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럴림픽 챔피언 “리우 끝나면 안락사 고려…매일 고통”

입력 2016.09.08 (20:2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애인 올림픽인 리우패럴림픽이 개막한 가운데 벨기에 휠체어 스프린트 전 챔피언 마리케 베르보트(37·여) 선수가 이번 리우패럴림픽이 끝나면 안락사를 생각하고 있다고 밝혔다.

영국 일간 인디펜던트는 7일(현지시간) 베르보트가 프랑스 일간 파리지앵과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고 전했다.

베르보트는 지난 2012년 런던패럴림픽에서 휠체어 스프린트 100m 금메달과 200m 은메달을 딴 챔피언으로, 20년 전부터 난치성 척추칠환을 앓고 있다.

그는 "모두가 내가 금메달을 따고 웃는 모습을 보지만 어두운 면은 못 본다"며 "엄청난 고통을 겪는다. 때론 잠을 10분밖에 못 잔 날도 있다. 하지만 여전히 금메달을 향해 간다. 리우는 나의 마지막 희망"이라고 했다.

그는 "내 장례식은 교회에서 열리지 않을 것이다. 모두가 샴페인을 들고 '잘했어! 마리케. 잘 가. 네 삶은 좋았어. 그리고 이제 더 나은 곳에 가'라고 말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상상할 수 없는 고통을 겪는 베르보트는 7월 17일자 일기에 이런 글들을 적었다.

"비록 45분간 위기의 순간이 있었지만 다행히도 더 나은 밤이었다", "내 몸은 고통으로 기진맥진 상태였고 아침에 진통제를 맞았다" "문자 그대로 내 모든 두려움과 좌절들을 제거했다."

베르보트는 데일리 익스프레스 인터뷰에서도 "스턴트 플라잉을 포함해 버킷리스트가 있다. 안락사에 대해 생각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지난달 벨기에 한 언론에도 "안락사에 대해 생각하기 시작했다. 내 고통에도 불구하고 나는 다른 사람들이 꿈꾸는 것들을 경험할 수 있었다"고 위로했다.

벨기에는 안락사가 법적으로 허용된 나라다. 지난 한해 모두 2천23명이 안락사를 선택한 것으로 집계됐다.

베르보트의 사연이 알려지자 소셜미디어에서는 "생을 마감하고 싶을 만큼이나 엄청난 고통이라니 안타깝다" "지옥에서 오는 고통일 것이다. 당신의 결정을 존중하고 싶다" 등 안타까움을 담은 반응들이 잇따랐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패럴림픽 챔피언 “리우 끝나면 안락사 고려…매일 고통”
    • 입력 2016-09-08 20:20:03
    국제
장애인 올림픽인 리우패럴림픽이 개막한 가운데 벨기에 휠체어 스프린트 전 챔피언 마리케 베르보트(37·여) 선수가 이번 리우패럴림픽이 끝나면 안락사를 생각하고 있다고 밝혔다.

영국 일간 인디펜던트는 7일(현지시간) 베르보트가 프랑스 일간 파리지앵과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고 전했다.

베르보트는 지난 2012년 런던패럴림픽에서 휠체어 스프린트 100m 금메달과 200m 은메달을 딴 챔피언으로, 20년 전부터 난치성 척추칠환을 앓고 있다.

그는 "모두가 내가 금메달을 따고 웃는 모습을 보지만 어두운 면은 못 본다"며 "엄청난 고통을 겪는다. 때론 잠을 10분밖에 못 잔 날도 있다. 하지만 여전히 금메달을 향해 간다. 리우는 나의 마지막 희망"이라고 했다.

그는 "내 장례식은 교회에서 열리지 않을 것이다. 모두가 샴페인을 들고 '잘했어! 마리케. 잘 가. 네 삶은 좋았어. 그리고 이제 더 나은 곳에 가'라고 말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상상할 수 없는 고통을 겪는 베르보트는 7월 17일자 일기에 이런 글들을 적었다.

"비록 45분간 위기의 순간이 있었지만 다행히도 더 나은 밤이었다", "내 몸은 고통으로 기진맥진 상태였고 아침에 진통제를 맞았다" "문자 그대로 내 모든 두려움과 좌절들을 제거했다."

베르보트는 데일리 익스프레스 인터뷰에서도 "스턴트 플라잉을 포함해 버킷리스트가 있다. 안락사에 대해 생각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지난달 벨기에 한 언론에도 "안락사에 대해 생각하기 시작했다. 내 고통에도 불구하고 나는 다른 사람들이 꿈꾸는 것들을 경험할 수 있었다"고 위로했다.

벨기에는 안락사가 법적으로 허용된 나라다. 지난 한해 모두 2천23명이 안락사를 선택한 것으로 집계됐다.

베르보트의 사연이 알려지자 소셜미디어에서는 "생을 마감하고 싶을 만큼이나 엄청난 고통이라니 안타깝다" "지옥에서 오는 고통일 것이다. 당신의 결정을 존중하고 싶다" 등 안타까움을 담은 반응들이 잇따랐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대선특집페이지 대선특집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