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한 뉴질랜드 대사 “남·북간 대화, 아직은 일러”

입력 2016.10.25 (12:54) 수정 2016.10.25 (15:4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클레어 펀리 주한 뉴질랜드 대사가 북핵 실험으로 경색된 남북 관계에 대해 아직 대화가 이뤄질 때가 아니라는 입장을 밝혔다.

오늘(25일) 오전 중견언론인 모임인 관훈클럽 토론회에 참석한 펀리 대사는 남북 대화 시점을 언제로 보느냐는 질문에 “일부에선 지금이 적기라고 하지만 그렇게 보진 않는다”면서 “언젠가 대화의 조건이 갖춰지면 가능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펀리 대사는 제재에 의존하는 대북정책의 실효성을 묻는 말엔 “현재 제재에 무게 중심이 쏠려있지만 여러 국가 외교관들은 제재와 대화를 하나의 프로세스로 보고 있다”면서 “제재와 대화는 같은 선상에 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과거 국제사회의 대이란 제재 사례를 언급하며 “제재 후 오랜 시간이 지난 후에야 이란이 핵 개발을 포기하고 협상 테이블에 앉았다”며 대북제재에 따른 효과를 보기까지는 어느 정도 시간이 걸릴 수 있음을 시사했다.

이란 때와는 달리 “북핵 관련 사건이 워낙 빠르게 전개돼 제재에 따른 효과가 상대적으로 더 느리게 나타나고 있는 것 같다”는 설명도 덧붙였다.

유엔 안보리 비상임이사국인 뉴질랜드는 지난 9월 북한의 5차 핵실험 이후 대북 추가 제재 결의안에 대한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

펀리 대사는 최근 한국 내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는 자체 핵무장론에 대한 생각을 묻는 말에는 "NPT(핵확산금지조약) 회원국으로서 비핵화에 찬성하는 입장"이라고 밝혀 사실상 반대 의견을 드러냈다.


이날 토론회에선 국제사회의 거듭된 대북제재에도 불구하고 북한이 크게 개의치 않는 모습을 보이는 건 중국이 대북 식량 원조나 원유지원을 끊지 않고 있기 때문이라는 지적도 나왔다.

펀리 대사는 이와 관련해 “비핵화에 이르려는 방법의 해석이 다를 뿐 중국도 한반도 비핵화를 원하고 있다”면서 “중국이 유엔의 대북제재 추가 결의안 채택·이행에 충분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이 평화로워야 중국이 경제번영을 이어갈 수 있다는 점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다는 점을 근거로 삼았다.

펀리 대사는 아시아 지역에서 미·중 간 경쟁이 치열한 상황을 묻는 말에 “중국과 미국이 겉으론 대결구도를 형성하면서도 이면에선 많은 협력이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최근 확인한 바로는 미·중 간 고위급 대화를 포함해 80여 개의 정기적인 대화가 오가고 있다”면서 “미국의 차기 대통령이 누가 되든지 간에 중국 포용 정책을 펼 것이고 결국 양국 간 건설적 협력이 이뤄질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펀리 대사는 북핵 관련국들의 대결국면을 해소하기 위해 중국, 북한과 대화를 시도할 생각이 없느냐는 질문에 “북한의 긍정적인 변화 움직임이 있고 국제사회가 지지한다면 최대한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뉴질랜드는 지난 2001년 북한과 외교관계를 수립해 유지하고 있다. 역대 뉴질랜드 대사는 주한·주북 대사를 겸임해왔다. 특히 펀리 대사는 중국 전문가로 알려졌다. 중재자의 역할을 요구받은 배경이다.

펀리 대사는 한국의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가입 문제와 관련해선 “뉴질랜드는 한국을 자연스러운 TPP 파트너로 본다”면서 “한국이 합류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더불어 “한국이 TPP에 관심과 의지가 있고, TPP가 제시하는 포괄적 기준을 수용할 의지가 있다면 12개 회원국은 한국 가입을 환영할 것이지만 한국이 아직 TPP 가입에 관심을 보이는 것 같지는 않다”고 주장했다.

펀리 대사는 TPP와 관련한 미국 내 상황에 대해 “오바마 대통령이 퇴임 전에 TPP 비준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힐러리 클린턴 민주당 대선 후보는 회의적 반응을 보이고 있어 미 행정부의 고민이 크다”면서 “오바마 행정부가 연내에 TPP를 꼭 현실화했으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지난해 2월 주한대사로 부임한 펀리 대사는 베이징 대학에서 수학한 뒤 주상하이 총영사, 주타이베이 상공대표부 대표 등을 역임한 중국 전문가로 꼽힌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주한 뉴질랜드 대사 “남·북간 대화, 아직은 일러”
    • 입력 2016-10-25 12:54:26
    • 수정2016-10-25 15:45:43
    정치
클레어 펀리 주한 뉴질랜드 대사가 북핵 실험으로 경색된 남북 관계에 대해 아직 대화가 이뤄질 때가 아니라는 입장을 밝혔다.

오늘(25일) 오전 중견언론인 모임인 관훈클럽 토론회에 참석한 펀리 대사는 남북 대화 시점을 언제로 보느냐는 질문에 “일부에선 지금이 적기라고 하지만 그렇게 보진 않는다”면서 “언젠가 대화의 조건이 갖춰지면 가능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펀리 대사는 제재에 의존하는 대북정책의 실효성을 묻는 말엔 “현재 제재에 무게 중심이 쏠려있지만 여러 국가 외교관들은 제재와 대화를 하나의 프로세스로 보고 있다”면서 “제재와 대화는 같은 선상에 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과거 국제사회의 대이란 제재 사례를 언급하며 “제재 후 오랜 시간이 지난 후에야 이란이 핵 개발을 포기하고 협상 테이블에 앉았다”며 대북제재에 따른 효과를 보기까지는 어느 정도 시간이 걸릴 수 있음을 시사했다.

이란 때와는 달리 “북핵 관련 사건이 워낙 빠르게 전개돼 제재에 따른 효과가 상대적으로 더 느리게 나타나고 있는 것 같다”는 설명도 덧붙였다.

유엔 안보리 비상임이사국인 뉴질랜드는 지난 9월 북한의 5차 핵실험 이후 대북 추가 제재 결의안에 대한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

펀리 대사는 최근 한국 내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는 자체 핵무장론에 대한 생각을 묻는 말에는 "NPT(핵확산금지조약) 회원국으로서 비핵화에 찬성하는 입장"이라고 밝혀 사실상 반대 의견을 드러냈다.


이날 토론회에선 국제사회의 거듭된 대북제재에도 불구하고 북한이 크게 개의치 않는 모습을 보이는 건 중국이 대북 식량 원조나 원유지원을 끊지 않고 있기 때문이라는 지적도 나왔다.

펀리 대사는 이와 관련해 “비핵화에 이르려는 방법의 해석이 다를 뿐 중국도 한반도 비핵화를 원하고 있다”면서 “중국이 유엔의 대북제재 추가 결의안 채택·이행에 충분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이 평화로워야 중국이 경제번영을 이어갈 수 있다는 점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다는 점을 근거로 삼았다.

펀리 대사는 아시아 지역에서 미·중 간 경쟁이 치열한 상황을 묻는 말에 “중국과 미국이 겉으론 대결구도를 형성하면서도 이면에선 많은 협력이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최근 확인한 바로는 미·중 간 고위급 대화를 포함해 80여 개의 정기적인 대화가 오가고 있다”면서 “미국의 차기 대통령이 누가 되든지 간에 중국 포용 정책을 펼 것이고 결국 양국 간 건설적 협력이 이뤄질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펀리 대사는 북핵 관련국들의 대결국면을 해소하기 위해 중국, 북한과 대화를 시도할 생각이 없느냐는 질문에 “북한의 긍정적인 변화 움직임이 있고 국제사회가 지지한다면 최대한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뉴질랜드는 지난 2001년 북한과 외교관계를 수립해 유지하고 있다. 역대 뉴질랜드 대사는 주한·주북 대사를 겸임해왔다. 특히 펀리 대사는 중국 전문가로 알려졌다. 중재자의 역할을 요구받은 배경이다.

펀리 대사는 한국의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가입 문제와 관련해선 “뉴질랜드는 한국을 자연스러운 TPP 파트너로 본다”면서 “한국이 합류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더불어 “한국이 TPP에 관심과 의지가 있고, TPP가 제시하는 포괄적 기준을 수용할 의지가 있다면 12개 회원국은 한국 가입을 환영할 것이지만 한국이 아직 TPP 가입에 관심을 보이는 것 같지는 않다”고 주장했다.

펀리 대사는 TPP와 관련한 미국 내 상황에 대해 “오바마 대통령이 퇴임 전에 TPP 비준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힐러리 클린턴 민주당 대선 후보는 회의적 반응을 보이고 있어 미 행정부의 고민이 크다”면서 “오바마 행정부가 연내에 TPP를 꼭 현실화했으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지난해 2월 주한대사로 부임한 펀리 대사는 베이징 대학에서 수학한 뒤 주상하이 총영사, 주타이베이 상공대표부 대표 등을 역임한 중국 전문가로 꼽힌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