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플러스] 독도 없는 부실지도 반면교사로 삼아야

입력 2016.07.08 (16:37) 수정 2016.07.20 (16: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북아역사지도'는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는 우리 민족의 강역(疆域)을 우리의 역사 연구를 바탕으로 우리가 주체적으로 만들려는 지도다. 동북아역사재단이 이 지도 제작에 나선 것은 8년 전인 지난 2008년이다.

중국이 북한의 급변사태나 한반도 통일 때 유리한 고지에 서기 위해 우리 민족의 고대사 무대였던 동북삼성(東北三省)을 자신의 역사로 편입하려는 '동북공정'에 대비하고, 일본의 역사 왜곡, 특히 독도 영유권 주장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다.

동북아역사지도 제작에는 연세대와 서강대 산학협력단이 참여했다. 7년여의 작업 끝에 지난해 11월 지도를 완성했으나 독도 미표기 등 지도학적 완성도가 떨어진다는 이유로 부실 판정을 받았다. 이에 두 대학 산학협력단은 보완작업을 거쳐 올 4월 다시 제출했다.

독도 없는 동북아 역사지도(상), 가장자리에 있는 한반도(하)독도 없는 동북아 역사지도(상), 가장자리에 있는 한반도(하)


하지만 재단은 보완작업을 거친 지도에도 한반도가 가장자리에 있거나 독도를 표기하지 않는 등 여전히 지도학적 문제가 있어 부적합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연관기사] ☞ ‘동북아 역사지도’ 출판 불가…45억 혈세 낭비

8년째 헤매는 동북아역사지도

독도가 지도에서 빠진 데 대해 재야사학자인 한가람역사문화연구소 이덕일 소장은 지난해 8월 자신의 저서 '매국의 역사학, 어디까지 왔나?'에서 "동북아역사지도는 실수가 아니라 의도적으로 독도를 지웠다. 독도가 한국 강역이 아니라 일본 강역이라는 의도가 아니겠는가?"라고 강력히 성토했다.



동북아역사재단 측도 "독도가 우리나라 영토라는 것은 핵심 내용이고, 영토 교육에서 중요한 정체성의 대상"이라며 독도가 지도에서 빠진 것은 중대한 오류라고 인정했다.

동북아역사재단은 외부 산학협력재단에 맡겨 8년여에 걸쳐 45억 원을 들여 진행한 동북아역사지도 사업이 실패했다고 보고 재단 내부 사업담당자들에게 징계를 내렸다. 나아가 재단 내부에 조직을 신설해 역사학자뿐만 아니라 지리학 등 각 분야 외부 전문가를 참여시켜 동북아역사지도를 처음부터 새로 제작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김호섭 동북아역사재단 이사장이 국회 동북아역사왜곡대책특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업무보고하고 있다. (2015.10.23)김호섭 동북아역사재단 이사장이 국회 동북아역사왜곡대책특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업무보고하고 있다. (2015.10.23)


고조선 국경은 ‘훈허’ vs ‘롼허’

그러나 이 정도로 동북아역사지도 제작 문제가 해결될 것 같지는 않다. 고조선의 강역과 한사군의 위치 등에 대한 우리 나름의 기본 학설이 정립이 안 된 상태여서 학계 통설인 '한반도 북부설'을 따라 지도를 제작했으나 재야 학계를 중심으로 그 위치를 중국 동북부 요하 일대로 변경해야 한다는 '요하설'이 제기됐기 때문이다.

재야사학회는 동북아역사지도가 한나라가 위만 조선을 멸망시키고 설치한 낙랑군을 한반도 북부에 표시하는 등 중국과 일본의 역사 왜곡을 돕는 꼴이라고 비판해 왔다.

앞서 언급한 '매국의 역사학, 어디까지 왔나?'에서 이덕일 한가람역사문화연구소장은 "동북아역사지도는 동북공정의 관점이 담긴 담기양의 '중국역사지도집'을 베껴 한반도 북부가 중국의 강역이었다고 그려놓고 있다"고 주장했다.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미래로 가는 바른역사 협의회(미사협) 출범행사에서 상임대표를 맡은 허성관 전 행정자치부 장관을 비롯한 내빈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16.6.26)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미래로 가는 바른역사 협의회(미사협) 출범행사에서 상임대표를 맡은 허성관 전 행정자치부 장관을 비롯한 내빈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16.6.26)


6월 26일 재야 사학인들이 국회의원회관에서 발대식을 가진 '미래로 가는 바른역사 협의회'도 "우리 역사를 일제의 조선총독부 관점에서 바라보는 노예의 역사학인 식민사학이 여전히 우리 역사학계의 주류라며 동북아역사지도가 중국의 동북공정 논리를 추종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강단사학회 쪽은 '반(反) 식민사학'을 표방하는 재야 사학계가 오히려 식민사학과 유사한 관점을 적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역사문제연구소가 발행하는 계간지 '역사비평' 여름호에서 경희대 이정빈 교수는 "넓은 국토를 가진 군사적 강대국, 다시 말해 위대한 고대사를 말해야 비로소 식민주의 역사학에서 탈피한다는 믿음이 오히려 식민주의 역사학의 사유"라고 지적했다.



또 맞붙은 강단ㆍ재야사학…이번엔 ‘패수 위치’

강단사학회와 재야사학회가 다툼을 벌이는 쟁점은 고조선의 크기 문제로 모아진다. 중국의 사마천이 쓴 『사기』의 조선 열전에 나오는 조선이 바로 고조선이다.

재야 사학계는 이 고조선의 강역을 크게 보는 이른바 '대(大)고조선'을 주장하고, 강단 사학계는 작게 보는 '소(小)고조선'을 내세우고 있다. 이는 다름 아닌 한나라와 고조선의 경계였다는 '패수'가 중국 내륙으로 치우쳐 있는 강이냐? 한반도 쪽으로 치우쳐 있는 강이냐의 논쟁이기도 하다.

지난 6월 21일 동북아역사재단 주최 상고사 토론회에서도 '패수'는 과연 어디인가를 놓고 재야와 강단 학회가 치열하게 맞붙었다.

한나라와 고조선 경계인 ‘패수’에 대한 논쟁한나라와 고조선 경계인 ‘패수’에 대한 논쟁


재야학회는 랴오허(요하)를 건너 서쪽으로 더 나아간 허베이(화북)성 롼허(낙하)가 고조선의 서쪽 국경이었다고 주장했고 강단학회는 랴오닝(요녕)성에 있는 훈허(운하)가 경계였다고 내세웠다.

이에 대해 재야학회는 강단에서 제시한 훈허설에 대해 '지금까지 강단 사학에서 고조선의 강역을 서쪽으로 가장 넓게 확대한 이론이라면서도 종전의 청천강설이나 압록강설과 마찬가지로 '한사군 한반도설'과 낙랑군 대동강설'에 바탕을 둔 것이라고 비판했다.
지난 3월 22일에도 강단사학회와 재야사학회는 '한국 상고사의 쟁점 : 왕검성과 한군현'이라는 주제를 놓고 논쟁을 벌였다. 한군현은 한나라 무제가 고조선을 멸망시킨후 설치한 낙랑, 임둔, 진번, 현도 등 4개의 행정구역을 말하고, 왕검성은 고조선의 도읍지다.

그동안 학계에서는 한군현 중의 하나인 낙랑군의 위치가 평양 인근이었다는 '평양설'이 주류를 이룬 가운데 재야학회를 중심으로 중국의 요서 인근이었다는 '요서설'이 제기된 상태였다.

한사군 한반도설(좌) 한사군 요서설(우)한사군 한반도설(좌) 한사군 요서설(우)


이날 토론에서도 강단사학쪽은 최근 일본 규슈지역에서 평양 인근에서 제작된 낙랑토기가 출토된 것을 예로 들며 낙랑군의 위치를 평양으로 주장했다.

[연관기사] ☞ “고대 평양과 압록강의 위치, 학술적으로 재검토해야”

반면 재야사학회측은 문헌기록으로 볼 때 한사군은 설립될 당시에는 현재 중국 허베이성(화북성) 동북부와 랴오닝성(요녕성) 서남부에 위치했으나 수·당 세력이 동쪽으로 확장하면서 최동단에 있던 낙랑도 동진해 최후에는 평양에 있었다고 기록되기에 이르렀다고 반박했다.

고구려 광개토 대왕릉으로 추정되는 중국 지안시 태왕릉고구려 광개토 대왕릉으로 추정되는 중국 지안시 태왕릉


한·중·일 역사교과서 난맥상…우리 대응은?

중국은 2001년부터 우리 민족의 고대사 무대였던 지린성(길림성), 랴유닝성(요녕성), 헤이룽장성(흑룡강성) 등 '동북삼성'의 역사를 중국 역사로 편입한다는 동북 공정을 펼치고 있다. 북한의 급변 사태에 대비하고, 한반도 통일 때 유리한 입장에 서기 위해서다. 일본도 영토적 야욕에서 독도를 자기네 땅이라고 더욱 강하게 우기고 있다.

일본 정부가 홈피에 올린 독도 영유권 자료 보고서일본 정부가 홈피에 올린 독도 영유권 자료 보고서


여기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면 현실적인 영토상실과 역사 속 강토를 잃는 것은 물론이고 유구한 역사를 거치면서 외부의 숱한 침략에도 굴하지 않고 독립국가와 고유문화를 유지해온 우리 민족의 웅혼한 기백이 사그라질지도 모를 일이다.

강단사학회나 재야사학회나 둘 다 이러한 사태를 바라지는 않을 것이다. 그러면 결론은 자명하다. 비록 시간이 걸리더라도 각자의 입장을 떠나 무아의 관점에서 과학적 고증을 통해 중국의 동북공정을 격파하고, 일본이 다시는 독도를 자기네 땅이라고 우기지 못하도록 쐐기를 박는 역사적 사실을 찾아내고 정립해야 한다.

여기에 개인적으로나마 한사군이 평양 이북이 아니라 요하에 있었던 것으로 판명 나기를 바란다면 너무 국수적인 사람일까?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뉴스플러스] 독도 없는 부실지도 반면교사로 삼아야
    • 입력 2016-07-08 16:37:40
    • 수정2016-07-20 16:00:22
    뉴스플러스
'동북아역사지도'는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는 우리 민족의 강역(疆域)을 우리의 역사 연구를 바탕으로 우리가 주체적으로 만들려는 지도다. 동북아역사재단이 이 지도 제작에 나선 것은 8년 전인 지난 2008년이다.

중국이 북한의 급변사태나 한반도 통일 때 유리한 고지에 서기 위해 우리 민족의 고대사 무대였던 동북삼성(東北三省)을 자신의 역사로 편입하려는 '동북공정'에 대비하고, 일본의 역사 왜곡, 특히 독도 영유권 주장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다.

동북아역사지도 제작에는 연세대와 서강대 산학협력단이 참여했다. 7년여의 작업 끝에 지난해 11월 지도를 완성했으나 독도 미표기 등 지도학적 완성도가 떨어진다는 이유로 부실 판정을 받았다. 이에 두 대학 산학협력단은 보완작업을 거쳐 올 4월 다시 제출했다.

독도 없는 동북아 역사지도(상), 가장자리에 있는 한반도(하)

하지만 재단은 보완작업을 거친 지도에도 한반도가 가장자리에 있거나 독도를 표기하지 않는 등 여전히 지도학적 문제가 있어 부적합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연관기사] ☞ ‘동북아 역사지도’ 출판 불가…45억 혈세 낭비

8년째 헤매는 동북아역사지도

독도가 지도에서 빠진 데 대해 재야사학자인 한가람역사문화연구소 이덕일 소장은 지난해 8월 자신의 저서 '매국의 역사학, 어디까지 왔나?'에서 "동북아역사지도는 실수가 아니라 의도적으로 독도를 지웠다. 독도가 한국 강역이 아니라 일본 강역이라는 의도가 아니겠는가?"라고 강력히 성토했다.



동북아역사재단 측도 "독도가 우리나라 영토라는 것은 핵심 내용이고, 영토 교육에서 중요한 정체성의 대상"이라며 독도가 지도에서 빠진 것은 중대한 오류라고 인정했다.

동북아역사재단은 외부 산학협력재단에 맡겨 8년여에 걸쳐 45억 원을 들여 진행한 동북아역사지도 사업이 실패했다고 보고 재단 내부 사업담당자들에게 징계를 내렸다. 나아가 재단 내부에 조직을 신설해 역사학자뿐만 아니라 지리학 등 각 분야 외부 전문가를 참여시켜 동북아역사지도를 처음부터 새로 제작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김호섭 동북아역사재단 이사장이 국회 동북아역사왜곡대책특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업무보고하고 있다. (2015.10.23)

고조선 국경은 ‘훈허’ vs ‘롼허’

그러나 이 정도로 동북아역사지도 제작 문제가 해결될 것 같지는 않다. 고조선의 강역과 한사군의 위치 등에 대한 우리 나름의 기본 학설이 정립이 안 된 상태여서 학계 통설인 '한반도 북부설'을 따라 지도를 제작했으나 재야 학계를 중심으로 그 위치를 중국 동북부 요하 일대로 변경해야 한다는 '요하설'이 제기됐기 때문이다.

재야사학회는 동북아역사지도가 한나라가 위만 조선을 멸망시키고 설치한 낙랑군을 한반도 북부에 표시하는 등 중국과 일본의 역사 왜곡을 돕는 꼴이라고 비판해 왔다.

앞서 언급한 '매국의 역사학, 어디까지 왔나?'에서 이덕일 한가람역사문화연구소장은 "동북아역사지도는 동북공정의 관점이 담긴 담기양의 '중국역사지도집'을 베껴 한반도 북부가 중국의 강역이었다고 그려놓고 있다"고 주장했다.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미래로 가는 바른역사 협의회(미사협) 출범행사에서 상임대표를 맡은 허성관 전 행정자치부 장관을 비롯한 내빈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16.6.26)

6월 26일 재야 사학인들이 국회의원회관에서 발대식을 가진 '미래로 가는 바른역사 협의회'도 "우리 역사를 일제의 조선총독부 관점에서 바라보는 노예의 역사학인 식민사학이 여전히 우리 역사학계의 주류라며 동북아역사지도가 중국의 동북공정 논리를 추종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강단사학회 쪽은 '반(反) 식민사학'을 표방하는 재야 사학계가 오히려 식민사학과 유사한 관점을 적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역사문제연구소가 발행하는 계간지 '역사비평' 여름호에서 경희대 이정빈 교수는 "넓은 국토를 가진 군사적 강대국, 다시 말해 위대한 고대사를 말해야 비로소 식민주의 역사학에서 탈피한다는 믿음이 오히려 식민주의 역사학의 사유"라고 지적했다.



또 맞붙은 강단ㆍ재야사학…이번엔 ‘패수 위치’

강단사학회와 재야사학회가 다툼을 벌이는 쟁점은 고조선의 크기 문제로 모아진다. 중국의 사마천이 쓴 『사기』의 조선 열전에 나오는 조선이 바로 고조선이다.

재야 사학계는 이 고조선의 강역을 크게 보는 이른바 '대(大)고조선'을 주장하고, 강단 사학계는 작게 보는 '소(小)고조선'을 내세우고 있다. 이는 다름 아닌 한나라와 고조선의 경계였다는 '패수'가 중국 내륙으로 치우쳐 있는 강이냐? 한반도 쪽으로 치우쳐 있는 강이냐의 논쟁이기도 하다.

지난 6월 21일 동북아역사재단 주최 상고사 토론회에서도 '패수'는 과연 어디인가를 놓고 재야와 강단 학회가 치열하게 맞붙었다.

한나라와 고조선 경계인 ‘패수’에 대한 논쟁

재야학회는 랴오허(요하)를 건너 서쪽으로 더 나아간 허베이(화북)성 롼허(낙하)가 고조선의 서쪽 국경이었다고 주장했고 강단학회는 랴오닝(요녕)성에 있는 훈허(운하)가 경계였다고 내세웠다.

이에 대해 재야학회는 강단에서 제시한 훈허설에 대해 '지금까지 강단 사학에서 고조선의 강역을 서쪽으로 가장 넓게 확대한 이론이라면서도 종전의 청천강설이나 압록강설과 마찬가지로 '한사군 한반도설'과 낙랑군 대동강설'에 바탕을 둔 것이라고 비판했다.
지난 3월 22일에도 강단사학회와 재야사학회는 '한국 상고사의 쟁점 : 왕검성과 한군현'이라는 주제를 놓고 논쟁을 벌였다. 한군현은 한나라 무제가 고조선을 멸망시킨후 설치한 낙랑, 임둔, 진번, 현도 등 4개의 행정구역을 말하고, 왕검성은 고조선의 도읍지다.

그동안 학계에서는 한군현 중의 하나인 낙랑군의 위치가 평양 인근이었다는 '평양설'이 주류를 이룬 가운데 재야학회를 중심으로 중국의 요서 인근이었다는 '요서설'이 제기된 상태였다.

한사군 한반도설(좌) 한사군 요서설(우)

이날 토론에서도 강단사학쪽은 최근 일본 규슈지역에서 평양 인근에서 제작된 낙랑토기가 출토된 것을 예로 들며 낙랑군의 위치를 평양으로 주장했다.

[연관기사] ☞ “고대 평양과 압록강의 위치, 학술적으로 재검토해야”

반면 재야사학회측은 문헌기록으로 볼 때 한사군은 설립될 당시에는 현재 중국 허베이성(화북성) 동북부와 랴오닝성(요녕성) 서남부에 위치했으나 수·당 세력이 동쪽으로 확장하면서 최동단에 있던 낙랑도 동진해 최후에는 평양에 있었다고 기록되기에 이르렀다고 반박했다.

고구려 광개토 대왕릉으로 추정되는 중국 지안시 태왕릉

한·중·일 역사교과서 난맥상…우리 대응은?

중국은 2001년부터 우리 민족의 고대사 무대였던 지린성(길림성), 랴유닝성(요녕성), 헤이룽장성(흑룡강성) 등 '동북삼성'의 역사를 중국 역사로 편입한다는 동북 공정을 펼치고 있다. 북한의 급변 사태에 대비하고, 한반도 통일 때 유리한 입장에 서기 위해서다. 일본도 영토적 야욕에서 독도를 자기네 땅이라고 더욱 강하게 우기고 있다.

일본 정부가 홈피에 올린 독도 영유권 자료 보고서

여기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면 현실적인 영토상실과 역사 속 강토를 잃는 것은 물론이고 유구한 역사를 거치면서 외부의 숱한 침략에도 굴하지 않고 독립국가와 고유문화를 유지해온 우리 민족의 웅혼한 기백이 사그라질지도 모를 일이다.

강단사학회나 재야사학회나 둘 다 이러한 사태를 바라지는 않을 것이다. 그러면 결론은 자명하다. 비록 시간이 걸리더라도 각자의 입장을 떠나 무아의 관점에서 과학적 고증을 통해 중국의 동북공정을 격파하고, 일본이 다시는 독도를 자기네 땅이라고 우기지 못하도록 쐐기를 박는 역사적 사실을 찾아내고 정립해야 한다.

여기에 개인적으로나마 한사군이 평양 이북이 아니라 요하에 있었던 것으로 판명 나기를 바란다면 너무 국수적인 사람일까?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