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산 나이는? 백록담 뚫어 연대 측정

입력 2016.06.08 (21:46) 수정 2016.06.08 (21:5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한라산 나이는 어떻게 될까요?

2만 5천 년 정도로 추정될 뿐 정확히 알 수는 없었는데요.

한라산의 정확한 폭발 시기를 밝히기 위해 국내 연구진이 사상 처음으로 백록담 바닥을 뚫기로 했습니다.

하선아 기자입니다.

<리포트>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인 한라산.

이 한라산의 정확한 폭발 시기를 측정하기 위해 처음으로 백록담 바닥을 뚫는 방법이 시도됩니다.

먼저, 헬기를 이용해 2톤 무게의 시추장비를 백록담까지 옮긴 뒤, 바닥에 직경 20센티미터, 깊이 20에서 40미터의 구멍을 다섯 군데에 뚫습니다.

여기서 확보한 지하 퇴적물을 분석해 2만 5천년 전쯤으로만 알려진 화산 분출 시기를 더 정확히 측정합니다.

지금까지 사람이 직접 4-5미터를 파고 내려가던 방식보다 더 많은 시료를 확보해 정확한 연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다.

<인터뷰> 정세호(세계유산한라산연구원 생물자원연구과장) : "이번 분석에 따라서 한라산 그리고 제주도가 언제 형성이 되고, 이런 비밀이 밝혀질 것으로 보입니다."

이번 조사에선 한라산의 동,식물 분포 현황도 계절별, 고도별로 정밀하게 조사합니다.

구상나무 등 멸종 위기에 처한 고산식물의 분포와 위협 요인도 분석해 보전대책을 마련하게 됩니다.

<인터뷰> 김찬수(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장) : "구상나무는 아주 빠른 속도로 쇠퇴의 길을 걷고 있습니다. 소멸 속도를 늦출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번 조사를 통해 기후 변화의 최일선에 놓인 한라산의 원형과 생태계를 보존하기 위한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KBS 뉴스 하선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한라산 나이는? 백록담 뚫어 연대 측정
    • 입력 2016-06-08 21:46:56
    • 수정2016-06-08 21:51:57
    뉴스 9
<앵커 멘트>

한라산 나이는 어떻게 될까요?

2만 5천 년 정도로 추정될 뿐 정확히 알 수는 없었는데요.

한라산의 정확한 폭발 시기를 밝히기 위해 국내 연구진이 사상 처음으로 백록담 바닥을 뚫기로 했습니다.

하선아 기자입니다.

<리포트>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인 한라산.

이 한라산의 정확한 폭발 시기를 측정하기 위해 처음으로 백록담 바닥을 뚫는 방법이 시도됩니다.

먼저, 헬기를 이용해 2톤 무게의 시추장비를 백록담까지 옮긴 뒤, 바닥에 직경 20센티미터, 깊이 20에서 40미터의 구멍을 다섯 군데에 뚫습니다.

여기서 확보한 지하 퇴적물을 분석해 2만 5천년 전쯤으로만 알려진 화산 분출 시기를 더 정확히 측정합니다.

지금까지 사람이 직접 4-5미터를 파고 내려가던 방식보다 더 많은 시료를 확보해 정확한 연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다.

<인터뷰> 정세호(세계유산한라산연구원 생물자원연구과장) : "이번 분석에 따라서 한라산 그리고 제주도가 언제 형성이 되고, 이런 비밀이 밝혀질 것으로 보입니다."

이번 조사에선 한라산의 동,식물 분포 현황도 계절별, 고도별로 정밀하게 조사합니다.

구상나무 등 멸종 위기에 처한 고산식물의 분포와 위협 요인도 분석해 보전대책을 마련하게 됩니다.

<인터뷰> 김찬수(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장) : "구상나무는 아주 빠른 속도로 쇠퇴의 길을 걷고 있습니다. 소멸 속도를 늦출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번 조사를 통해 기후 변화의 최일선에 놓인 한라산의 원형과 생태계를 보존하기 위한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KBS 뉴스 하선아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