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기우다 고이치 일본 관방 부장관이 최근 한 TV프로그램에 출연해 일본군 위안부 소녀상 이전과 위안부 지원 재단 설립이 '패키지'로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난해 말 한일간 위안부 문제 합의 이후 집권 자민당의 일부 간부들이 소녀상 이전과 지원금 출연을 연계해야 한다고 주장한 적은 있지만, 일본 정부의 고위 관리가 이런 입장을 공개적으로 표명한 것은 이례적인 일이다.
하기우다 부장관은 지난 6일 밤 BS후지의 '프라임뉴스'에 출연한 자리에서 "위안부 지원 재단에 대한 10억엔 출연과 소녀상 이전 문제 가운데 무엇이 먼저냐"는 질문에 "소녀상이 어떻게 되느냐, 뭐가 어떻게 되느냐 하는 것은 (한일간 합의문에) 분명히 쓰여있다"며 "이는 '패키지'라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하기우다 부장관은 "어느 것이 먼저고 어느 것이 나중이냐 하는 것은 매우 미묘한 문제긴 하지만, 전부 한꺼번에 해결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하기우다 부장관은 "재단 설립기념식을 하는 날,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 위안부 소녀상이 그대로 남아있거나, 그곳에서 집회가 열리는 것은 우리로서는 상상하고 싶지 않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그는 또 "한국이 그동안 몇번이고 '이번이 마지막이다'라고 말했지만 (사과요구 등이) 끝이 아니었다는 것이 일본 정부와 일본 국민들의 생각"이라며 "이번에야말로 양국이 힘을 합쳐 앞을 향해 나아가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우리 외교부의 조준혁 대변인은 "주한 일본대사관 앞 소녀상은 민간에서 자발적으로 설치한 것으로 정부가 이래라 저래라 할 수 있는 사안이 아니기 때문에 재단설립 문제와 소녀상 문제는 전혀 별개의 사안임을 다시 한 번 분명히 한다"고 밝혔다.
지난해 말 한일간 위안부 문제 합의 이후 집권 자민당의 일부 간부들이 소녀상 이전과 지원금 출연을 연계해야 한다고 주장한 적은 있지만, 일본 정부의 고위 관리가 이런 입장을 공개적으로 표명한 것은 이례적인 일이다.
하기우다 부장관은 지난 6일 밤 BS후지의 '프라임뉴스'에 출연한 자리에서 "위안부 지원 재단에 대한 10억엔 출연과 소녀상 이전 문제 가운데 무엇이 먼저냐"는 질문에 "소녀상이 어떻게 되느냐, 뭐가 어떻게 되느냐 하는 것은 (한일간 합의문에) 분명히 쓰여있다"며 "이는 '패키지'라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하기우다 부장관은 "어느 것이 먼저고 어느 것이 나중이냐 하는 것은 매우 미묘한 문제긴 하지만, 전부 한꺼번에 해결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하기우다 부장관은 "재단 설립기념식을 하는 날,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 위안부 소녀상이 그대로 남아있거나, 그곳에서 집회가 열리는 것은 우리로서는 상상하고 싶지 않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그는 또 "한국이 그동안 몇번이고 '이번이 마지막이다'라고 말했지만 (사과요구 등이) 끝이 아니었다는 것이 일본 정부와 일본 국민들의 생각"이라며 "이번에야말로 양국이 힘을 합쳐 앞을 향해 나아가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우리 외교부의 조준혁 대변인은 "주한 일본대사관 앞 소녀상은 민간에서 자발적으로 설치한 것으로 정부가 이래라 저래라 할 수 있는 사안이 아니기 때문에 재단설립 문제와 소녀상 문제는 전혀 별개의 사안임을 다시 한 번 분명히 한다"고 밝혔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日 관방 부장관 “위안부 재단 설립과 소녀상 철거는 패키지”
-
- 입력 2016-04-07 18:57:21
하기우다 고이치 일본 관방 부장관이 최근 한 TV프로그램에 출연해 일본군 위안부 소녀상 이전과 위안부 지원 재단 설립이 '패키지'로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난해 말 한일간 위안부 문제 합의 이후 집권 자민당의 일부 간부들이 소녀상 이전과 지원금 출연을 연계해야 한다고 주장한 적은 있지만, 일본 정부의 고위 관리가 이런 입장을 공개적으로 표명한 것은 이례적인 일이다.
하기우다 부장관은 지난 6일 밤 BS후지의 '프라임뉴스'에 출연한 자리에서 "위안부 지원 재단에 대한 10억엔 출연과 소녀상 이전 문제 가운데 무엇이 먼저냐"는 질문에 "소녀상이 어떻게 되느냐, 뭐가 어떻게 되느냐 하는 것은 (한일간 합의문에) 분명히 쓰여있다"며 "이는 '패키지'라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하기우다 부장관은 "어느 것이 먼저고 어느 것이 나중이냐 하는 것은 매우 미묘한 문제긴 하지만, 전부 한꺼번에 해결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하기우다 부장관은 "재단 설립기념식을 하는 날,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 위안부 소녀상이 그대로 남아있거나, 그곳에서 집회가 열리는 것은 우리로서는 상상하고 싶지 않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그는 또 "한국이 그동안 몇번이고 '이번이 마지막이다'라고 말했지만 (사과요구 등이) 끝이 아니었다는 것이 일본 정부와 일본 국민들의 생각"이라며 "이번에야말로 양국이 힘을 합쳐 앞을 향해 나아가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우리 외교부의 조준혁 대변인은 "주한 일본대사관 앞 소녀상은 민간에서 자발적으로 설치한 것으로 정부가 이래라 저래라 할 수 있는 사안이 아니기 때문에 재단설립 문제와 소녀상 문제는 전혀 별개의 사안임을 다시 한 번 분명히 한다"고 밝혔다.
지난해 말 한일간 위안부 문제 합의 이후 집권 자민당의 일부 간부들이 소녀상 이전과 지원금 출연을 연계해야 한다고 주장한 적은 있지만, 일본 정부의 고위 관리가 이런 입장을 공개적으로 표명한 것은 이례적인 일이다.
하기우다 부장관은 지난 6일 밤 BS후지의 '프라임뉴스'에 출연한 자리에서 "위안부 지원 재단에 대한 10억엔 출연과 소녀상 이전 문제 가운데 무엇이 먼저냐"는 질문에 "소녀상이 어떻게 되느냐, 뭐가 어떻게 되느냐 하는 것은 (한일간 합의문에) 분명히 쓰여있다"며 "이는 '패키지'라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하기우다 부장관은 "어느 것이 먼저고 어느 것이 나중이냐 하는 것은 매우 미묘한 문제긴 하지만, 전부 한꺼번에 해결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하기우다 부장관은 "재단 설립기념식을 하는 날,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 위안부 소녀상이 그대로 남아있거나, 그곳에서 집회가 열리는 것은 우리로서는 상상하고 싶지 않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그는 또 "한국이 그동안 몇번이고 '이번이 마지막이다'라고 말했지만 (사과요구 등이) 끝이 아니었다는 것이 일본 정부와 일본 국민들의 생각"이라며 "이번에야말로 양국이 힘을 합쳐 앞을 향해 나아가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우리 외교부의 조준혁 대변인은 "주한 일본대사관 앞 소녀상은 민간에서 자발적으로 설치한 것으로 정부가 이래라 저래라 할 수 있는 사안이 아니기 때문에 재단설립 문제와 소녀상 문제는 전혀 별개의 사안임을 다시 한 번 분명히 한다"고 밝혔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