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인들은 죽어서 종종 이름을 남기지만, 살아서는 가는 곳마다 방명록을 남긴다.
방문의 의미를 함축적으로 드러낸 문구! 하지만 종종 그 의미를 반감시키는 맞춤법 오류가 뒤따른다. 27년 전 1989년 맞춤법 개정 이전의 규정에 따르는 것은 흔한 실수다. "아, 옛날이여~"
정치권의 뒷(back)얘기를 100초 안에 전하는 100브리핑.
방문의 의미를 함축적으로 드러낸 문구! 하지만 종종 그 의미를 반감시키는 맞춤법 오류가 뒤따른다. 27년 전 1989년 맞춤법 개정 이전의 규정에 따르는 것은 흔한 실수다. "아, 옛날이여~"
정치권의 뒷(back)얘기를 100초 안에 전하는 100브리핑.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100브리핑] 맞춤법 ‘굴욕’
-
- 입력 2016-05-08 09:01:15

정치인들은 죽어서 종종 이름을 남기지만, 살아서는 가는 곳마다 방명록을 남긴다.
방문의 의미를 함축적으로 드러낸 문구! 하지만 종종 그 의미를 반감시키는 맞춤법 오류가 뒤따른다. 27년 전 1989년 맞춤법 개정 이전의 규정에 따르는 것은 흔한 실수다. "아, 옛날이여~"
정치권의 뒷(back)얘기를 100초 안에 전하는 100브리핑.
방문의 의미를 함축적으로 드러낸 문구! 하지만 종종 그 의미를 반감시키는 맞춤법 오류가 뒤따른다. 27년 전 1989년 맞춤법 개정 이전의 규정에 따르는 것은 흔한 실수다. "아, 옛날이여~"
정치권의 뒷(back)얘기를 100초 안에 전하는 100브리핑.
-
-
임세흠 기자 hm21@kbs.co.kr
임세흠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