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해설] ‘소비 절벽’ 막을 길 없나?

입력 2016.02.29 (07:35) 수정 2016.02.29 (08:2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윤제춘 해설위원]

한국 경제의 두 버팀목, 수출과 내수죠. 아시다시피 수출은 1년 넘게 내리막입니다. 수출이 약하면 내수라도 받쳐줘야 하는데, 소비의 주체인 가계가 그럴 형편이 못됩니다. 수출 절벽에다 소비 절벽까지 겹치는 모양샙니다.

지난해에는 평균소비성향이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소득에서 세금이나 이자 등을 빼고 쓸 수 있는 돈 가운데 얼마를 소비했는지 보여주는 수칩니다. 5년 연속 하락셉니다. 소비는 자제하고 저축을 늘린 겁니다. 정부가 블랙 프라이데이 행사 등으로 소비를 띄우려 했지만 반짝 효과에 그쳤습니다.
그럼 앞으로는 어떨까요? 한국은행이 매달 소비자심리지수를 발표하는데요. 이게 100보다 낮으면 소비자들이 경제를 비관적으로 본다는 얘깁니다. 그런데 2월 소비자심리지수가 메르스 사태 당시 수준으로 떨어졌습니다. 6개월 후를 바라보는 향후 경기 전망 지수도 2009년 금융위기 이후 가장 낮았습니다. 소비가 살아나기 어렵게 생겼다는 얘깁니다.
소비의 가장 큰 걸림돌은 빚입니다. 가계 빚은 1200조를 넘어섰습니다. 저임금 비정규직도 계속 늘고 있습니다.
OECD 자료를 보면 한국의 시간당 임금은 독일의 절반도 안 됩니다. 실제로 지난해 가계소득 증가율은 6년 만에 가장 낮았습니다. 소비 여력이 약해질 수밖에 없습니다. 반면 기업이 쌓아둔 돈은 지난해 사상 최대로 증가해 590조 원을 넘었습니다. 한국은 국민 총소득에서 가계로 가는 몫이 다른 선진국보다 상당히 적다는 통계도 있습니다.

단기적인 부양책으로 소비를 늘리는 데는 한계가 확인됐습니다. 경기 부진이 소득 감소, 소비 위축, 다시 경기 둔화로 이어지는 악순환의 고리를 끊어야 합니다. 과도한 빚과 전월세 난에 짓눌린 가계의 부담을 줄이는 쪽으로 정책 전환을 기대하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뉴스해설이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뉴스해설] ‘소비 절벽’ 막을 길 없나?
    • 입력 2016-02-29 07:38:25
    • 수정2016-02-29 08:28:49
    뉴스광장
[윤제춘 해설위원]

한국 경제의 두 버팀목, 수출과 내수죠. 아시다시피 수출은 1년 넘게 내리막입니다. 수출이 약하면 내수라도 받쳐줘야 하는데, 소비의 주체인 가계가 그럴 형편이 못됩니다. 수출 절벽에다 소비 절벽까지 겹치는 모양샙니다.

지난해에는 평균소비성향이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소득에서 세금이나 이자 등을 빼고 쓸 수 있는 돈 가운데 얼마를 소비했는지 보여주는 수칩니다. 5년 연속 하락셉니다. 소비는 자제하고 저축을 늘린 겁니다. 정부가 블랙 프라이데이 행사 등으로 소비를 띄우려 했지만 반짝 효과에 그쳤습니다.
그럼 앞으로는 어떨까요? 한국은행이 매달 소비자심리지수를 발표하는데요. 이게 100보다 낮으면 소비자들이 경제를 비관적으로 본다는 얘깁니다. 그런데 2월 소비자심리지수가 메르스 사태 당시 수준으로 떨어졌습니다. 6개월 후를 바라보는 향후 경기 전망 지수도 2009년 금융위기 이후 가장 낮았습니다. 소비가 살아나기 어렵게 생겼다는 얘깁니다.
소비의 가장 큰 걸림돌은 빚입니다. 가계 빚은 1200조를 넘어섰습니다. 저임금 비정규직도 계속 늘고 있습니다.
OECD 자료를 보면 한국의 시간당 임금은 독일의 절반도 안 됩니다. 실제로 지난해 가계소득 증가율은 6년 만에 가장 낮았습니다. 소비 여력이 약해질 수밖에 없습니다. 반면 기업이 쌓아둔 돈은 지난해 사상 최대로 증가해 590조 원을 넘었습니다. 한국은 국민 총소득에서 가계로 가는 몫이 다른 선진국보다 상당히 적다는 통계도 있습니다.

단기적인 부양책으로 소비를 늘리는 데는 한계가 확인됐습니다. 경기 부진이 소득 감소, 소비 위축, 다시 경기 둔화로 이어지는 악순환의 고리를 끊어야 합니다. 과도한 빚과 전월세 난에 짓눌린 가계의 부담을 줄이는 쪽으로 정책 전환을 기대하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뉴스해설이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