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연구원 “한국 수출 세계교육 비중 떨어지는 품목에 몰려”

입력 2016.03.24 (11:4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세계 시장에서 갈수록 안 팔리는 품목에 대한 우리나라의 교역 쏠림 현상이 미국, 일본, 중국 등에 비해 두드러지게 높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은 '10대 수출품목 의존도 국제비교와 시사점'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히며 "새로운 주력 수출품목 발굴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10대 수출품목은 국제무역분류(SITC) 2단위를 기준으로 볼 때 전기기계장치·기기, 자동차, 석유제품, 기타 수송장비, 통신·녹음기기, 전문·과학·통제기구, 철강, 플라스틱제품, 유기화학물, 산업용 일반기계·장비 등이다.

이들 품목이 전 세계 교역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1년 48.3%에서 2014년 45.6%로 2.7%포인트 낮아졌다.

미국의 10대 수출품목이 세계 교역량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51.9%에서 49.7%로, 일본의 경우 37.9%에서 37.0%로 각각 하락했으나 그 폭은 우리나라가 더 컸다.

반면에 중국의 10대 수출품목이 전 세계 교역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9.6%에서 40.5%로 상승했다.

이런 가운데, 지난해 우리나라 10대 수출품목 중 6개 품목의 수출단가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석유·석유제품(-41.1%), 유기화학물(-30.8%), 철강(-17.6%), 기타 수송장비(-6.9%) 등이 전체 단가하락을 주도했다.

한국경제연구원은 "주요 수출품목의 경기변동이나 단가변동이 우리 경제 전체의 수출에 큰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점차 커지고 있어 새로운 수출품목의 개발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한국경제연구원 “한국 수출 세계교육 비중 떨어지는 품목에 몰려”
    • 입력 2016-03-24 11:42:36
    경제
세계 시장에서 갈수록 안 팔리는 품목에 대한 우리나라의 교역 쏠림 현상이 미국, 일본, 중국 등에 비해 두드러지게 높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은 '10대 수출품목 의존도 국제비교와 시사점'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히며 "새로운 주력 수출품목 발굴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10대 수출품목은 국제무역분류(SITC) 2단위를 기준으로 볼 때 전기기계장치·기기, 자동차, 석유제품, 기타 수송장비, 통신·녹음기기, 전문·과학·통제기구, 철강, 플라스틱제품, 유기화학물, 산업용 일반기계·장비 등이다.

이들 품목이 전 세계 교역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1년 48.3%에서 2014년 45.6%로 2.7%포인트 낮아졌다.

미국의 10대 수출품목이 세계 교역량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51.9%에서 49.7%로, 일본의 경우 37.9%에서 37.0%로 각각 하락했으나 그 폭은 우리나라가 더 컸다.

반면에 중국의 10대 수출품목이 전 세계 교역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9.6%에서 40.5%로 상승했다.

이런 가운데, 지난해 우리나라 10대 수출품목 중 6개 품목의 수출단가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석유·석유제품(-41.1%), 유기화학물(-30.8%), 철강(-17.6%), 기타 수송장비(-6.9%) 등이 전체 단가하락을 주도했다.

한국경제연구원은 "주요 수출품목의 경기변동이나 단가변동이 우리 경제 전체의 수출에 큰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점차 커지고 있어 새로운 수출품목의 개발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