.4배, 알코올 중독 노인은 6.7배 이상 높았습니다.

하지만, 적절히 운동하면 자살 성향이 3분의 1수준으로 감소했습니다.

운동이 뇌의 세로토닌 분비를 자극해 우울증이나 충동성을 억제하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김기웅(분당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 "노인운동을 활성화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게 자살 등 노인의 정신건강 문제를 해결하는 가장 비용 효과적인 방법이 될 것 같습니다."

노인 자살률을 떨어뜨리기 위해선 빈곤 노인에 대한 지원책과 함께 독거 노인에 대한 사회관계망 형성 등 적극적 관리가 필요합니다.

KBS 뉴스 박광식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