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오스 비엔티안에서 열린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외교장관회의의 결과 문서인 의장 성명의 회의 당일 채택이 불발됐다.
외교부 당국자는 "의장 성명에 대한 실제 협의는 회의 당일부터"라면서 "각국 대표단이 어제 회의에서 나온 발언을 모아 문안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의장 성명 초안은 의장국인 라오스가 이달 초 작성해 각국에 전달했으며, 이에 대한 각국의 견해와 의견을 모아 수정한 안이 거듭 회람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수정안에 실제 회의 결과를 더해 최종안 협의가 시작되는 것이다.
이런 행정적 과정에 걸리는 시간도 있지만, 북핵과 남중국해, 주한미군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 배치 등 핵심 쟁점을 둘러싼 이견을 조율하느라 막판까지 진통이 예상된다.
유엔 안보리 결의 2270호 이행보고서에도 '사드 반대' 입장을 담았던 중국은 사드 배치 문제를 직간접적으로 의장성명에 반영하려는 움직임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지만 이는 한미가 절대로 수용할 수 없는 방안이다.
북핵문제는 북한이 ARF 회원국인만큼 보다 강력한 대북 압박 메시지를 담으려는 우리 정부의 시도가 관철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특히 최종문안 작성은 의장국이 맡는데 라오스가 친북 성향이라는 점도 북한의 의견을 완전히 무시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또 미국과 중국, 아세안 간 핵심 갈등 사안인 남중국해 문제에 대한 입장을 조율하는 데 당사국 간 만만치 않은 신경전이 오갈 것으로 보인다. 아세안 10개국들은 이번 회의에서 아세안 내부 입장을 조율하는 데 심각한 분열상을 노출한 바 있다.
외교부 당국자는 "ARF의장성명은 회원국의 컨센서스(만장일치)로 이뤄지기 때문에 어느 한 나라라도 강하게 반대하면 최종안에 담기 어려워진다"라고 설명했다.
앞서 2014년 미얀마와 2015년 말레이시아에서 개최된 ARF는 모두 나흘 만에 의장성명을 채택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의장 성명에 대한 실제 협의는 회의 당일부터"라면서 "각국 대표단이 어제 회의에서 나온 발언을 모아 문안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의장 성명 초안은 의장국인 라오스가 이달 초 작성해 각국에 전달했으며, 이에 대한 각국의 견해와 의견을 모아 수정한 안이 거듭 회람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수정안에 실제 회의 결과를 더해 최종안 협의가 시작되는 것이다.
이런 행정적 과정에 걸리는 시간도 있지만, 북핵과 남중국해, 주한미군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 배치 등 핵심 쟁점을 둘러싼 이견을 조율하느라 막판까지 진통이 예상된다.
유엔 안보리 결의 2270호 이행보고서에도 '사드 반대' 입장을 담았던 중국은 사드 배치 문제를 직간접적으로 의장성명에 반영하려는 움직임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지만 이는 한미가 절대로 수용할 수 없는 방안이다.
북핵문제는 북한이 ARF 회원국인만큼 보다 강력한 대북 압박 메시지를 담으려는 우리 정부의 시도가 관철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특히 최종문안 작성은 의장국이 맡는데 라오스가 친북 성향이라는 점도 북한의 의견을 완전히 무시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또 미국과 중국, 아세안 간 핵심 갈등 사안인 남중국해 문제에 대한 입장을 조율하는 데 당사국 간 만만치 않은 신경전이 오갈 것으로 보인다. 아세안 10개국들은 이번 회의에서 아세안 내부 입장을 조율하는 데 심각한 분열상을 노출한 바 있다.
외교부 당국자는 "ARF의장성명은 회원국의 컨센서스(만장일치)로 이뤄지기 때문에 어느 한 나라라도 강하게 반대하면 최종안에 담기 어려워진다"라고 설명했다.
앞서 2014년 미얀마와 2015년 말레이시아에서 개최된 ARF는 모두 나흘 만에 의장성명을 채택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ARF의장성명 당일 채택 불발…북핵·남중국해·사드 공방
-
- 입력 2016-07-27 05:54:54
라오스 비엔티안에서 열린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외교장관회의의 결과 문서인 의장 성명의 회의 당일 채택이 불발됐다.
외교부 당국자는 "의장 성명에 대한 실제 협의는 회의 당일부터"라면서 "각국 대표단이 어제 회의에서 나온 발언을 모아 문안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의장 성명 초안은 의장국인 라오스가 이달 초 작성해 각국에 전달했으며, 이에 대한 각국의 견해와 의견을 모아 수정한 안이 거듭 회람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수정안에 실제 회의 결과를 더해 최종안 협의가 시작되는 것이다.
이런 행정적 과정에 걸리는 시간도 있지만, 북핵과 남중국해, 주한미군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 배치 등 핵심 쟁점을 둘러싼 이견을 조율하느라 막판까지 진통이 예상된다.
유엔 안보리 결의 2270호 이행보고서에도 '사드 반대' 입장을 담았던 중국은 사드 배치 문제를 직간접적으로 의장성명에 반영하려는 움직임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지만 이는 한미가 절대로 수용할 수 없는 방안이다.
북핵문제는 북한이 ARF 회원국인만큼 보다 강력한 대북 압박 메시지를 담으려는 우리 정부의 시도가 관철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특히 최종문안 작성은 의장국이 맡는데 라오스가 친북 성향이라는 점도 북한의 의견을 완전히 무시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또 미국과 중국, 아세안 간 핵심 갈등 사안인 남중국해 문제에 대한 입장을 조율하는 데 당사국 간 만만치 않은 신경전이 오갈 것으로 보인다. 아세안 10개국들은 이번 회의에서 아세안 내부 입장을 조율하는 데 심각한 분열상을 노출한 바 있다.
외교부 당국자는 "ARF의장성명은 회원국의 컨센서스(만장일치)로 이뤄지기 때문에 어느 한 나라라도 강하게 반대하면 최종안에 담기 어려워진다"라고 설명했다.
앞서 2014년 미얀마와 2015년 말레이시아에서 개최된 ARF는 모두 나흘 만에 의장성명을 채택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의장 성명에 대한 실제 협의는 회의 당일부터"라면서 "각국 대표단이 어제 회의에서 나온 발언을 모아 문안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의장 성명 초안은 의장국인 라오스가 이달 초 작성해 각국에 전달했으며, 이에 대한 각국의 견해와 의견을 모아 수정한 안이 거듭 회람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수정안에 실제 회의 결과를 더해 최종안 협의가 시작되는 것이다.
이런 행정적 과정에 걸리는 시간도 있지만, 북핵과 남중국해, 주한미군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 배치 등 핵심 쟁점을 둘러싼 이견을 조율하느라 막판까지 진통이 예상된다.
유엔 안보리 결의 2270호 이행보고서에도 '사드 반대' 입장을 담았던 중국은 사드 배치 문제를 직간접적으로 의장성명에 반영하려는 움직임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지만 이는 한미가 절대로 수용할 수 없는 방안이다.
북핵문제는 북한이 ARF 회원국인만큼 보다 강력한 대북 압박 메시지를 담으려는 우리 정부의 시도가 관철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특히 최종문안 작성은 의장국이 맡는데 라오스가 친북 성향이라는 점도 북한의 의견을 완전히 무시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또 미국과 중국, 아세안 간 핵심 갈등 사안인 남중국해 문제에 대한 입장을 조율하는 데 당사국 간 만만치 않은 신경전이 오갈 것으로 보인다. 아세안 10개국들은 이번 회의에서 아세안 내부 입장을 조율하는 데 심각한 분열상을 노출한 바 있다.
외교부 당국자는 "ARF의장성명은 회원국의 컨센서스(만장일치)로 이뤄지기 때문에 어느 한 나라라도 강하게 반대하면 최종안에 담기 어려워진다"라고 설명했다.
앞서 2014년 미얀마와 2015년 말레이시아에서 개최된 ARF는 모두 나흘 만에 의장성명을 채택했다.
-
-
조빛나 기자 hymn@kbs.co.kr
조빛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