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북한 핵실험 이후 대북 제재에 동참한 것은 북한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어긴 데 따라 원칙을 적용한 것이라고 주한 중국대사가 말했다.
추궈홍(邱國洪) 주한 중국대사는 오늘(16일) 고려대 경영대학 주최로 고려대 LG포스코경영관에서 열린 초청 특별강연에서 "북한은 국제사회의 강력한 반대에도 유엔 안보리 결의안을 공공연히 위반하며 핵실험했다"고 지적하면서 이같이 말했다. 추 대사는 이어 중국 정부는 북한 핵실험에 단호히 반대했으며, 결의안을 위반한 이상 북한도 자신의 행동에 대가를 치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런 이유로 새로운 안보리 결의안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중국이 책임 있는 자세를 취한 것"이라며 "중국은 새 결의안을 엄격하고 진지하게 유지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추 대사는 그러나 중국이 보기에 북한에 대한 제재가 목적이 아니라 수단이라고 언급하면서 북한 핵 문제는 협상과 대화를 통해 근본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진단했다. 추 대사는 또 "중국은 원칙을 강조하는 나라로, 외부적 압력과 영향 때문에 정책을 바꾸지 않는다"며 미국의 압박 때문에 대북제재에 동참했다는 일부 시각을 부인했다.
한반도 통일에 있어 중국의 입장이 무엇이냐는 질문에는 "남북 양측이 화해 협력을 통해 자주적 평화 통일을 실현하고자 하는 염원을 이해하고 이를 지지한다"며 기존 입장을 되풀이했다.
추 대사는 한중관계는 수교 이후 가장 좋은 시기에 접어들었다고 평가하면서 그 이유로 정치적 상호 신뢰 수준이 가장 높고, 경제무역 협력도 수교 후 최고 수준인데다, 중국 관광객의 한국 방문이 느는 등 인적 교류도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는 점을 들었다.
한국은 중국의 교역국 중 교역 규모가 미국(5천억 달러), 일본(3천억 달러)에 이어 2천900억 달러로 세 번째에 해당하지만 협력의 질이 높고 자유무역협정(FTA)의 영향으로 곧 '제2의 교역 파트너'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추 대사는 내다봤다.
추궈홍(邱國洪) 주한 중국대사는 오늘(16일) 고려대 경영대학 주최로 고려대 LG포스코경영관에서 열린 초청 특별강연에서 "북한은 국제사회의 강력한 반대에도 유엔 안보리 결의안을 공공연히 위반하며 핵실험했다"고 지적하면서 이같이 말했다. 추 대사는 이어 중국 정부는 북한 핵실험에 단호히 반대했으며, 결의안을 위반한 이상 북한도 자신의 행동에 대가를 치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런 이유로 새로운 안보리 결의안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중국이 책임 있는 자세를 취한 것"이라며 "중국은 새 결의안을 엄격하고 진지하게 유지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추 대사는 그러나 중국이 보기에 북한에 대한 제재가 목적이 아니라 수단이라고 언급하면서 북한 핵 문제는 협상과 대화를 통해 근본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진단했다. 추 대사는 또 "중국은 원칙을 강조하는 나라로, 외부적 압력과 영향 때문에 정책을 바꾸지 않는다"며 미국의 압박 때문에 대북제재에 동참했다는 일부 시각을 부인했다.
한반도 통일에 있어 중국의 입장이 무엇이냐는 질문에는 "남북 양측이 화해 협력을 통해 자주적 평화 통일을 실현하고자 하는 염원을 이해하고 이를 지지한다"며 기존 입장을 되풀이했다.
추 대사는 한중관계는 수교 이후 가장 좋은 시기에 접어들었다고 평가하면서 그 이유로 정치적 상호 신뢰 수준이 가장 높고, 경제무역 협력도 수교 후 최고 수준인데다, 중국 관광객의 한국 방문이 느는 등 인적 교류도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는 점을 들었다.
한국은 중국의 교역국 중 교역 규모가 미국(5천억 달러), 일본(3천억 달러)에 이어 2천900억 달러로 세 번째에 해당하지만 협력의 질이 높고 자유무역협정(FTA)의 영향으로 곧 '제2의 교역 파트너'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추 대사는 내다봤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주한 중국대사 “중국, 안보리 대북제재안 엄격 유지”
-
- 입력 2016-03-16 17:24:36
중국이 북한 핵실험 이후 대북 제재에 동참한 것은 북한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어긴 데 따라 원칙을 적용한 것이라고 주한 중국대사가 말했다.
추궈홍(邱國洪) 주한 중국대사는 오늘(16일) 고려대 경영대학 주최로 고려대 LG포스코경영관에서 열린 초청 특별강연에서 "북한은 국제사회의 강력한 반대에도 유엔 안보리 결의안을 공공연히 위반하며 핵실험했다"고 지적하면서 이같이 말했다. 추 대사는 이어 중국 정부는 북한 핵실험에 단호히 반대했으며, 결의안을 위반한 이상 북한도 자신의 행동에 대가를 치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런 이유로 새로운 안보리 결의안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중국이 책임 있는 자세를 취한 것"이라며 "중국은 새 결의안을 엄격하고 진지하게 유지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추 대사는 그러나 중국이 보기에 북한에 대한 제재가 목적이 아니라 수단이라고 언급하면서 북한 핵 문제는 협상과 대화를 통해 근본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진단했다. 추 대사는 또 "중국은 원칙을 강조하는 나라로, 외부적 압력과 영향 때문에 정책을 바꾸지 않는다"며 미국의 압박 때문에 대북제재에 동참했다는 일부 시각을 부인했다.
한반도 통일에 있어 중국의 입장이 무엇이냐는 질문에는 "남북 양측이 화해 협력을 통해 자주적 평화 통일을 실현하고자 하는 염원을 이해하고 이를 지지한다"며 기존 입장을 되풀이했다.
추 대사는 한중관계는 수교 이후 가장 좋은 시기에 접어들었다고 평가하면서 그 이유로 정치적 상호 신뢰 수준이 가장 높고, 경제무역 협력도 수교 후 최고 수준인데다, 중국 관광객의 한국 방문이 느는 등 인적 교류도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는 점을 들었다.
한국은 중국의 교역국 중 교역 규모가 미국(5천억 달러), 일본(3천억 달러)에 이어 2천900억 달러로 세 번째에 해당하지만 협력의 질이 높고 자유무역협정(FTA)의 영향으로 곧 '제2의 교역 파트너'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추 대사는 내다봤다.
추궈홍(邱國洪) 주한 중국대사는 오늘(16일) 고려대 경영대학 주최로 고려대 LG포스코경영관에서 열린 초청 특별강연에서 "북한은 국제사회의 강력한 반대에도 유엔 안보리 결의안을 공공연히 위반하며 핵실험했다"고 지적하면서 이같이 말했다. 추 대사는 이어 중국 정부는 북한 핵실험에 단호히 반대했으며, 결의안을 위반한 이상 북한도 자신의 행동에 대가를 치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런 이유로 새로운 안보리 결의안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중국이 책임 있는 자세를 취한 것"이라며 "중국은 새 결의안을 엄격하고 진지하게 유지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추 대사는 그러나 중국이 보기에 북한에 대한 제재가 목적이 아니라 수단이라고 언급하면서 북한 핵 문제는 협상과 대화를 통해 근본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진단했다. 추 대사는 또 "중국은 원칙을 강조하는 나라로, 외부적 압력과 영향 때문에 정책을 바꾸지 않는다"며 미국의 압박 때문에 대북제재에 동참했다는 일부 시각을 부인했다.
한반도 통일에 있어 중국의 입장이 무엇이냐는 질문에는 "남북 양측이 화해 협력을 통해 자주적 평화 통일을 실현하고자 하는 염원을 이해하고 이를 지지한다"며 기존 입장을 되풀이했다.
추 대사는 한중관계는 수교 이후 가장 좋은 시기에 접어들었다고 평가하면서 그 이유로 정치적 상호 신뢰 수준이 가장 높고, 경제무역 협력도 수교 후 최고 수준인데다, 중국 관광객의 한국 방문이 느는 등 인적 교류도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는 점을 들었다.
한국은 중국의 교역국 중 교역 규모가 미국(5천억 달러), 일본(3천억 달러)에 이어 2천900억 달러로 세 번째에 해당하지만 협력의 질이 높고 자유무역협정(FTA)의 영향으로 곧 '제2의 교역 파트너'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추 대사는 내다봤다.
-
-
유광석 기자 ksyoo@kbs.co.kr
유광석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