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의원에겐 입법 자료 수집 등의 명목으로 달마다 313만 원의 입법활동비가 지급됩니다.
돈을 쓴 뒤에도 어디에 썼는지 증빙할 필요가 없어 그동안 의원들의 쌈짓돈이란 비판이 제기돼 왔습니다.
의장 직속기구인 국회의원 특권 내려놓기추진위원회가 이같은 입법 활동비를 폐지하는 최종안을 만들었습니다.
<인터뷰> 한공식(국회의원 특권 내려놓기 추진위원회 실무지원단장) : "추가적으로 주는 돈으로 국민들이 인식하는 측면이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을 없애는 것이 타당하다고"
국회의원들이 회의에 참가할 때마다 지급하는 특별활동비도 없애기로 했습니다.
또 비과세였던 일부 항목에 세금을 부과해 국회의원의 세비를 15% 정도 줄어들도록 했습니다.
국회의원의 보수도 별도의 독립 기구에서 정하도록 했습니다.
국회 의원의 특권을 내려놓겠다는 정치권의 공약은 지난 2008년 18대 국회부터 반복적으로 나왔지만, 대부분 실질적인 조치로 연결되지 않았습니다.
<인터뷰> 이옥남(바른사회시민회의 정치실장) : " 말로만 특권을 내려놓겠다고 결의를 하고 실제로 특권을 내려놓기 위한 실질적인 조치를 취하지 않는 행태를 보였습니다."
국회의원 특권 개혁안이 내일 국회의장에게 제출되는 가운데 이번 만큼은 실제 입법으로 이어질 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류호성입니다.
돈을 쓴 뒤에도 어디에 썼는지 증빙할 필요가 없어 그동안 의원들의 쌈짓돈이란 비판이 제기돼 왔습니다.
의장 직속기구인 국회의원 특권 내려놓기추진위원회가 이같은 입법 활동비를 폐지하는 최종안을 만들었습니다.
<인터뷰> 한공식(국회의원 특권 내려놓기 추진위원회 실무지원단장) : "추가적으로 주는 돈으로 국민들이 인식하는 측면이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을 없애는 것이 타당하다고"
국회의원들이 회의에 참가할 때마다 지급하는 특별활동비도 없애기로 했습니다.
또 비과세였던 일부 항목에 세금을 부과해 국회의원의 세비를 15% 정도 줄어들도록 했습니다.
국회의원의 보수도 별도의 독립 기구에서 정하도록 했습니다.
국회 의원의 특권을 내려놓겠다는 정치권의 공약은 지난 2008년 18대 국회부터 반복적으로 나왔지만, 대부분 실질적인 조치로 연결되지 않았습니다.
<인터뷰> 이옥남(바른사회시민회의 정치실장) : " 말로만 특권을 내려놓겠다고 결의를 하고 실제로 특권을 내려놓기 위한 실질적인 조치를 취하지 않는 행태를 보였습니다."
국회의원 특권 개혁안이 내일 국회의장에게 제출되는 가운데 이번 만큼은 실제 입법으로 이어질 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류호성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의원 ‘특권 내려놓기’ 최종안…입법화 ‘미지수’
-
- 입력 2016-10-16 21:54:22

국회의원에겐 입법 자료 수집 등의 명목으로 달마다 313만 원의 입법활동비가 지급됩니다.
돈을 쓴 뒤에도 어디에 썼는지 증빙할 필요가 없어 그동안 의원들의 쌈짓돈이란 비판이 제기돼 왔습니다.
의장 직속기구인 국회의원 특권 내려놓기추진위원회가 이같은 입법 활동비를 폐지하는 최종안을 만들었습니다.
<인터뷰> 한공식(국회의원 특권 내려놓기 추진위원회 실무지원단장) : "추가적으로 주는 돈으로 국민들이 인식하는 측면이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을 없애는 것이 타당하다고"
국회의원들이 회의에 참가할 때마다 지급하는 특별활동비도 없애기로 했습니다.
또 비과세였던 일부 항목에 세금을 부과해 국회의원의 세비를 15% 정도 줄어들도록 했습니다.
국회의원의 보수도 별도의 독립 기구에서 정하도록 했습니다.
국회 의원의 특권을 내려놓겠다는 정치권의 공약은 지난 2008년 18대 국회부터 반복적으로 나왔지만, 대부분 실질적인 조치로 연결되지 않았습니다.
<인터뷰> 이옥남(바른사회시민회의 정치실장) : " 말로만 특권을 내려놓겠다고 결의를 하고 실제로 특권을 내려놓기 위한 실질적인 조치를 취하지 않는 행태를 보였습니다."
국회의원 특권 개혁안이 내일 국회의장에게 제출되는 가운데 이번 만큼은 실제 입법으로 이어질 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류호성입니다.
돈을 쓴 뒤에도 어디에 썼는지 증빙할 필요가 없어 그동안 의원들의 쌈짓돈이란 비판이 제기돼 왔습니다.
의장 직속기구인 국회의원 특권 내려놓기추진위원회가 이같은 입법 활동비를 폐지하는 최종안을 만들었습니다.
<인터뷰> 한공식(국회의원 특권 내려놓기 추진위원회 실무지원단장) : "추가적으로 주는 돈으로 국민들이 인식하는 측면이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을 없애는 것이 타당하다고"
국회의원들이 회의에 참가할 때마다 지급하는 특별활동비도 없애기로 했습니다.
또 비과세였던 일부 항목에 세금을 부과해 국회의원의 세비를 15% 정도 줄어들도록 했습니다.
국회의원의 보수도 별도의 독립 기구에서 정하도록 했습니다.
국회 의원의 특권을 내려놓겠다는 정치권의 공약은 지난 2008년 18대 국회부터 반복적으로 나왔지만, 대부분 실질적인 조치로 연결되지 않았습니다.
<인터뷰> 이옥남(바른사회시민회의 정치실장) : " 말로만 특권을 내려놓겠다고 결의를 하고 실제로 특권을 내려놓기 위한 실질적인 조치를 취하지 않는 행태를 보였습니다."
국회의원 특권 개혁안이 내일 국회의장에게 제출되는 가운데 이번 만큼은 실제 입법으로 이어질 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류호성입니다.
-
-
류호성 기자 ryuhs@kbs.co.kr
류호성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