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즈 환자 급증…‘신속 검사’로 확산 차단

입력 2016.05.19 (08:16) 수정 2016.05.19 (09:3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자 멘트>

친절한 뉴스, 다음 소식은 에이즈 관련 소식입니다.

한때 걸리면 죽는다고, 현대판 흑사병이라고 불렸던 질환이 있습니다.

바로 에이즈인데요, 우리나라에 감염자가 생긴지 벌써 30년이 넘었습니다.

그런데, 감염자 수가 해마다 늘어 지난 2013년에는 신규 감염 신고자가 천 명 선을 넘어 섰습니다.

지난해까지 해마다 천 명 넘는 신규 감염자가 신고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렇게 우리나라처럼 전 세계적으로도 에이즈 감염이 계속 확산되는 걸까요?

우리나라 밖으로 눈을 돌리면 사정이 달라집니다.

지난 2000년 전 세계 에이즈 신규 감염자 수는 3백10만 명에 달하던 것이 지난 2014년에는 2백만 명 정도로 줄었습니다.

14년 만에 35%가 감소한 겁니다.

세계적으로는 감소 추세인데, 한국에서는 반대로 자꾸 늘고 있고, 확산 속도도 무서울 정도인데요.

더구나 우리 정부는 에이즈 환자 치료비를 전액 세금으로 지원하고 있어서 치료비 부담도 눈덩이처럼 커지고 있습니다.

에이즈 확산을 막을 방안이 시급한데요.

현재 우리 정부의 에이즈 환자 관리 실태를 임명규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리포트>

경기도의 한 요양병원입니다.

에이즈 환자도 치료 받고 있는데 에이즈 환자의 입원 증가세가 무섭습니다.

그러다보니 일반 병원에서도 에이즈 환자의 진료를 거부할 수 없도록 법으로 규정돼 있습니다.

<인터뷰> 염안섭(요양병원장) : "개정된 의료법 시행 규칙에 따라서 요양 병원에 입원하는 에이즈 환자는 치료비 70만 원 감면비 40만원 도합 110만원을 돌아가실 때까지 국민 세금으로..."

덩달아 정부와 지자체의 치료비 재정 부담도 커지고 있습니다.

모두 정부와 지자체가 지원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규대(서울시 감염병관리팀장) : "최종적으로 이제 확진 판정이 나면 국가에서 50% 지방자치단체에서 50%해서 진료비를 지원해주고 있고요 각종 상담이나 이런 사업을 위탁사업을 해서..."

에이즈 환자의 99%가 성 접촉에 의한 것이어서 예방마저 쉽지 않은 상황.

현재로서는 조기 진단과 환자 관리에 초점을 맞출 뿐 입니다.

혈액 한 방울이면 20분만에 에이즈를 판별할 수 있는 신속검사법까지 도입됐습니다.

무료인데다 익명성까지 보장되면서 검사받는 사람이 많아졌고 양성 반응 발견도 1.5배 늘었습니다.

하지만 30년 가까운 관리 정책에도 불구하고 확산세가 꺾이지 않는 점을 감안하면 에이즈 정책의 근본적인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KBS 뉴스 임명규입니다.

<기자 멘트>

앞서서 보셨지만, 정부가 에이즈 확산 속도를 늦추기 위해 최근 도입한 게 'HIV 신속검사법'입니다.

혈액 한 방울이면 20분 만에 에이즈 감염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임신 진단 키트를 떠올리시면 될텐데요.

혈액을 키트에 떨어뜨리면 세로 선이 몇 개 생기느냐에 따라 양성과 음성을 확인할 수 있는 겁니다.

여기서 양성 반응이 나왔다고 해서 무조건 에이즈 감염자가 되는 건 아니고, 정밀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현재 양성 반응자 중에 30% 가량은 다른 항체에 반응한 경우로 에이즈 감염과는 무관했다고 합니다.

서울시의 경우 신속검사법이 도입된 뒤 검사 건수는 7배, 양성 발견 건수는 1.5배 늘었습니다.

이렇게 발견된 에이즈 감염자들을 빠뜨리지 않고 관리해 에이즈 확산을 막자는 게 최근 정부와 지자체의 움직임입니다.

또 빼놓을 수 없는 게 에이즈 예방 대책일 텐데요.

현재로선 에이즈 감염 경로의 99.8%가 성접촉에 의한 겁니다.

나머지는 부모로부터 감염된 경우고요.

수혈로 인한 감염은 지난 2006년 이후 보고된 사례가 없습니다.

결국 건전한 성생활을 권장하고 홍보하는 게 현재로선 최선인 상황입니다.

무엇보다 에이즈에 대한 편견없는 정확한 지식을 널리 알리는 것도 중요한데요.

질병관리본부가 우리 국민 의식을 조사한 결과 모기에 물리는 것만으로도 에이즈에 걸릴 수 있는지 묻는 말에 그렇다며 오답을 말한 응답자가 35%에 달했고, 식사나 공동 화장실 사용, 키스나 악수 등의 접촉과 관련해서도 정답을 말한 비율도 낮은 편이었습니다.

또 에이즈에 대한 사회적 낙인이나 부정적 태도도 바꿔져야 적극적 치료와 음성적인 확산을 막는데 도움이 될 텐데요.

같은 동네에 에이즈 감염인이 있다면 같이 어울려 지내기 힘들 것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71%를 넘었습니다.

이번 조사는 전국 15개 시도에 거주하는 만 15살에서 59살 남녀 천 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면접 조사로 이뤄졌는데요.

30년 가까운 관리 정책에도 불구하고 에이즈 확산세가 꺾이지 않는 현실을 볼때 정부의 에이즈 정책의 근본적인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힘을 얻고 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에이즈 환자 급증…‘신속 검사’로 확산 차단
    • 입력 2016-05-19 08:21:47
    • 수정2016-05-19 09:36:06
    아침뉴스타임
<기자 멘트>

친절한 뉴스, 다음 소식은 에이즈 관련 소식입니다.

한때 걸리면 죽는다고, 현대판 흑사병이라고 불렸던 질환이 있습니다.

바로 에이즈인데요, 우리나라에 감염자가 생긴지 벌써 30년이 넘었습니다.

그런데, 감염자 수가 해마다 늘어 지난 2013년에는 신규 감염 신고자가 천 명 선을 넘어 섰습니다.

지난해까지 해마다 천 명 넘는 신규 감염자가 신고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렇게 우리나라처럼 전 세계적으로도 에이즈 감염이 계속 확산되는 걸까요?

우리나라 밖으로 눈을 돌리면 사정이 달라집니다.

지난 2000년 전 세계 에이즈 신규 감염자 수는 3백10만 명에 달하던 것이 지난 2014년에는 2백만 명 정도로 줄었습니다.

14년 만에 35%가 감소한 겁니다.

세계적으로는 감소 추세인데, 한국에서는 반대로 자꾸 늘고 있고, 확산 속도도 무서울 정도인데요.

더구나 우리 정부는 에이즈 환자 치료비를 전액 세금으로 지원하고 있어서 치료비 부담도 눈덩이처럼 커지고 있습니다.

에이즈 확산을 막을 방안이 시급한데요.

현재 우리 정부의 에이즈 환자 관리 실태를 임명규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리포트>

경기도의 한 요양병원입니다.

에이즈 환자도 치료 받고 있는데 에이즈 환자의 입원 증가세가 무섭습니다.

그러다보니 일반 병원에서도 에이즈 환자의 진료를 거부할 수 없도록 법으로 규정돼 있습니다.

<인터뷰> 염안섭(요양병원장) : "개정된 의료법 시행 규칙에 따라서 요양 병원에 입원하는 에이즈 환자는 치료비 70만 원 감면비 40만원 도합 110만원을 돌아가실 때까지 국민 세금으로..."

덩달아 정부와 지자체의 치료비 재정 부담도 커지고 있습니다.

모두 정부와 지자체가 지원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규대(서울시 감염병관리팀장) : "최종적으로 이제 확진 판정이 나면 국가에서 50% 지방자치단체에서 50%해서 진료비를 지원해주고 있고요 각종 상담이나 이런 사업을 위탁사업을 해서..."

에이즈 환자의 99%가 성 접촉에 의한 것이어서 예방마저 쉽지 않은 상황.

현재로서는 조기 진단과 환자 관리에 초점을 맞출 뿐 입니다.

혈액 한 방울이면 20분만에 에이즈를 판별할 수 있는 신속검사법까지 도입됐습니다.

무료인데다 익명성까지 보장되면서 검사받는 사람이 많아졌고 양성 반응 발견도 1.5배 늘었습니다.

하지만 30년 가까운 관리 정책에도 불구하고 확산세가 꺾이지 않는 점을 감안하면 에이즈 정책의 근본적인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KBS 뉴스 임명규입니다.

<기자 멘트>

앞서서 보셨지만, 정부가 에이즈 확산 속도를 늦추기 위해 최근 도입한 게 'HIV 신속검사법'입니다.

혈액 한 방울이면 20분 만에 에이즈 감염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임신 진단 키트를 떠올리시면 될텐데요.

혈액을 키트에 떨어뜨리면 세로 선이 몇 개 생기느냐에 따라 양성과 음성을 확인할 수 있는 겁니다.

여기서 양성 반응이 나왔다고 해서 무조건 에이즈 감염자가 되는 건 아니고, 정밀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현재 양성 반응자 중에 30% 가량은 다른 항체에 반응한 경우로 에이즈 감염과는 무관했다고 합니다.

서울시의 경우 신속검사법이 도입된 뒤 검사 건수는 7배, 양성 발견 건수는 1.5배 늘었습니다.

이렇게 발견된 에이즈 감염자들을 빠뜨리지 않고 관리해 에이즈 확산을 막자는 게 최근 정부와 지자체의 움직임입니다.

또 빼놓을 수 없는 게 에이즈 예방 대책일 텐데요.

현재로선 에이즈 감염 경로의 99.8%가 성접촉에 의한 겁니다.

나머지는 부모로부터 감염된 경우고요.

수혈로 인한 감염은 지난 2006년 이후 보고된 사례가 없습니다.

결국 건전한 성생활을 권장하고 홍보하는 게 현재로선 최선인 상황입니다.

무엇보다 에이즈에 대한 편견없는 정확한 지식을 널리 알리는 것도 중요한데요.

질병관리본부가 우리 국민 의식을 조사한 결과 모기에 물리는 것만으로도 에이즈에 걸릴 수 있는지 묻는 말에 그렇다며 오답을 말한 응답자가 35%에 달했고, 식사나 공동 화장실 사용, 키스나 악수 등의 접촉과 관련해서도 정답을 말한 비율도 낮은 편이었습니다.

또 에이즈에 대한 사회적 낙인이나 부정적 태도도 바꿔져야 적극적 치료와 음성적인 확산을 막는데 도움이 될 텐데요.

같은 동네에 에이즈 감염인이 있다면 같이 어울려 지내기 힘들 것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71%를 넘었습니다.

이번 조사는 전국 15개 시도에 거주하는 만 15살에서 59살 남녀 천 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면접 조사로 이뤄졌는데요.

30년 가까운 관리 정책에도 불구하고 에이즈 확산세가 꺾이지 않는 현실을 볼때 정부의 에이즈 정책의 근본적인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힘을 얻고 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